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용
기교
기술
능력
재주
솜씨
구실
d라이브러리
"
기능
"(으)로 총 5,763건 검색되었습니다.
3. 지능측정의 허와실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표시되는 지적능력보다 성격(심성)에 크게 의존한다고 주장한다. 즉 인내심이 많고 동
기능
력이 강하며 남과 잘 지내는 성격을 가진 사람이 세상을 살아가는데 훨씬 유리하다는 것이다.심리학자를 비롯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인간의 능력을 규명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이제는 지적 ... ...
뛰면서 하는 건강진단 스포츠의학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강조한다. 예를 들어 X선 검사로 폐결핵이 있는지만을 보는 것이 아니라 운동할 때 폐
기능
이 정상에 비해 어떤 상태로 작동하는지를 검사해야 한다는 것. “사람은 움직이는 동물이므로 움직일 때 검사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주장이다. 몸에 맞는 운동처방 절실고혈압과 당뇨에 시달리던 60대 ... ...
한글3.0b VS MS워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편하더라.”결국 현재 자신이 사용하고 있거나 앞으로 사용할 워드프로세서는 무턱대고
기능
이 최고라고 선전하는 제품만을 고르기 보다는 자신의 손에 익었거나 아니면 자신의 입맛에 맞는 제품을 골라 쓰는 것이 더욱 현명한 선택인 것 같다 ... ...
3. 세계톱10을 준비하는 KAIST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비약적인 발전을 계속해왔다. 그러나 실제로 최근 10여년간은 다른 교육기관과 유사한
기능
에서 약간 우위에 서는 결과밖에는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양적인 팽창 이전에 우리나라의 과학과 기술을 선도하기 위한 교육방향의 선구자적 개척과 제시는 거의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그렇다면 KAIST가 ... ...
1. 컴퓨터에서 맥 못추는 '과학 한글' 왜 그럴까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이러한 문제는 운영체제가 여러개의 소프트웨어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멀티태스킹
기능
을 지원하는 윈도로 이행하면서 더욱 심각해지고 있다.다행히 운영체제를 독점적으로 공급하고 있는 마이크로소프트사도 이런 문제점을 인정해서 94년말 윈도95부터는 운영체제에서 조합형 한글을 ... ...
3. 사용자·프로그래머가 보는 한글코드 문제
과학동아
l
1996년 02호
지원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보내야만 한다. 또 해당하는
기능
의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해서 많은 시간을 보내거나, 비록 한글은 지원되지만 실제로는 2바이트 문자 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한글을 두개의 문자로 보고 작동하다가 실행중 다운되는 커스텀 컨트롤도 상당히 ... ...
PART Ⅲ. 참선에서 공중부양까지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있게 된다”고 설명한다.두뇌는 마음과 몸이 교류하는 영역이다. 두뇌가 더 동조적으로
기능
할수록 공중부양이 더 완벽하게 일어난다. 시디 기법들을 통해 초월의식을 보다 확실히 경험할 수 있으며, 감수성 지능 창조성 친화력 직관력 등이 향상됨이 입증되고 있다.현재 공중부양을 비롯한 ... ...
불로초에 도전 호르몬요법, 젊음을 유지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한 연구에 따르면 이 호르몬은 특히 남성의 심혈관
기능
과 심장병의 위험, 그리고 면역
기능
에 중요하게 관련된다고 한다.정신적 행복감은 미지수옌 박사는 16명의 중노년기 사람들에게 1년 동안 이 호르몬을 투여한 결과 전반적인 건강 상태가 75%나 회복됐다고 말한다. 얼마 전 워싱턴에서 열린 한 ... ...
3. '법없는 세상' 자율통제 가능하다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담당자는 공개적으로 다른 사용자들에게 사과를 해야 했다.인터넷에도 하이텔과 비슷한
기능
을 하는 BBS가 많다. 지난해 어느 BBS에 '무명씨'(anonymous)라는 방이 하나 생겼다. 초창기에 이 방에는 자신의 익명성을 십분 활용하는 저열한 글들이 수없이 올라왔다.자정의 목소리도 나왔으나, 이보다 더 큰 ... ...
피부 인생의 계급장, 주름은 왜 생기나
과학동아
l
1996년 01호
것은 피하지방층에 지방이 쌓이기 때문이다.동물의 피부는 종류에 따라 해부학적 구조나
기능
이 상당히 다르다. 뱀은 표피층 밑에서 새로운 표피층이 생겨 일정한 기간을 두고 한번씩 허물을 벗는다. 포유동물인 경우 사람처럼 표피층 진피층 피하지방층이 있으나 털이 많은 부위의 표피는 매우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