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d라이브러리
"
가능성
"(으)로 총 5,940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형태의 산소 발견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것이다.${O}_{4}$의 구조는 아직까지 미스터리다. 이전의 이론적인 계산에 따르면 두가지
가능성
이 있었다. 즉 각 꼭지점에 원자가 하나씩 위치하는 마름모꼴 구조나, 세개 원자가 삼각형 배열하고 중심에 하나가 위치하는 구조다. 하지만 연구팀은 ${O}_{4}$의 구조를 아령 같은 ${O}_{2}$ 둘이 느슨하게 ... ...
칩 위에 구현되는 마이크로 화학 공장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응용범위가 무궁무진하다고 할 수 있다. 컴퓨터 마이크로프로세서칩 위에 상상할수 없는
가능성
의 세계가 펼쳐지듯 화학에서도 기판위에 마이크로공장이 탄생할 수 있다는 말이다.마이크로 액체반응기를 예로 들어보자. 액체반응기에는 혼합기, 냉각기, 온도센서가 붙어 있어서 반응 조건을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수백조개의 DNA 분자가 들어 있으므로 해밀턴 경로를 알려주는 DNA 복합체가 들어 있을
가능성
이 매우 높다. 이제 남은 것은 정답 DNA 분자를 찾아내는 것이다. 물론 시험관 속에는 단 하나의 해밀턴 경로가 존재한다. 서울에서 출발해 대전과 대구를 순서대로 지나서 부산에 도착하는 길이다. 그러므로 ... ...
인류 최초의 발명품 이쑤시개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앞으로 이와 유사한 발명품이 개발되면 똑같은 과정, 즉 폭발적으로 보급될 수 있다는
가능성
을 알려준다. 인간은 항상 타인의 발명품을 사용할 자세가 돼 있기때문이다. 발명은 그야말로 모든 사람에게 열려있는 세계라는 뜻이다 ... ...
국내 연구진 탄소나노튜브 위치제어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쉽게 조절된다.이런 이유 때문에 탄소나노튜브는 개발 초기부터 반도체소자로의 응용
가능성
이 모색돼 왔다. 그리고 1997년 네덜란드 델프트대의 데커 연구팀은 최초의 탄소나노튜브 트랜지스터를 개발했다. 이후 IBM사를 비롯한 몇몇 연구기관에서 탄소나노튜브 반도체소자의 개발을 앞다퉈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① 원자세계 신출귀몰한 조화 양자컴퓨터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발전에 영향을 끼칠 분야로 주목받고 있다.미국 국방성이 관심 갖는 이유양자컴퓨터의
가능성
은 1982년 리처드 파인만이 처음으로 제시했다. 파인만이 양자컴퓨터의 개념을 제시했을 때는 양자계를 양자컴퓨터로 시늉내면 좋겠다는 생각이었다. 양자계를 표현하는데 필요한 정보량은 같은 정확도로 ... ...
ㅣ인간복제 찬성ㅣ 과학발달하면 윤리문제 없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않기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그렇지만 최근 상황을 보면 그 전에 복제인간이 태어날
가능성
도 있다. 이 경우 관련 법률에 따라 관련자에 대한 책임 추궁이 있어야 한다. 물론 복제인간 본인에게는 어떤 차별도 있어서는 안되며, 그에 대한 보호대책이 마련돼야 할 것이다 ... ...
복제 연구 추진하는 라엘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그러나 누구인지는 말할 수 없다. 언제 어디서 복제를 할 지도 부아셀리에 박사가 모든
가능성
을 검토해 결정할 것이다. 단 미국인을 먼저 복제할 것이다. 복제는 클로나이드사가 하는 것이며 나와는 관계가 없다. 그러나 6개월에서 2년 안에 복제인간이 등장할 것이라고 생각한다. 부아셀리에 박사 ... ...
배아줄기세포로 뇌신경세포 분화에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것을 확인했다. 이번 실험은 난치병으로 알려진 퇴행성 뇌신경질환 환자들에게 치료의
가능성
을 안겨준다는데 의의가 있다.연구팀은 미국의 생명공학회사인 RMA사로부터 줄기세포연구 관련 연구기금으로 1천60만달러(약 1백 36억원)를 전달받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한 호주 등에서 들여온 13종의 ... ...
1백년만에 대규모 별똥별 퍼붓다
과학동아
l
2001년 12호
기억할 것이다.유럽에서도 원정 관측 와지난 1998년 이후 11월만 되면 언론에서 대유성우
가능성
을 보도했지만 양치기 소년처럼 많은 사람들에게 실망만 안겨주곤 했다. 그렇지만 올해는 달랐다. 날씨와 관측여건도 최상이었고, 정말 사람들을 놀라게 할 만한 커다란 ‘늑대’가 나타났던 것이다.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