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8,210건 검색되었습니다.
니콜라 테슬라
과학동아
l
200607
덕분에 최초의 네온등과 형광등을 개발했고 에너지가 강한 X선을 이용한 사진 촬영에도
처음
성공했다. 이 무렵 테슬라는 고주파 전기를 이용하면 전선이 없이 진공 튜브도 환하게 밝힐 수 있다는 점을 확인했다. 이로부터 테슬라는 에너지원에 상관없이 지구 어디에서나 에너지를 쓸 수 있도록 하는 ... ...
붉은 카펫 위로 걸으세요
과학동아
l
200607
구연산, 사과산 등의 유기산 성분이 산성도를 낮춰 병원체를 죽인다.소독약은 카펫의
처음
부분과 6~7 발자국 떨어진 가운데 부분에만 뿌려져 있다. 신발이 소독약에 젖어 바닥이 지저분해지는 것을 막기 위해서다. 소독 효과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2시간 마다 소독약을 계속 뿌린다. ... ...
계단과 무빙워크 중 전자 궤도를 닮은 것은?
과학동아
l
200607
내려오면서 빛을 낼 때(발머의 수소 선스펙트럼) 식은 다음과 같다.방출된 빛 에너지=
처음
높은 상태의 에너지($-{R}_{H}·h·c (1/{n}^{2})$)- n이 2인 상태의 에너지(-${R}_{H}·h·c (1/{2}^{2})$)=${R}_{H}·h·c (1/{2}^{2}-1/{n}^{2})$발머가 실험으로 도출한 식이 보어의 모델을 이 ...
수직 기록 방식 하드디스크
과학동아
l
200606
녹지 않는다 식물계에 널리 존재하며 백합과 식물인 아스파라가스(Asparagus officinalis)에서
처음
발견되었다 가수분해하면 아스파르트산이 나온다 D체는 단맛이 있고, 콩과 식물인 Vicia ativa 의 새싹에서 나온다감미료의 하나 정식이름은 L-아스파르틸 페닐알라닌 메틸 에스테르이다 아미노산계 ... ...
월드컵 응원에는 북소리가 최고
과학동아
l
200606
몸은 저음을 느낀다는 말이다.사물놀이 공연을 현장에서 지켜보면 절로 흥이 난다.
처음
접하는 외국인마저 어깨춤을 추는 모습을 종종 볼 수 있다. 하지만 사물놀이 공연을 TV 중계로 보면 감흥이 훨씬 덜하다. 왜 그럴까.“사물놀이 소리 중 생생한 현장감을 전달하는 것은 바로 북소리에서 나오는 ... ...
움직이는 '붙박이별'
과학동아
l
200606
나는 별에 주목했다. 이 별이 바로 1등성인 시리우스, 알데바란, 아크투르스다.핼리는
처음
에 고대의 기록이 잘못됐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단순한 실수로 치부하기 어려워 생각을 바꿨다. 즉 별도 오랜 시간을 두고 보면 위치가 변한다고 생각한 것이다.핼리가 이런 생각을 한 것은 1718년의 일이다. ... ...
한국 최초의 우주인은 누구?
과학동아
l
200606
29)씨이고 5월 19일 현재 최고령 지원자는 62세의 남자라고 공개했다. 또 1차 접수에 이어
처음
으로 개인이력, 자기소개 등 상세등록까지 마친 사람은 삼성전자에서 반도체 장비개발 업무를 맡고 있는 한모(33)씨로 밝혀졌다. 전체 접수자 가운데 상세 자료를 입력한 등록자(7726명)는 직업도 다양하다. ... ...
해왕성급 외계행성 트리오 발견
과학동아
l
200606
로비스 박사는 “해왕성급 행성만으로 이뤄진 다중 행성계를 발견한 것은 이번이
처음
”이라고 말했다.연구팀은 또 3개의 해왕성급 행성 가운데 가장 바깥쪽에 있는 행성에 물이 존재할 수 있다고 추정했다. 하지만 이 행성은 온도가 1000K(약 727℃)으로 높아 물이 고압상태로 존재해 생명체가 살기 ... ...
순식간에 산이 130km 움직였다
과학동아
l
200606
이 지역에서 벌어진 지각활동을 컴퓨터로 재현해 용암분출이 어떻게 산을 움직였는지를
처음
으로 밝혀냈다. 이 연구결과는 지질학 전문지 ‘지올로지’ 3월호에 실렸다.아하로노브 박사는 “하트산 이동의 숨은 열쇠는 암반층에 갇혀 있는 대수층”이라며 “지하에 있던 다량의 용암이 짧은 시간에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06
발달한 범람원이라는 것이었다. 이기석 교수에 따르면 섬 모양의 낮은 평지대가
처음
생긴 것은 약 6000~1만2000년 전으로 이때부터 두만강의 흐름이 여러 차례 바뀌면서 지금과 같은 범람원 지대를 형성했다. 녹둔도는 한번도 섬이었던 적이 없는 것이다.녹둔도가 섬이 아니라면 녹둔도는 우리가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