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모
생김새
모양
외모
형상
외관
양상
d라이브러리
"
모습
"(으)로 총 6,407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라크 무기사찰에서 사용되는 불법무기 추적법
과학동아
l
200301
오는 마이크로파 복사 이 복사는 빅뱅우주론의 증거로서 또 우주가 공간적으로 한가지
모습
이라는 우주원리의 관측적 증거가 된다X선의 파동성을 이용하여 재료의 구조를 해석하는 방법종이를 뜨기 위해 펄프 섬유에 물을 가하여 이루어지는 기계적처리 이 처리의 조절에 따라 섬유는 절단되거나 ... ...
2003년 생활 변화시킬 IT제품 퍼레이드
과학동아
l
200301
iRobot Roomba는 청소능력이 제법 놀랍다. 원통형의 메인 브러쉬와 양팔을 뻗고있는
모습
으로 장착된 사이드 브러쉬가 강하게 회전하면서 빗자루로 쓸어 먼지를 빨아들이는 방식으로 청소한다. 먼지를 모으는 부분은 서랍식으로 설계돼 있어 별도의 먼지봉투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분리해 내용물을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01
효모 유전자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것이었다.연구사업단장으로 응모한 계기여장부의
모습
이 연상되는 첫인상을 가진 유향숙 박사. 현재 유 박사는 1년에 1백억원씩의 연구비를 10년 동안 자신의 계획에 따라 사용할 수 있는 인간유전체기능연구사업단의 단장이라는 중책을 맡고 있다. 이런 대형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01
별들이 성운(먼지와 가스로 이뤄진 성간구름)에서 무리지어 태어나면서 우연히도 양의
모습
을 빚어낸 것이다. 잘 보면 별무리 주변의 성운 역시 푸른빛으로 물들어 있다. 별무리에서 나온 빛 가운데 푸른빛이 주변 성운의 먼지에 의해 산란됐기 때문이다. 이런 성운을 반사성운이라 한다.이제 성운 N3 ... ...
겨울밤의 명소 오리온대성운
과학동아
l
200301
밤하늘의 멋진 보석들 중에서 우리에게 가장 친숙하고 또 접근하기도 쉬운 대상이 하나 있다. 바로 겨울밤을 화려하게 수놓는 오리온대성운이다. 추운 겨울밤하늘 높이 떠있는 ... 때문에 붉은색이 드러난다.그럼 오리온대성운은 어떻게 보일까. 다만 희뿌연 구름 같은
모습
으로 빛난다 ... ...
① 아인슈타인도 몰랐던 블랙홀의 진실
과학동아
l
200301
연구팀이 하와이에 있는 제2 케크 망원경을 이용해 중(中)적외선으로 찍은 이
모습
에는 특히 ‘북쪽 팔’(Northern Arm)이라 불리는 가스와 먼지 흐름이 두드러졌다. 실내 온도 정도인 물체가 방출하는 중적외선은 은하 중심 주변의 별에서 나오는 가시광선을 흡수한 먼지장막이 내놓은 것이다. 은하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01
한마리의 뱀이 감겨있다. 이 뱀은 의신의 하인으로, 해마다 허물을 벗고 새롭게 소생하는
모습
에서 치료와 소생의 이미지가 생겨난 것이다.실제로 뱀이 의학의 발전을 이끌기도 했다. 17세기 영국의 의사 하비는 혈액은 심장에서 계속 생성된다는 갈레노스의 주장에 맞서 혈액은 온몸을 순환한다고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01
인해 좀비가 돼버린 백성들을 학살한 후 언데드 종족의 강력한 힘에 무력한 자신의
모습
을 발견한 아써스(Arthas) 왕자는 백성들을 구할 수 있는 강력한 힘을 얻기 위해 악마의 검 프로스트모운(Frostmourne)을 구하게 된다. 그러나 아써스 역시 나약한 의지를 가진 인간이었기에 검의 마성에 지배당할 수 ... ...
모험이의 스타워즈 에피소드
과학동아
l
200301
통해 영화보는 재미가 배가됐다. 모험이는 광선검으로 활약하는 제다이의 눈부신
모습
에 반하고 말았다.그날 밤 모험이는 꿈에서 스타워즈 에피소드에 등장하는 제다이로 변신해 있었다. 그에게 주어진 임무는 세행성을 다니면서 우주전쟁을 일으키려는 세력을 차단하는 것. 영화와는 달리 ... ...
달에서 갓 태어난 충돌구덩이 발견
과학동아
l
200301
찍었던 사진을 보자 1953년 섬광이 나타났던 그곳에 2km 크기의 크레이터가
모습
을 드러냈다. 달 표면 아래의 흙이 튀어나와 갓 태어난 것처럼 밝고 푸르게 보였다. 과학자들은 이 크레이터를 통해 달 토양을 연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