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세
세금
공세
공조
요금
조공
지불금
d라이브러리
"
세
"(으)로 총 7,755건 검색되었습니다.
계산법의 혁명, 로그의 발견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로그는 물리적인 양을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어서 자연현상의 단위에도 쓰인다. 지진의
세
기를 측정하는 단위 리히터는 지진파의 최대 진폭을 이용해서 지진의 크기를 알려 주는 단위다. 지진의 최대 진폭은 매우 큰 수로 표현되는데, 이때 로그는 큰 수를 작은 수로 바꿔 누구나 쉽게 그 정도를 알 ... ...
190만 년 전 인류‘
세
디바’발 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사람처럼 뛸 수 있는 긴 다리를 갖고 있으며, 키는 127㎝ 정도로 계산됐지요. 과학자들은
세
디바를 통해 오스트랄로피테쿠스에서 현생인류가 어떻게 진화해 왔는지 밝혀낼 계획이에요 ... ...
번호를 사용하는 자물쇠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큰 경우의 수를 갖는다.이처럼 전자 번호키는 경우의 수가 증가한 면에서도 안전하지만
세
번 이상 실패하면 ‘삐’소리를 내며 몇 분간 작동을 멈춘다. 과학 발달로 점점 더 안전한 자물쇠가 만들어지고 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여는 열쇠 자물쇠 속 수학 열쇠 속 수학 번호를 ... ...
대박을 부르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맞는 맞춤 서비스를 해 준다는 건 나쁘지 않은 서비스지. 하지만 내 일거수일투족이 모두
세
상에 공개되는 것 같아서 싫더라고. 물론 뭐니뭐니해도 머니가 휴대전화를 사용하지 않게 만든 가장 큰 요인이긴 하지만, 하하.2010 인구주택총조사올해 11월 1일부터 15일까지 ‘2010 인구주택총조사’가 ... ...
눈을 크게 뜨고 봐야 하는 통계
수학동아
l
2010년 09호
얼마나 좋을까요?선생님 : 하하, 그런데 만일 기쁨이가 두 과목은 100점 받았는데
세
과목이 44점이면 기말고사 성적의 대푯값은 44점이 될 수도 있어요.기쁨 : 헉, 그럴 바에는 차라리 평균을 쓰는 게 낫겠어요.사랑 : 그런데 최빈값은 뭔가 정확하지 않은 거 같아요.선생님 : 그럼 대푯값을 또 다른 ... ...
세
상에서 가장 성스러운 강 2510km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뙤약볕 아래서 노를 젓는데 제법 시원한 바람이 불어온다. 시간이 지날수록 바람은 점점
세
지고 물결이 일렁이기 시작했다. 파도가 높아지고 카약의 머리가 하늘로 솟구쳤다가 물속으로 곤두박질쳤다. 필사적으로 노를 저어 뭍으로 올라와 초가 움막에 몸을 숨겼다. 태풍에 버금가는 바람이 점점 ... ...
과학으로 피어나는 모나리자 코드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아랫부분은 어린 인물을 담고 있다.남성성과 여성성, 성숙함과 미숙함을 두루 갖춰 전
세
계 사람들이 매료될 만한 특유의 표정이 탄생했다. 머리카락보다 얇은 수십 겹의 물감층에서 피어오르는 오묘한 미소와 한 얼굴에 들어 있는 남녀노소 얼굴의 특징은 레오나르도 다빈치가 500년이 지난 지금도 ... ...
도시의 미래를 꿈꾸다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다시 펼쳤다. 그는 “디자인은 산업혁명과 비견될 만한 강력한 변화의 매개체”라며 “
세
계의 도시가 디자인을 통해 도시 혁신을 꿈꾸고 있는 상황에서 서울을 비롯한 한국의 도시도 함께 뛰어들어 경쟁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어 “결국 성공 여부는 관이 얼마나 시민들과 소통된 정책을 ... ...
나로호 내년에
세
번째 발사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한국형 우주로켓인 나로호(KSLV-1)의 3차 발사가 내년에 추진된다. 나로호는 지금까지 모두 2번 발사됐지만 2009년 8월 발사한 첫 번째 나로호는 인공위성 덮개(페어링)가 분리되지 않아 실패했으며 올해 6월 10일 발사한 로켓은 발사체 이상으로 공중 폭발했다.교육과학기술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 ...
F1 머신에 민무늬 광폭 타이어를 다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9호
살리면서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시설물을 설치해 친환경성을 강조했다.이미 전
세
계 19곳에 있는 F1 경기장이 다른 곳에 추가로 생길 가능성은 거의 없어 보인다. 주최측이 주관사에 1회당 300억 원이 넘는 천문학적인 비용을 지불할 만큼 F1은 국가의 정책적 지원은 물론 국민의 적극적인 관심이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