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년"(으)로 총 23,218건 검색되었습니다.
- Chapter 04.면역┃ 인체를 지키는 면역세포 5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반응의 두 가지 면역 경로를 보유하고 있다는 현대 면역학의 토대가 만들어진 건 1980년대에 들어서였다.우리 몸의 면역세포가 항원을 먹어치우는 건 선천 면역반응에 해당하고, 항원에 특이적으로 맞서 싸우고 항원을 제거할 항체를 생성하는 건 후천 면역반응에 해당한다.오랜 기간 인간은 ... ...
- T림프구...바이러스 자살 유도하는 똑똑한 전사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등 인체에서 무가치한 부위를 나타내는 용어로 쓰였다.흉선의 쓰임새가 확인된 건 1961년이 돼서였다. 당시 영국 런던의 체스터비티연구소(Chester Beatty Research Institute) 소속 자크 밀러 연구원은 흉선을 제거한 어린 생쥐에게 다른 생쥐의 피부를 이식하는 실험을 진행했고, 이식받은 피부가 괴사하는 ... ...
- Chapter 05. 노벨상┃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년 면역거부반응의 이유를 찾다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2011년 선천 면역과 후천 면역의 시작을 알아내다 ○ "백신 개발 전까지 코로나19는 위험한 질병”_ 피터 찰스 도허티 호주 멜버른대 ... ...
- 1969년 바이러스의 복제 과정을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박테리아(세균)를 숙주로 삼는 바이러스 그룹인 박테리오파지를 연구했다. 이들은 1940년대부터 박테리오파지를 연구하는 미국의 비공식연구단체 ‘파지 그룹(phage group)’을 결성했다. 박테리오파지는 1915년 영국 브라운동물연구소의 미생물학자인 프레더릭 트워트가 처음 발견했다. 그는 ... ...
- 1919년 바이러스 파괴하는 보체를 발견하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800년대 후반은 면역 혈청 연구가 급속도로 발전하던 시기였다. 매독, 디프테리아, 파상풍 등 병원체에 감염되면 쉽게 목숨을 잃는 시대였기에 면역 혈청 연구는 더욱 중요했다. 당시 과학자들은 병원체에 감염된 혈액에는 해당 병원체를 특이적으로 공격하는 항체가 있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벨기에 ... ...
- 1984년 단일클론항체를 만들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케임브리지대 분자생물학연구소에서 연구 중이던 밀스테인의 연구실에 1974년 합류해 2년간 공동연구를 진행했다. 두 연구자는 체내에서 항체를 생산하는 B림프구(B세포)에 주목했다. 항원이 들어오면 B림프구는 항원 결정 부위와 반응하고, 이런 반응의 결과물로 항체가 생성된다. 연구팀은 ... ...
- 1996년 면역세포가 ‘남’을 구분하는 원리를 밝히다과학동아 l2020년 07호
- 면역이라고 하는데, 병원체 감염 초기에 인체가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방어 기작이다.1970년대까지 항체를 기반으로 한 후천 면역은 많은 부분이 밝혀져 있었지만, T림프구가 감염 초기에 어떻게 정상 세포는 건드리지 않고 바이러스에 감염된 세포만 인식해 죽이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했다.호주 ... ...
- 세포에 바이러스를 기억시켜라과학동아 l2020년 07호
- 활발하게 돌연변이를 일으키고, 이 과정에서 항원 부위에 변화가 생기기 때문이다. 매년 유행하는 인플루엔자바이러스는 그나마 항원 부위의 변화가 조금씩 천천히 일어난 결과다. 이를 항원소변이라고 한다. 이와 달리 2009년 발생한 신종플루는 돼지에 감염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 ...
- DNA&RNA 백신_코로나19 백신 Covid-19-vaccine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있다. 모더나는 RNA 백신 후보물질로 전 세계에서 가장 먼저 임상시험을 시작했고, 2020년 7월 3만 명을 대상으로 백신의 안전성과 효능을 최종적으로 점검하는 3상 임상시험을 진행한다. 이 시험을 통과하면 백신을 바로 판매할 수 있다. 제넥신도 2020년 6월 11일 코로나 백신 후보물질인 DNA 백신 ‘GX-1 ... ...
- Chapter 07. 치료제┃인간 지킬 유일한 방패, 백신항바이러스제 개발의 꿈과학동아 l2020년 07호
- 임상시험에서 메르스 치료에 대한 효능을 입증한 약물은 없었다. 메르스가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이나 지속됐음에도 항바이러스제는 단 한 종류도 개발되지 못했다.문제는 코로나바이러스뿐만이 아니었다. 2009년 신종 인플루엔자바이러스, 2013년 에볼라바이러스가 차례로 찾아왔다. ...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