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계
여름철
행하기
여름
실행
실시
하기시간
d라이브러리
"
하기
"(으)로 총 5,382건 검색되었습니다.
수돗물 불소투입은 절대 안된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여부도 모른 상태에서 수돗물을 쓰고 있다는 점도 문제일 뿐만 아니라, 수돗물을 불소화
하기
위해 불화규산을 투입하는 공정관리의 소홀로 시민들이 피해를 입는 문제점도 무시할 수 없다. 몇년전 진해시에서는 불소투입장치가 고장나 2년정도 불소투입을 하지 않는 사실이 지적되었다. 그러나 ... ...
Ⅰ 머큐리에서 국제우주정거장까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NASA의 계획은 1982년부터 추진됐다. NASA는 우주 환경을 이용하고 달과 행성을 탐사
하기
위한 중계기지로서 우주정거장이 필요하다고 생각했다. 1984년 레이건 대통령은 10년 이내에 우주정거장을 건설하겠다고 공언했지만, 미국의 힘만으로 엄청난 예산을 감당하며 우주정거장을 건설하는 것은 ... ...
천재과학자들의 엉뚱한 행동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J)로 사용하고 있다.케쿨레 - 두차례 행운의 꿈으로 분자구조 해명어느 누구라도 해결
하기
어려운 문제와 부닥치면 자나깨나 그 문제에 매달리기 마련이다. 그런데 꿈에서 시원한 묘책을 듣는 경우가 가끔 있다. 독일의 화학자 프리드리히 아우구스트 케쿨레는 두번의 백일몽을 통해 아무도 풀지 ... ...
수돗물 불소화는 꼭 필요하고 안전하다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미국 질병관리원에서는 동부지역에 있는 불소화교육장 하나로는 교육수요를 감당
하기
가 어려워서 1997년부터는 수요자가 많은 서부지역의 샌프란시스코 근처에 교육장을 하나 더 개설해 운영 하고 있다. 그 결과 2000년까지 불소화 혜택 인구를 75%로 늘리는 목표를 초과해 달성하게 될 것이라고 한다. ... ...
추석 차례상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위치에서 유래한다. 또 북쪽이 상좌인 것은 임금이 북쪽에서 남쪽을 바라보며 정치를
하기
때문이다. 예로 부터 북쪽은 대궐이 있는 곳으로 인식돼 있었다. 따라서 모든 제사 의식에서는 신주를 모신 사당과 신위를 북쪽에 모시고 제례를 행하는 것이 유교의 일반적 형식이다.영양학적으로 ... ...
삭지도 않고 썩지도 않는 닥나무 한지
과학동아
l
1998년 10호
생닥나무 10kg에서 2kg의 마른 흑피, 1kg의 마른 백피를 얻을 수 있다.4) 백피를 부드럽게
하기
위해서 하루 동안 물 속에 담근다.5) 백피를 40-50cm로 잘라 잿물에 삶는다.6) 잿물기가 빠지면 대나무 발에 올려서 다시 찐다. 기름기를 빼는 과정이며 종이 질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7) 흐르는 물에 씻고 ... ...
PartⅢ. ②부드럽고 충직한 로봇 비서 보트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보트의 세포 속에 안전장치를 심어두는 것은 어떤가? 이를테면 바니 보트의 참화를 방지
하기
위해 보트의 자율성이나 번식력을 제한하는 따위의 일이 한 예가 될 것이다.이것은 앞의 방안에 비해서는 더 설득력이 있다. 바니 문제의 본질은, 보트가 근원적으로 완전히 통제할 수 없는 존재라는 바로 ... ...
건강 파수꾼 침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침을 많이 흘리는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유아들이 분비된 침을 전부 삼키지 못
하기
때문이다. 어떤 아이들은 이가 날 때 침 분비가 많아져 평소보다 더 많은 침을 흘리기도 한다. 이런 현상은 모두 정상적인 생리 반응이다.그러나 나이가 들면서도 침을 흘리는 것은 특별한 병이 있는 경우가 ... ...
장애인을 돕는 로봇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하고, 잡은 물건이 떨어지거나 부서지지 않도록 로봇 손이 힘과 중력을 적절히 안배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 분야에 대한 KAIST 연구수준은 세계 정상급이라고 한다. 세번째 연구는 앞을 못 보는 장애인을 위한 안내견 로봇이다. 1997년 개발에 착수한 이 로봇은 장애물을 피해 목적지를 찾아가는 길잡이 ... ...
지구 위의 몰래카메라 첩보위성
과학동아
l
1998년 09호
1960년대 말부터 운용해왔다.군사용 통신위성은 소형의 지상터미널과 통신해야
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통신위성보다 높은 전력을 요구한다. 미국의 군사통신위성은 DSCS와 밀스타(Milstar)로 대표된다. 밀스타는 DSCS의 후속 프로그램으로 육·해·공군 사이의 상호 통신을 제공한다. 이것은 원자폭탄이나 ... ...
이전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