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수학자는 왜 비눗방울을 좋아할까?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이들은 모두 완전한 구의 형태를 띤다. 둥근 구 모양은 같은 부피에서 표면적이 가장
작은
형태다. 이들은 왜 동그란 모양을 띨까?액체는 분자끼리 서로 끌어당기는 힘이 작용한다. 액체 속은 모든 방향에서 분자를 잡아당겨 평형을 유지하지만 액체 표면은 다르다. 표면에서는 액체 안쪽으로만 ... ...
어디서나 쓸 수 있는 암호 찾는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교수와 IBM연구소의 빅터 밀러가 거의 동시에 독립적으로 개발했다. RSA보다 상대적으로
작은
수를 키로 사용하면서도 안전성이 높아 스마트카드처럼 정보처리능력이 떨어지는 기기에 적합한 암호방식이다.“풀리지 않는 암호는 없다”심 팀장은 “암호는 어떤 창에도 뚫리지 않는 방패와 어떤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잠드는 해저 호텔상상 속 해저 호텔의 매력은 24시간 바다 속을 볼 수 있다는 것. 하지만
작은
야구공에만 맞아도 깨지는 유리가 과연 수압에 견딜 수 있을까?두바이 주메이라 해변의 20m 해저에 지어질 하이드로 폴리스 호텔은 그 답을 비행기에서 찾았다. 두께 18㎝의 플렉시글라스라 불리는 아크릴 ... ...
PART 2 거품 함수와 방정식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있다. 사실 따로 떨어져 있는 경우는 투명해 보이지만 뭉쳐 있는 경우는 대부분 하얗다.
작은
거품 알갱이가 들어오는 모든 빛을 산란*시키기 때문이다. 우리 눈에는 모든 빛이 합쳐져 하얗게 보인다.그런데 하얀 바다 거품은 무엇보다 지구에 많은 영향을 준다. 특히 바다거품은 지구에 들어온 ... ...
여름방학 독서로 수학 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구하기’로 정했다. 근삿값을 구하는 것에 대해 탐구하게 된 동기는 조금이라도 오차가
작은
값을 구하는 과정이 재밌게 느껴졌기 때문이다.3. 탐구 과정(생략)4. 탐구 결과 및 느낀 점(생략)5. 참고문헌 : 레온하르트 오일러, ‘대수학 원론’(정종원 학생의 ‘수학 탐구 보고서’ ... ...
대지진, 일본을 뒤흔들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7호
국제 원자력 사고 등급(국제원자력기구)❶0 단계경미한 고장•원자력 발전기 활동의
작은
이상❶ 단계단순 고장•사소한 안전의 문제❷ 단계고장•발전소 근무자들의 방사선 노출 (법정 한계 수치를 넘지 않는 정도)❸ 단계중대한 고장•근무자들의들의 심각한 방사선 노출•예기치 않은 지역의 ... ...
수학으로 풍덩, 수영의 매력 속으로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상어 비늘을 본떠 만든 ‘패스트 스킨’이라는 소재를 이용했다. 상어는 피부 표면에
작은
삼각형 모양의 돌기 형태로 비늘이 나 있어 매끄럽지 않은데도 빠른 속도로 수영할 수 있다. 같은 원리로 수영복의 표면을 거칠게 제작하면 물의 저항을 줄여 수영 기록을 단축할 수 있다는 얘기다.하지만 201 ... ...
수학과 시 상상력으로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그런 각각의 집합들이 조화롭게 모여 세상이라는 전체집합을 이룬다는 생각이 좋습니다.
작은
사물에서 출발해 전체를 품으려는 마음의 넓이, 생각의 깊이를 높게 평가했습니다.근삿값처럼성은주(울산여중 3년)근삿값처럼친구들과 서로서로닮으려는 우리근삿값처럼부모님의 기준에맞추려는 ... ...
[수학영재캠프] 다각형의 분할과 조립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수 있음을 보여라.(2) 넓이가 같은 임의의 두 다각형 A와 B에 대해, 다각형 A를 유한개의
작은
다각형으로 자른 후 그 조각들을 다시 잘 모아 다각형 B를 만들 수 있음을 보여라.이것으로 원하던 정리를 증명할 수 있었다. 막막해만 보이던 문제가 정사각형을 매개로 하여 멋지게 풀렸다. 정사각형을 ... ...
[수학클리닉] 부등식 짚고 넘어가기!
수학동아
l
2011년 07호
< x < 2의 각 변에 -2를 곱하면 2 < x < -4가 되는데, 세상에 어떤 수도 2보다 크고 -4보다
작은
수는 없죠. 따라서 부등호의 방향을 반대로 바꿔 줘야 합니다. 만약 부등식의 모든 변이 수로 돼 있었다면 덜 헷갈렸을 텐데, 보통 학생들은 미지수 x 때문에 더욱 헷갈린다고 하네요. 여러분은 이번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