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밀양 얼음골 파헤치기
과학동아
l
200308
벌였는데, 그때 역고드름이 생겨나는 특이한 곳이라고 보고했다. 변 교수는 “다나카
박사
가 역고드름으로 오해한 것은 일주일이라는 짧은 시간 동안 머물렀기 때문”이라고 말한다.어쨌건 4월에는 이곳 냉혈의 입구에 고드름이 녹으면서 그 안쪽이 보이게 됐다. 변 교수는 냉혈 안에서 녹았던 ... ...
남성 과학자는 30세에 절정
과학동아
l
200308
‘저널 어브 리서치 인 퍼스낼러티’ 최신호에 발표했다.이번 연구결과에 대해 가나자와
박사
는 “남성이 반려자를 만나 결혼을 하고 아기를 낳으면 더이상 경쟁을 할 필요가 없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제로 남성은 결혼 후 경쟁과 행동을 부추기는 것으로 알려진 남성호르몬의 분비가 ... ...
짠맛 신맛 가려내는 전자혀 국내서 개발
과학동아
l
200308
맛을 결정한다. 따라서 분자의 양을 감지하는 훨씬 복잡한 센서기술이 필요하다.배
박사
는 이번 연구에 대해“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느끼는 맛을 객관적으로 수치화한 기기분석 방법”이라면서“식품의 맛을 수치화해 객관적으로 평가했다는 사실에 큰 의의를 두고 있다”고 말했다. 객관화된 맛을 ... ...
쿠루병 감염 원인 식인 행위로 추정
과학동아
l
200308
연구팀은 그들이 사람이나 사슴 고기를 날것으로 먹었으리라고 추측했다.그러나 화이트
박사
는 “모든 네안데르탈인이 식인종이었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단지 그들 중에 식인종이 있었다는 것이다”라고 말했다. 인류에게 정말 식인종의 피가 흐르고 있는 것일까 ... ...
무기·복제·인공지능이 단골 메뉴 무지와 광기가 만든 마법사
과학동아
l
200308
과학자들뿐 아니라 정상적인 과학자들의 특징이기도 하다. 영화 ‘콘택트’에서 앨리
박사
가 외계인의 신호에 인생을 바친 것은 ‘거기에 무엇이 있을까?’라는 호기심과 ‘무언가 있을 것이다’라는 확신 때문이었다. 영화 ‘스피어’에서 과학자들이 목숨을 걸고 심해로 내려간 이유는 둥근 알 ... ...
김치 고유의 유산균 확인
과학동아
l
200308
쎌바이오텍 연구팀이 김치에서 분리, 서울대 천종식 교수가 확인한 종이다.한편 김
박사
팀이 해독한 류코노스톡 시트리움(Leuconostoc citreum)은 이번에 처음 밝혀진 김치 유산균으로 약 2백만쌍의 염기로 이뤄져 있다. 연구팀은 이 유산균의 유전체에서 김치 고유의 시원하고 상큼한 맛을 내는 성분인 ... ...
고갯짓이 판단에 영향 미친다
과학동아
l
200308
대해서는 오히려 결과가 반대로 나타났다.예상과 다른 결과에 대해 페티
박사
와 브리뇰
박사
는“끄덕이는 고갯짓이 사람을 좀더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만들기보다는 자신의 생각에 확신을 갖도록 해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결국 고개를 끄덕이는 행동이 긍정이나 부정에 대해 강한 ... ...
세계 암연구에서 우뚝 선 토종과학자 김규원
과학동아
l
200308
굳이 해외로 나가지 않고도 세계수준의 성과를 얻을 수 있다고 강조한다.김 교수가 비록
박사
학위는 미국에서 했지만 오늘날의 혈관연구는 이러한 동양적인 상호관계의 사고방식을 바탕으로 순수하게 국내 여건에서 이뤄낸 것이다. 특히 최근의 연구성과로서 뇌혈관세포와 뇌성상세포, 그리고 ... ...
고대 영장류는 향기로 배우자 선택
과학동아
l
200307
구분할 수 있어 페로몬 냄새보다 성적 욕구를 좀더 자극하는 신호가 될 수 있다. 장
박사
는 “배우자를 찾을 때 후각보다 시각이 멀리서도 색깔을 구별할 수 있기 때문에 더 유용할 것”이라고 설명한다.고대 영장류에 비해 현대인에게서 색맹이 더 흔히 나타난다. 현대인보다 고대 영장류가 ... ...
컴퓨터에서 구현하는 최적의 실제 상황
과학동아
l
200307
연구가 되고 있다”며 강한 자부심을 표현한다.윤 교수는 중국인
박사
후 연구원과 11명의
박사
과정, 3명의 석사과정 학생들과 함께 오늘도 밤늦도록 연구실의 불을 밝히고 있다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