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리
대행
대변
대표
대치
대체
대리인
d라이브러리
"
대신
"(으)로 총 5,629건 검색되었습니다.
③ 홀로그램 동영상으로 영화 감상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방식이 제안되고 있다. 하나는 합성 홀로그램을 이용하는 것이다. 한장의 큰 홀로그램
대신
에 물체의 여러 방향에서 촬영한 다수의 작은 홀로그램을 이용해 상을 재생하는 이 방법은 재생시 해상도를 해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데이터량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다른 하나는 홀로그램 자체의 데이터량을 ... ...
[KAIST] 운전자까지 포함한 원전 디지털화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공간도 많이 차지한다.디지털 방식은 이같은 아날로그 방식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다.
대신
아날로그 방식에 없는 문제가 생긴다. 디지털 방식은 아날로그 방식에서는 없던 소프트웨어를 쓰며 이런 소프트웨어의 신뢰성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아무리 작은 소프트웨어의 결함이라도 허용되지 않는 ... ...
반도체 나노소재기술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구동된다는 단점이 있다. 상업화에 성공하려면 실온에서 작동할 수 있어야 한다.풀러렌
대신
탄소나노튜브를 스위치로 이용하는 방법도 가능하다. 1-10nm 두께의 대롱 모양인 탄소나노튜브를 전자의 이동통로로 사용하는 것이다. 탄소나노튜브의 경우 전압에 따라 두개 튜브의 접합을 조절해 ... ...
자동 조율되는 피아노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음을 맞춰 준다. 미국의 발명가인 돈 길모어가 개발한 자동조율장치는 이 작업을 전류가
대신
한다. 금속선은 열을 받으면 팽창한다. 길모어의 자동조율장치가 장착된 피아노는 출고 전에 반음의 3분의 1 정도 높은 음으로 맞추어져 있다. 자동조율장치는 피아노 현에 전류를 흘려줌으로써 현을 ... ...
① 예측 불가능한 기형아 태어날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생명공학기술은 체세포복제술이다(그림 1). 간단히 말하면 생식세포인 정자와 난자
대신
, 체세포와 핵을 제거한 난자를 전기·화학적 방법으로 융합해 수정란을 만든다. 난자는 영양분을 제공하는 인큐베이터 역할 밖에 하지 않기 때문에 아이의 유전정보는 체세포의 제공자와 같게 된다. 수정란은 ... ...
2 암 발생시키는 표적을 탐지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국내의 현실을 보면, 질량분석기 자체에 대한 기술 개발과 연구는 전혀 없는 상태다.
대신
프로테오믹스에 이용하기 위한 단백질 질량분석 기술을 확보하고 있으며, 이를 단백질 연구에 응용하고자 하는 연구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이화여대에서는 암과 심혈관계 질환의 신호전달 관련 연구에 MALDI ... ...
코르크 마개 퇴출은 생태계 적신호?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둔 포도주 역시 별다른 차이가 나지 않았습니다. 상식이 허구였던 것입니다.크란 박사는
대신
포도주를 잔에 따르고 마시기 전 몇번 흔들어주면 산소분압이 일반 대기와 같아짐을 밝혀냈습니다. 병원 직원 10명을 대상으로 시험한 결과 모두 이렇게 잔을 흔든 뒤 포도주 맛이 더 좋아졌다는 평가를 ... ...
대마젤란은하에서 발견된 '양' 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이런 성운을 반사성운이라 한다.이제 성운 N30B의 가장자리를 보자. 신화 속 양의 황금빛
대신
붉은 기운이 감돈다. 붉은색은 성단의 별빛과 수소가스의 합작품이다. 별에서 나온 자외선이 수소가스에서 전자를 떼어내면 얼마 후 수소핵과 전자가 다시 결합하는데 이때 보통 붉은빛이 나온다.또한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막 섹스 없이도 유전자를 다량으로 복제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다. DNA의 꿈을
대신
실현하고 있다. DNA는 지금 그들이 이루고자 했던 꿈이 그들이 기대했던 것 이상으로 아름답게 펼쳐지고 있는 걸 바라보며 미소를 짓고 있을 것이다.종교학자 테드 피터스(Ted Peters)는 유전자형(genotype)으로부터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박사에게 7백만달러의 복제연구기금을 지원했다. 개 복제에는 성공하지 못했지만
대신
이 과정에서 같은 연구팀의 한국인 과학자 신태영 박사가 세계 최초로 고양이 ‘시시’(cc, 흉내쟁이란 뜻을 가진 Copy Cat의 약자)를 복제하는데 성공하기도 했다.개는 동아시아에서 전세계로 퍼져나갔다. 2002년 1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