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방식은 쉽게 말해 시료에 있는 모든 생명체의 게놈을 통째로 분석하는 방법이다. 우리가 미처 분리해내지 못한 세균, 극한 환경에 살고 있어 배양하지 못하는 세균을 연구팀은 한꺼번에 분석했다. 그 결과 다양한 분류군에 있는 남세균 41종의 게놈 데이터를 뽑고, 세포호흡(산소로 당을 산화해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장면을 읽은 참이다. 저자의 말처럼, (인생 대부분의 시간 동안 상기하지 못하지만) 우리의 몸은 거대한 미생물 동물원이다.미국의 미생물학자인 저자가 1927년에 낸 책이 새로 번역돼 나왔다. 초기 미생물 연구에 헌신한 13명에 대한 이야기이다. 레벤후크에서부터 스팔란차니, 파스퇴르, 코흐, ... ...
- [Career] ‘나쁜 드론’ 잡는 원스톱 제어시스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드론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시스템을 마련하기 위한 융합연구를 하고 있다. 문센터장은 “우리 상공으로 들어오는 비행기가 허가된 것인지 또 약속된 시간에 이·착륙을 하는지 등을 제어하는 관제탑처럼, 드론의 움직임을 총체적으로 관리하는 핵심 모듈과 알고리즘을 만드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정말 궁금해진다. 기자가 어렵게 알아낸 장수 비결은 3파트에서 확인할 수 있다. 과연 우리도 이들처럼 건강하게 장수할 수 있을까.*본격적인 기사를 다루기에 앞서, 감사의 말씀을 드리고 싶다. 과학동아는 2030년 한국인의 기대수명이 세계 최초로 90세를 넘긴 것을 기념하며, 특집에 90세 즈음의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나온 음식으로 이뤄져 있다”며 “곡물, 콩 등이 들어 있는 밥, 각종 채소로 만든 나물은 우리 밥상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말했다. 또한 박 교수는 산에 사는 백세인과 해안에 사는 백세인을 나눠 조사했는데, 두 집단 내 각각 95.8%, 73.7%에 해당하는 백세인이 비타민 B12와 엽산을 하루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피할 수 없으면 즐기라’는 말이 있지 않은가. 조금이라도 건강하게 장수하는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이다.지난 수십 년간 과학자들의 연구로 노화에 관한 수많은 유전자와 작용 기작이 알려졌다. 그 결과 노화란 치료하거나 늦출 수 있는 현상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뿐만 아니라 ... ...
- [가상인터뷰] 오줌으로 대화하는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우와, 어떻게 그 사실을 알아낸 거야?연구팀은 두 개의 수조를 준비했어요. 그리고 우리가 서로를 볼 수 없도록 플라스틱 가림판을 설치했지요. 한 수조에는 구멍이 있는 가림판을 설치해 물이 잘 통하게 만들었어요. 다른 수조에는 구멍이 없는 가림판을 설치해 양쪽의 물이 서로 통하지 않게 막아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엄치나의 등장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답을 맞혔으니 약속을 지켜야지. 너희 팀도 새로운 멤버를 영입하도록 해!”“그럼 우리에게 시간을 좀 줘~.”“음…. 일주일이야! 일주일 뒤에 새로운 멤버와 새 문제를 만들어서 연락해~.”비밀과학수사대 4명은 일주일 뒤 새로운 대결을 약속하며 산을 내려갔어요.“하아…, 그나저나 누구를 ... ...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밝혀지는 음모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처음 만났잖아.”“그건 안 돼. 아직은 믿을 수 없다고. 지금 여기서 이야기하도록 해. 우리가 다 들을 수 있게.”엄마는 잠시 생각에 잠긴 듯했다. 그러더니 곧 하림에게 다가와 두 손을 잡고 하림의 눈을 똑바로 들여다보았다. 눈빛이 심상치 않아서 하림은 순간 바짝 긴장했다.“너희 아빠가 그런 ... ...
- [Future] 시금치로 심장을 만든다고?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파슬리, 대나무, 난초, 심지어 안투리움 같은 거대한 열대식물 등 다양한 식물이 우리 실험에서 잘 작동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논문에서 “시금치 잎처럼 물관이 빽빽한 식물은 심장조직으로 활용하고, 봉선화 줄기의 원통형 구조는 동맥에, 단단한 나무 물관은 뼈 공학에 활용할 수 있을 ...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