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최초"(으)로 총 5,549건 검색되었습니다.
- 화성생명체를 찾아나선 바이킹과학동아 l1999년 09호
- 화성에 운하가 없다는 사실은 2년 뒤 마리너 9호에 의해 확인됐다. 1971년 11월 24일 화성 최초의 인공위성이 된 마리너 9호는 화성을 저공비행하면서 9천장의 사진을 보내왔지만, 그 어디서도 운하의 흔적은 없었다. 그러나 마리너 9호는 화성에 생명체가 사는지, 산다면 어떤 생명체인지에 대한 숙제를 ... ...
- 히말라야를 오르는 과학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얼어죽거나 동상에 걸리기 십상이다. 1950년 프랑스의 등반가 모리스 에르조그는 세계 최초로 8천91m의 안나푸르나 정상에 섰다. 인간이 8천m 이상에 오르는 것은 그가 처음이었다. 그러나 그는 감격한 나머지 장갑을 끼는 것을 잊어버렸다. 베이스 캠프에 돌아왔을 때 그의 손은 동상으로 완전히 ... ...
- 불임 해방과 아기산업의 두 얼굴 시험관아기과학동아 l1999년 09호
- 9개월 뒤인 1978년 7월 25일, 브라운 부인은 제왕절개를 통해 2.6kg의 예쁜 딸을 낳았다. 세계 최초의 시험관아기(test-tube baby) 루이스 조이 브라운이 탄생한 것이다. 루이스는 4년 뒤 동생 나탈리를 같은 방법으로 얻었다.루이스 브라운이 태어난 날 시골도시인 올덤에는 수백명의 기자들이 모여들어 ... ...
- 제주도에 자연과학박물관 짓는 금속공예가 이종옥과학동아 l1999년 09호
- 생각하고 제주도에 자연과학박물관을 작품으로 남기고 싶습니다.”개인이 건립한 국내 최초의 자연사 박물관인 은암자연박물관을 운영하는 금속공예가 은암 이종옥(74)씨가 최근 제주도 북제주군 구좌읍 월정리 만장굴 입구의 4천여평 부지에 ‘자연과학박물관’을 짓기 위해 공사에 들어갔다. ... ...
- 3. 민주주의 앞당긴 염료의 역사과학동아 l1999년 08호
- 보라색 액체를 얻었다. 퍼킨은 이 액체로 옷감을 염색할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함으로써 최초로 인공 염료를 합성한 업적을 남긴다. 퍼킨은 이 염료를 프랑스의 보라색 들꽃의 이름을 따라 ‘모브’(mouve)라고 불렀고, 그후에 빨간색의 알리자린 염료를 인공적으로 합성하는 방법도 개발해 영국의 ... ...
- 프로게이머 슬기팀이 추천하는 여름나기 톱게임3과학동아 l1999년 08호
- 유혹하고, 이를 노린 프로선수들이 나타난 것은 필연이라고 할 수 있다.우리나라 최초의 프로게이머 슬기팀이 결성된 것은 지난 2월. 신주영(22세, 본명은 박창준), 임영수(28세), 이기석(19세), 김창선(24세), 이창승(19세)등 내로라 하는 5인이 처음으로 출사표를 냈다. 신주영씨는 지난해 11월 블리자드 ... ...
- 투우사의 빨간 망토는 속임수과학동아 l1999년 08호
- 동물이 색을 구별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색을 구별하는 능력은 고등한 무척추동물에서 최초로 나타났다. 두족류(오징어, 문어, 낙지 등), 갑각류(게, 새우, 가재 등), 그 외 많은 곤충들은 색을 잘 식별한다.곤충들은 어떤 분야에서는 여타의 동물들보다도 뛰어나다. 그들은 인간의 눈으로는 느낄 수 ... ...
- 별은 어떻게 죽어 가는가과학동아 l1999년 08호
- 초신성이 폭발하는 장면은 한 번도 목격된 적이 없다.역사상에 기록으로 남아 있는 최초의 초신성은 1006년에 있었다. 이리자리 근처에서 갑자기 금성보다 1백배나 밝은 빛을 내는 별이 나타났다. 워낙 밝아 낮에도 흰 점으로 보였으며 밤에는 그림자를 만들 정도였다고 한다.1054년 황소자리에서 ... ...
- 뇌는 어떻게 의사결정을 할까과학동아 l1999년 08호
- 동물의 복잡하고도 예측 불가능한 행동이 생물학적 기작으로 설명될 수 있는 가능성을 최초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더욱 중요하다.지금까지 대뇌피질은 시각적 신호를 눈동자의 운동으로 전환시키는 중추로 알려져 왔다. 그런데 이번 연구에서 대뇌피질은 단순한 반사를 통해 운동을 명령하는 것이 ... ...
- IBM왓슨 연구소과학동아 l1999년 08호
- 물리학자 하인리히 로러(1933-)는 1981년 주사형터널링현미경(STM)을 발명했다. 그 공로로 최초로 전자현미경을 디자인한 독일의 에른스트루스카(1906-1988)와 함께 1986년 노벨물리상을 수상했다. 또 1986년에는 독일 출신의 게오르크 베드노르츠(1950-)와 스위스의 알렉스 뮐러(1927-)가 고온초전도를 발견해 ... ...
이전3913923933943953963973983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