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인터내셔널
세계
국제개발협회
개발
협회
국제경쟁력
d라이브러리
"
국제
"(으)로 총 5,598건 검색되었습니다.
칩 위에 세운 생물 실험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있는 고감도 바이오센서 기술 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이 연구는 나노바이오 분야의
국제
학술지 ‘랩온어칩’(lab on a chip) 6월호에 발표됐다.분석하려는 생체 분자에 자성을 띤 나노입자를 붙이고 폭 100, 높이 5마이크로미터(μm) 크기의 미세한 채널(channel)에 넣는다. 채널 옆에 자석을 갖다 대면 ... ...
지구 속 탐험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때문에 송어·연어와 같은 어종은 그 하천이 있는 나라가 어획의 권리를 가진다는 주장이
국제
해양법 상에서 제기되고 있다화성의 양극에서 볼 수 있는 희고 빛나는 부분 이른 봄 화성에서는 극을 중심으로 하여 큰 극관이 위도 50˚근방까지 퍼져서 빛난다 봄부터 여름에 걸쳐 극관은 급속히 ... ...
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우주왕복선 컬럼비아 참사 후 처음으로 시도되는 우주 비행을 맡았다. 디스커버리는
국제
우주정거장(ISS)에서 임무를 수행하고 지구로 돌아오게 된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디스커버리 발사에 앞서 44가지 안전기술을 권고받았다. 핵심 권고사항 10가지와 기타 권고사항 6가지를 소개한다 ... ...
우주정거장의 말하는 컴퓨터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국제
우주정거장(ISS)에 말하는 컴퓨터가 설치된다.‘클라리사’(Clarissa)로 불리는 이 컴퓨터는 음성으로 우주인에게 묻고 우주인이 말한 명령을 수행한다. 이 컴퓨터는 우선 우주정거장에서 물 공급과 세균 감염 여부에 대한 테스트 임무를 담당한다. 이 컴퓨터를 개발한 앤 호키 박사는 클라리사에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년 08호
잡았다. 이번이 그녀의 4번째 우주 비행.- 조종사 : 제임스 켈리(41). 미 공군 대령. 2001년
국제
우주정거장에 물품 보급 위해 한차례 우주 왕복.- 임무 전문가(5명)1. 노구치 소이치(40). 일본 우주항공연구개발기구 소속의 신참 우주비행사. 주로 우주유영을 담당.2. 스테펜 로빈슨(49). 30년 경력의 NASA ... ...
우주에서 펼쳐진 별들의 판타지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상상력을 사랑한다”고 말했다.박 대표는 “스타워즈는 사람들에게 우주 여행을 마치
국제
선 비행기 타듯 가깝게 끌어왔다”고 말했다. 스타워즈는 사람들에게 우주와 과학에 대한 꿈을 심어줬다. 우주에서 펼쳐진 신나는 모험은 수많은 사람들의 상상력을 최대한으로 끌어올렸다. 현실적이든 ... ...
2. 그 많던 공룡을 누가 다 죽였을까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지배자 공룡을 괴롭혔을까. 아직은 확실하지 않다. 과학자의 연구가 인정을 받으려면
국제
적인 학술지에 논문으로 실리거나 학회에서 발표돼야 한다. 이때까지는 다만 확인되지 않은 가설일 뿐이다. 연구팀도 이 같은 검증 과정을 거치기 위해 현재 한창 연구중이다. 실제로 공룡이 사라진 것은 ... ...
앙코르 공연 - 줄기세포의 꿈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설명한다. 실제로 가톨릭대 의대 전신수 교수팀은 6월 19일 열린 ‘가톨릭 줄기세포
국제
심포지엄’에서 “올 4월 팔다리가 마비된 척수손상 환자에게 탯줄혈액에서 얻은 중간엽줄기세포를 주입했더니 요즘 허리에 힘이 생기는 등 일부 효과를 보이고 있다”고 발표했다.서울대 의대 서유헌 교수는 ... ...
하늘의 모든 것에 도전한다 EADS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익스프레스’를 성공적으로 발사했다. 또 아리안5 로켓의 개발과 제작을 담당하며
국제
우주정거장(ISS) 사업의 핵심인 우주실험실과 로봇 시스템 개발에 참여하고 있다.최근에는 미국이 독점하고 있는 GPS시스템에 버금가는 유럽의 독자적인 GPS시스템 ‘갈릴레오 프로젝트’의 주계약자로 선정됐다. ... ...
한국 고래 잡아야 하나
과학동아
l
2005년 07호
제1의 고래고기 소비국인 일본은 이미 ‘과학적 연구목적을 위한 포경을 허용한다’는
국제
협약에 따라 매년 수백 마리의 고래를 잡고 있으며, 나아가 상업적 포경도 허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반대 국가들은 포경을 재개하면 고래가 멸종할 수밖에 없다는 견해를 밝혔다. 특히 호주는 자국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