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5 나노머신 찍어내는 프린터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광통신 분야의 첨단 제품의 상산에 적용될 전망이다. 나노임프린트 공정장비는 2
000
년부터 스웨덴의 오브더캣사가 제품으로 출시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이 장비를 개발중이며, 아직 상업화된 사례는 없다.나노잉크 리소그래피 기술은 일종의 인쇄기술로, 평판 위에 잉크를 묻혀 나노구조물을 ... ...
Ⅰ 키워드로 풀어본 월드컵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가장 아래쪽 부분에 맞는 경우를 보자. 공이 시속 5
0
km로 크로스바에 부딪친다면 초당 1
0
회만큼 회전한다고 계산된다. 공이 이 경우보다 더 아래쪽의 크로스바에 맞는다면 그대로 미끄러지듯이 골문 안으로 빨려 들어갈 수도 있다.결국 프랑스와 세네갈은 공과 골대가 맞는 지점에서 수mm 만큼의 작은 ... ...
단백질 구조로 생명현상 규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신약은 이렇게 질병으로 손상된 단백질과 결합해 기능을 조절하는 물질이다.예를 들어 2
0
세기의 흑사병으로 불리는 AIDS(후천성면역결핍증)를 생각해보자. AIDS는 인간의 면역기능을 마비시켜 죽음에 이르게 하는 무시무시한 질병이다. 그런데 면역단백질을 공격하는 HIV 바이러스의 프로테아제 ... ...
왜 과학자들은 남극을 찾아갈까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연구 결과 세종기지 주변 빙벽이 후퇴되고 있음을 확인했다. 또 우리 기지의 평균온도가 1
0
년 동안에
0
.6℃ 상승하는 것을 확인했다. 앞으로는 해양저서생물과 해조류의 생태를 밝혀 오존층의 감소에 따른 영향을 규명할 예정이다. 나아가 분자생물학자들이남극 해양생물의 발생과정, 그리고 남극 ... ...
주사기 없이 혈액을 검사한다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만들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분석에 방해가 되는 이런 파장을 줄이기 위해 샘플의 두께를 5
0
μm 정도로 얇게 만들었다.생체분광학으로 측정한 결과 흡수 스펙트럼이 서로 겹쳐서 단일 성분의 고유한 파장을 찾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복잡한 스펙트럼을 분석하기 위해 다변량통계분석이란 통계방법을 ... ...
미생물이 만든 인류의 역사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회상록 등을 참고해서 쓴 일지 형식의 글 등 곳곳에 재미있는 읽을거리가 가득하다. 1
0
명의 의사들이 나이 순서대로 왕의 맥박을 재는 장면이며, 왕의 죽음이 임박하자 도망을 가는 의사 등의 모습을 읽다보면 그 시대 사람들의 생활을 가까이 다가옴을 느낄 수 있다. 당시의 과학사와 의학사, 그리고 ... ...
디지털캠코더와 함께 나도 이제 영화감독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기능까지 갖춘 것이 대부분이다. 1백만 화소대가 넘으면 값은 상당히 비싸진다. 1백5
0
만 화소대 제품은 2백만원 이상, 3CCD를 이용한 전문가용 제품은 3백-4백만원이 넘는 제품도 있을 정도.앞으로 가정용 디지털캠코더는 크기가 점점 작아지고 무게는 가벼워질 전망이다. 이미 지금도 담배값만한 ... ...
말랑말랑한 떡을 냉동보관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2년 07호
방지하는 방법은 다양하다. 첫번째 방법은 알파녹말 상태의 떡을 영하 2
0
-3
0
℃ 정도에서 냉동 보관하는 것. 말랑말랑한 떡을 급속히 냉동시키면 수분을 빼앗기기 전에 얼어버리기 때문에 노화를 막을 수 있다. 이렇게 얼린 떡을 먹기 직전 냉동실에서 꺼내 해동시키면 다시 처음의 부드러운 상태로 ... ...
1. 전산유체역학이 추정한 가상 시나리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시뮬레이션 결과 금강산댐이 무너지면 약 8억t의 물이 흘러내려와 평화의댐을 최대 3
0
m 높이로 월류할 것으로 예상됐다. 이는 건설교통부가 예상한 월류 높이 7m보다 큰 값으로 예상 밖의 결과다. 물론 이번 결과는 금강산댐에서 평화의댐에 이르는 하천지형에 대한 정확한 자료 없이 계산한 결과이기 ... ...
우주 최대규모 감마선폭발의 정체 벗기다
과학동아
l
2002년 06호
‘잔광’(afterglow)을 포착한 것. 또 GRB
0
11121이 지구에서 5
0
억광년 떨어진 것으로 관측됐다.5
0
억광년의 거리라면 감마선폭발체치곤 꽤 가까운 거리. 그래서 GRB
0
11121의 정체를 밝히기 위해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이 폭발체를 계속 관측하기로 결정했다. 감마선이 초신성으로부터 나온 ...
이전
392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