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광채
광명
빛깔
광
라이트
광선
색깔
뉴스
"
빛
"(으)로 총 4,105건 검색되었습니다.
"식품연구는 음지서 양지를 지향하는 것"
동아사이언스
l
2013.09.11
싶기도 합니다. 전자레인지가 처음 나왔을 때도 사람들은 겁냈습니다. 인체에 해로운
빛
을 쏘이는 게 아니냐는 거였죠. GMO 문제도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거라 믿습니다. 방부제처럼 GMO도 꼭 필요하다고 봅니다. 특히 아프리카의 가난 해결에는 GMO가 큰 도움을 줄 겁니다.” - 요즘엔 일본 방사능 ... ...
연잎 덕분에 만들어진 메모리 소자
동아사이언스
l
2013.09.10
소자를 제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용 교수는 이번에 개발한 메모리 소자에 대해 "
빛
의 입사각에 따라 저항변화 특성이 조절되는 소자"라며 "나노소자와 생체모방기술을 접목한 것"이라고 말했다 ... ...
연꽃이 두려운 사람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9
기억이 아직도 생생하다. 700년 된 씨앗이 꽃피운 연꽃은 향기도 우아했고 꽃잎의 분홍
빛
이 무척 신비로웠다. 당시 필자는 꽃잎 몇 장에서 테두리가 약간 일그러진 걸 보고 ‘오랜 세월 있다 보니 유전자에 결함이 생긴 결과인가’라고 근거없는 추측을 하기도 했다. 아무튼 이렇게 취재해온 연꽃 ... ...
인체 영향없이 자세히 질병진단 가능한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9
성질인 집속, 증폭 등의 특성을 제어 할 수 있는 구조를 개발한 것”이라며 “강한
빛
으로 반도체 표면에 회로를 그리는 ‘리소그래피’ 등의 첨단 산업기술에도 적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연구성과는 국제학술지인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일자 온라인판에 소개됐다 ... ...
덕유산의 일출
동아사이언스
l
2013.09.09
겹겹이 드리워진 산줄기를 휘감으며 피어난 운해 사이로 아침 태양이 비치면, 초가을
빛
으로 물들어가는 크고 작은 연봉들이 모습을 드러낸다. photo by HAYANA (사진을 사랑하는 사람들) * 원본 사진 보기 : http://photo.dongascience.com/board/gallery/view/19906 ...
인류 문명 알고보니 곤충이 이끌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9.08
물리학적인 견해의 차이, 그리고 ‘풀었다’라는 말을 쓸 수 있는지에 대한 논쟁으로
빛
이 바랬지만 현대 수학에도 풀지 못하는 문제들이 여전하다는 인식을 인식을 일반인들에게 각인시켜 주기에는 충분했다. 이 책은 제목에서도 알 수 있듯 수학사를 뒤흔든 14가지 난제에 대해 친절하게 ... ...
[자연과학]원전재앙의 땅 위에서 카르페 디엠을 외치다
동아일보
l
2013.09.06
자신의 마음으로 느끼겠다’며 치열하게 사색해낸 결과물이다. 곳곳에서 유머가
빛
을 발하는 그의 글은 국가의 역할, 국가와 개인, 인간의 자유와 존엄에 대한 묵직한 물음을 던진다. 저자는 집을 방문한 재일교포 작가 서경식 씨와의 대화에서 “원전 사고 이후 피해 지역민으로서 과거 일본의 ... ...
"노벨상 위해선 한 분야에 10년 이상 꾸준히 투자하세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9.06
놀랄 만한 큰 성과는 결국 기초과학에서 나오지만 응용과학이 튼튼해야 이런 성과도
빛
을 발할 수 있다”고 전했다. 클리칭 소장은 한국에 적합한 기초과학 분야를 짚어 달라는 질문에도 비슷한 대답을 했다. 삼성전자 같은 세계적인 기업이 있는 만큼 기초과학을 연구할 때도 상온초전도 등 ... ...
양성자가속기는 "응용과학에 폭넓게 활용"
동아사이언스
l
2013.09.06
양성자가속기는 가속시키는 대상이 다른 만큼 쓰임새도 다르다. 아주 밝은
빛
을 내는 방사광가속기는 세포같이 작은 세계를 관찰하는 ‘현미경’으로, 큰 에너지를 가진 양성자빔은 물질의 구조나 성질을 조작하는 ‘수술용 칼’로 쓰인다. 즉, 방사광은 미시세계의 다양한 현상을 규명하는 ... ...
정밀한 기후모델링으로 지구온난화 주범 잡고보니 블랙카본
동아사이언스
l
2013.09.04
NASA)의 윌리엄 라우 박사가 함께 제시한 가설로 대기 중의 블랙카본이 태양
빛
을 흡수·가열되면 열펌프처럼 작용해 온난한 기류를 히말라야 산맥을 따라 밀어 올린다는 내용. 김 교수는 이같은 연구결과를 환경과학분야 국제학술지 '환경연구레터스'(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에 게재해 '2006년 ... ...
이전
393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