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시초
시작
최초
서두
초기
머리말
개시
d라이브러리
"
처음
"(으)로 총 10,97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는 이소연을 보내줄 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보장이 없는 시대였다. 아폴로 프로젝트에 참여했던 28명 중 15명에게 아폴로 계획은
처음
이자 마지막 비행이었다. 우주에 머문 시간도 상당히 짧았다. 당시에는 국제우주정거장이 없었기 때문이다. 아폴로 시대의 비행사는 냉전이라는 극심한 스트레스에 시달리며 파리 목숨 같은 직업을 가지고 ... ...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개의 마디로 이루어진 절지동물이다. 캄브리아기 초기인 약 5억2100만 년 전에 바다에서
처음
등장한 뒤, 페름기 말에 일어난 지구 최대의 대멸종 사건 때 사라지기까지 약 2억7000만 년 동안 바다의 주인공이었다. 연구된 종의 수만 2만 종이 넘고 지금도 계속 새로운 종이 발견되고 있다. 화석 생물로는 ... ...
[Life & Tech] 한밤중 모기의 습격, 불임수컷으로 완전정복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처음
으로 알려지게 된 사건이다.지하집모기는 좁은 공간에서도 교미가 가능하고, 맨
처음
알을 낳을 때는 흡혈을 하지 않아도 산란이 가능하다. 온도와 습도만 유지한다면 먹이 없이도 번데기에서 부화한 성충끼리 만나 교미를 하고 한 차례 알을 낳을 수 있는 것이다. 도심의 지하공간은 ... ...
아이디어 발전소1 - 귀로 말하는 이어폰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신두식 대표는 10여 년 전 어느 전시회에서 ‘귀로도 음성이 나온다’는 사실을
처음
듣게 됐다. 신 대표는 이 원리를 이용해 소형 마이크와 스피커를 귀 속에 함께 장착해 외부 소음은 차단하고 말소리만 전달하는 이어폰을 개발했다.말할 때 귀와 연결된 코 안(비강) 전체가 울리는 현상에 착안해, ... ...
동토의 제국이 숨 쉬기 시작했다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더 늘어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극지연 연구팀은 올해 메탄을 측정할 수 있는 장치를
처음
이곳에 설치해 본격적인 연구에 들어갔다.동토 2m를 시추하다올해 시도한 또 다른 연구가 동토층 2m 시추다. 현장에 간 두 번째 날, 일손이 부족하다는 말에 기자도 시추작업을 거들었다. 드릴로 금새 하는 줄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이순신 장군이 왜군의 침입을 막기 위해 만들었다고 알려져 있어요. 그러나
처음
거북선 형태를 떠올리고 설계하고 직접 만든 사람은 나대용 장군이랍니다. 어릴 때부터 호기심이 많았던 나대용은 물 위에서 재빠르게 헤엄치는 물방개에 영감을 받아 빠르고 강한 천하무적 배를 만드는 꿈을 갖게 ... ...
Part 1. 전격 분석! 필즈상의 모든 것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제7회 세계수학자대회를 열 수 있었다. 이는 세계수학자대회가 유럽이 아닌 대륙에서
처음
으로 열린 사건이었다. 게다가 필즈는 바로 이 대회에서 앞으로 매 대회마다 우수한 업적을 쌓은 두 명의 수학자에게 메달을 수여하자는 제안을 한다. 평소 필즈는 노벨상에서 수학이 제외된 것을 안타깝게 ... ...
[시사]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얻나요?예전부터 많은 사진작가들이 작은 피규어들을 작품에 활용하고 있어요. 제가
처음
디오라마 작업을 할 때에는 다소 평범한 사진들을 많이 찍었어요. 그러다가 우연히 데이비드 레빈탈이라는 작가의 디오라마 사진을 보게 되었고, 순간 많은 아이디어가 뇌리를 스쳐갔죠. 지금은 이 작가의 ... ...
[시사] 수학계 라이징 스타를 만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예를 들어 피아노 연주하는 걸 좋아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 봐요. 이 사람도 피아노를
처음
배울 때는 재미없었을 거예요. 그러다 자신이 원하는 곡을 자유자재로 치게 됐을 때 재미를 느꼈겠죠. 수학도 마찬가지예요. 우선은 재미없어도 열심히 하는 방법밖에 없어요. 그러다 어느 경지에 도달해서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아니라 야외의 어떤 환경에서도 똑같이 작동하는 군집 알고리듬 연구 가 필요하다.
처음
에 말한 드론 군집 비행도 실험실에 서 여러 대의 카메라를 설치해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종종 건물이나 산을 뚫고(!) 가라고 오작동하는 걸 보면, 위 치를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