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6,18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03
작게 만들어 내는 방법은 그
크기
가 작아질수록 어려워지고 있다. 만약 나노미터
크기
의 실리콘, 금속, 절연체들이 스스로 모여 구조를 만들 수 있다면 제작이 훨씬 쉬워질 것이다. 자가조립에 대해 현재 활발히 연구되고 있다. 예를 들면 서울대 연구진은 결함이 있는 기판에 자성원자인 코발트를 ... ...
중학교 과학교과서 컬러시대 열렸다
과학동아
l
200103
싹 바꿨기 때문이다. 어떻게 달라졌을까.우선 외형을 살펴보았다. 첫눈에 들어오는 것은
크기
의 변화. 16.9×23.7cm에서 18.9×25.8cm로 커졌다. 학생들의 어깨가 좀더 아플 듯하다.페이지를 펼쳐보았다. ‘으와! 컬러다!’ 칙칙한 흑백 때문에 교과서의 그림이나 사진은 눈에 별로 들어오지 않았는데…. ... ...
정월대보름 올해 가장 큰 달 뜬다
과학동아
l
200102
달에도 의외로 이처럼
크기
의 변화가 크다.2월 8일 떠오르는 보름달을 한번 쳐다보며 그
크기
를 가늠해보자. 다른 때보다 유난히 크다고 느낄 수 있다면 당신은 상당한 눈썰미를 지닌 사람이다.화려한 별무리와 어울린 목성과 토성태양계의 행성들은 태양 주위를 도는 공전궤도의 기울기가 비슷하기 ... ...
바이러스 걸러주는 필터의 세계
과학동아
l
200102
물이 있는 쪽으로 순수한 물(용매)을 보내 걸러지는 방식이다. 이 방법은 0.001미크론
크기
까지도 걸러낼 수 있는 초정밀 여과방법 중 하나로 이용되고 있다(그림2).그런데 이와 같이 초정밀 여과에 사용되는 필터구멍 0.1nm(1nm=10-9m)의 역삼투압 필터와 이온교환수지가 정수기에 사용되면서 물에 포함된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02
누구나 사용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최근에는 PDA나 핸드헬드 PC처럼 손바닥만한
크기
의 정보기기만을 위한 영화제가 열리기도 했다. ‘엄청나게 짜증나는 필름 페스티벌’이라는 이름의 영화제에 출품된 69개의 작품은 모두 소니사의 핸드헬드 PC ‘클리에’에서 상영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영화의 ... ...
10년 후 세상 주도할 첨단기술 10
과학동아
l
200102
펌프는 칩 안에서 액체를 이동시키고 섞어주는 역할을 한다. 연구자들은 이전에도 DNA를
크기
에 따라 분류하는 T자형 마이크로 튜브와, 세포를 종류에 따라 분류하는 미니 세포분류기 등을 개발한 바 있다.과학자들은 머지않아 칩 위에서 마이크로 유체를 능숙히 다룰 것으로 예상한다. 이때에는 피 ... ...
한국인 위장의 불청객 헬리코박터
과학동아
l
200102
위뿐만 아니라 십이지장 그리고 입안에서도 관찰된다. 갈매기 모양의 길쭉한 균으로,
크기
는 가로 2-7㎛(미크론, 1㎛=10-6m)이고, 세로 0.4-1.2㎛정도이다. 5-6개의 길다란 편모를 갖고 있어 미꾸라지처럼 자유자재로 운동한다. 이 편모를 이용해 점막을 뚫고 자리를 잡아, 점막 표면에 기생할 수 있다.또 ... ...
목소리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시대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02
컴퓨터가 목소리를 합성해 문장을 읽어주는 기술이다. 음성연구실에서는 프로그램의
크기
가 작으면서도 좋은 음성을 만드는데 힘을 모으고 있다.음성기술에서 앞으로 주목받을 분야는 음성변환과 언어식별 기술이다. 음성변환은 원래 목소리를 원하는 사람의 목소리로 바꿔주는 기술이다. 이를 ... ...
1. 감성공학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102
매초 수십억비트의 감각정보가 우리의 감각기관에 전달돼야 한다. 과거에는 이 정도
크기
의 정보를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했다.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이제 충분한 양의 감각정보 전달을 가능케 해 생생한 체험을 현실화하고 있다.이에 대해 한국예술종합학교 정진홍 교수는 이렇게 표현한다."사람은 ... ...
나노세계의 요술지팡이 갖고 노는 물리학자 임지순
과학동아
l
200102
데커박사 그룹이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트랜지스터를 만들었다. 하지만 전체적으로
크기
가 너무 커 탄소나노튜브의 장점인 소형화를 이룰 수 없었다.그러나 아직 갈 길이 멀다. 탄소나노튜브를 이용한 반도체가 실용화되려면 트랜지스터를 비롯한 소자를 어떻게 집적시키느냐가 관건이다. 집적의 ...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