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간격
길거리
사이
길
틈
가로
틈새
뉴스
"
거리
"(으)로 총 5,269건 검색되었습니다.
[ESC의 목소리 (15)] 학부 공학 교육이 망가지고 있다
2017.07.22
별 상관이 없다. 기업이 학교를 훨씬 앞서 있는 분야에서는 학교에서 쓸 수 있는 논문
거리
를 찾아 기업이 관심 없을 문제를 파고들다 보면 오히려 주류 트렌드와 멀어지는 경우가 많다. 교육과 연구는 병행해야 한다는 주장은 일견 당연해 보인다. 하지만 바로 저 논리가 망가진 학부 교육을 방치하는 ... ...
거미처럼 벽 타는 ‘스파이더맨 슈트’ 현실화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읽을 수 있다. HUD는 착용자가 어떻게 움직여야 하는지도 보여준다. 레이저를 이용해
거리
를 측정해주는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덕분이다. 라이다는 방출한 레이저가 주변 사물과 부딪힌 뒤 다시 돌아오는 시간을 계산해 주변 사물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이 정보를 시각적으로 ... ...
요가 하던 여성이 염소를.... ‘잠깐 공포 사진’
팝뉴스
l
2017.07.21
누구도 원하지 않는 살생이 일어난 것이다. 그러나 현장 분위기가 공포나 경악과는
거리
가 멀다. 다행스럽게도 착시 사진이다. 염소는 발끝에 채인 정도의 충격만 입었고 주위 여성들도 정신적 충격을 받지 않았을 것으로 보인다. 화제의 이미지는 네티즌 사이에서 ‘1초 공포 사진’이라 불리며 ... ...
중국의 우주 굴기, 국제 협력·상업화로 이어간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9
감청이 불가능한 ‘양자(量子)통신 위성’ 발사에 성공한 바 있으며, 올해는 최장
거리
양자 이동 기록을 세우기도 했다. 이를 바탕으로 중국은 세계 양자통신 시장도 선점할 것으로 기대된다. 톈 사무총장은 “중국의 모든 우주개발 전략은 돈”이라며 “후발 주자인 중국이 다른 나라보다 ... ...
클로즈업, 지구보다 큰 ‘태양계 최대 폭풍’
팝뉴스
l
2017.07.19
한자어 번역으로는 ‘목성 대적점’이다. 탐사선 주노는 지난 11일 10,000km 이내의
거리
에서 이 대적점을 촬영했다. 마치 추상화 작품 같아 신비롭다. 색체가 빨간색 위주이니 남기는 인상을 더욱 강렬하다. 목성 대적점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폭풍이다. 지난 4월 너비가 16,350km이다. 지구 지름의 1.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뇌는 이런 운동을 원한다
2017.07.18
살고 있는 탄자니아의 하드자 사람들. 뒷모습만 봐도 대사질환이나 신경퇴행성질환과는
거리
가 멀 것 같다. 실제 이들이 심혈관계질환에 걸리는 경우는 드물다고 한다. - Brian Wood 제공 수렵채취인들이 우리처럼 따로 운동을 하는 것도 아니고 그저 먹고 살기 위해 하루에 몇 시간씩 돌아다니며 ... ...
치타가 빠른 이유는 적절한 체중 때문? 모든 동물에 통하는 속도 분석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동물의 속도는 다리나 날개, 지느러미 같은 이동 수단이 한 번 움직이는 동안 가는
거리
와 얼마나 빠르게 그 움직임을 반복해 가속시킬 수 있는가에 좌우된다. 각 이동 수단 속에 있는 근섬유가 신진대사 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꿔 속도를 내는 원리다. 체중이 큰 동물이 근섬유양도 많다. ... ...
우주 최강 생명체 ‘물곰’ 죽이는 3가지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14
블랙홀이 될 때 발생한다. 감마선 폭발로 지구의 바다를 끓이려면 40광년 이내의
거리
에서 폭발이 일어나야 하지만, 연구진은 이 가능성 역시 희박하다고 일축했다. 바티스타 연구원은 “인간은 기술로 스스로를 보호해야 할 연약할 존재지만, 생명력이 질긴 지구의 다른 어떤 종들은 인간이 ... ...
명왕성 대체할 태양계 아홉 번째 행성은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4
일반적이지 않았는데 이를 해왕성의 영향으로 보기엔 해왕성과 소천체들 사이의
거리
가 너무 멀다”고 설명했다. 또 이들은 카이퍼 벨트를 이루는 소천체들이 태양 9의 파편일 수도 있다고 했다. 지난해 1월에는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의 콘스탄틴 배티진 교수와 마이클 브라운 교수가 카이퍼 ... ...
최첨단 위성기술에 숨은 이스라엘의 ‘생존 의지’
동아사이언스
l
2017.07.12
됐다”고 소개했다. 이스라엘은 우주발사체 ‘샤비트’를 보유하고 있다. 샤비트는 중
거리
탄도미사일(IRBM)을 개조해 만든 것으로 1988년 처음 개발 당시 탑재 무게가 100㎏ 정도였다. 그 후 7년 동안 개발해온 대부분의 인공위성을 100㎏ 무게에 맞춰야 했다. 이후 1995년 개발한 후속 로켓 샤비트1은 20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