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작은"(으)로 총 4,022건 검색되었습니다.
- 마이크로맨의 눈에 비친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생활습관, 공해물질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세포, 뚫어지게 보자 17세기에 현미경이 발명되면서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없는 작은 세계로의 여행이 시작됐다. 현미경으로 코르크 조각을 관찰하며 세포의 존재를 알았고 혈액이나 근육, 정자 등을 확대해 보기도 했다. 그렇다면 생물의 몸을 이루는 세포는 어떻게 생겼을까? 양파껍질을 현미경으로 보면 육 ...
- 2 놀라운 세상 - 신비한 숫자 2의 나라어린이과학동아 l20060928
- ², 2³, 2⁴…으로 표시하는 거듭제곱은 2²은 2×2, 2³은 2×2×2, 2⁴은 2×2×2×2를 말하는 것이랍니다. 즉, 아래에 있는 숫자를 위에 써있는 작은 숫자의 횟수만큼 곱한다는 뜻이지요. 이런 거듭제곱 중에서도 제곱은 특히 재미있는 숫자의 배열을 만들어요. 어떤 원칙으로 배열되는지 함께 찾아볼까요? 11²=121 111²=12321 ...
- 역사를 바꾼 무기의 과학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4
- 끊임없이 계속되었습니다. 인류의 역사는 전쟁의 역사라고 부를 정도지요. 지금도 세계 곳곳엣는 크고 작은 전쟁들이 벌어지고 있습니다. 인류는 전쟁에서 승리하고 나라를 보호하기 위해 무기를 만들었습니다. 그리고 그 성능을 높이기 위해 많은 노력을 했습니다. 우수한 무기를 가진 나라는 역사 속에서 강대국으로 이름을 떨쳤지요. 그런데 무기가 과학을 발 ...
- 분자는 움직이는 거야!어린이과학동아 l20060913
- 보기 힘들다. 그러므로 우리는 분자의 특성과 구조를 이해하기 위해 분자모형을 이용한다. 만일 분자를 탁구공 크기로 확대한다면 작은 탁구공은 지구만큼 커질 것이다. 지구만큼 커진 탁구공으로 탁구를 하는 사람이 얼마나 커질지 상상해 보자. 고체, 액체, 기체의 분자 배열 상태변화가 일어나면 분자의 성질은 변하지 않는 대신 분자 사이의 배열이 달라진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2)어린이과학동아 l20060830
- 이 때 어과동 샤프가 우주선을 큰 입으로 깨물어 박살을 냈다. 우주인들은 각자 무기를 가지고 밖으로 몰려나오기 시작했다. 작은 총처럼 생긴 무기로 다시 모든것을 가루로 만드는 빛을 쏘아 댔다. 어과동 프로텍트는 망토를 펼쳐 보호색을 만들어 우리가 어디에 있는지 알아보기 힘들도록 만들었다. 외계인들이 어쩔 줄 몰라 하는 사이 어과동 포이즌의 독 ...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1)어린이과학동아 l20060830
- 꼬리가 수면를 내려치자 배가 휘청거렸다. 작아도 힘은 세! 코뿔소딱정벌레 {BIMG_l10}큰 동물들이 힘이 세긴 하지만 더 힘이 센 작은 동물이 있다는 소식에 아열대 밀림지역으로 와 보았다. 저기 번쩍이는 한 마리 곤충이 보였다. 바로 코뿔소딱정벌레. 과일이나 채소를 먹고 사는 코뿔소딱정벌레는 힘이 무척 세다. 힘이 얼마나 센지 알아보기 위해 ...
- 3짱 프로젝트-건강한 눈,예쁜 눈어린이과학동아 l20060727
- 얼마야’라고 이야기하는 경우가 있어요. 이것은 잘못된 표현이랍니다. 시력검사표를 보면 가장 큰 글씨가 겨우 보이는 경우 0.1, 가장 작은 글씨가 보인다면 시력은 2.0이 됩니다. 하지만 가장 큰 글씨가 보이지 않는다고 해서 마이너스의 시력이 되는 것이 아니랍니다. 0.1이 안 되는 시력은 다시0.09~0.01로 나타냅니다. 시력이 0인 것은 ...
- 암석나라 삼형제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060714
- 나눌 수 있다. 돋보기로 강이나 바다의 돌멩이들을 자세히 살펴보자. 어떤 것은 큰 광물 알갱이로, 어떤 것은 눈에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작은 알갱이로 이뤄져있다. 셋째는 뜨겁게 달아오르고 강하게 눌리고 고령토를 높은 온도에서 구우면 단단한 도자기가 된다. 밀가루 반죽을 오븐에 넣고 돌리면 말랑말랑 맛있는 빵으로 변한다. 마찬가지로 높은 온도와 압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9
- 전자현미경 발명했다. 전자는 입자의 성질뿐만 아니라 파동의 성질을 가지는데, 그 파장이 가시광선보다 짧아 바이러스와 같이 작은 물체도 관찰할 수 있다. 전자현미경이 발견된 지 53년이 지난 1986년 에른스트 루스카가 그 공로를 인정받아 노벨 물리학상 수상했다. 한눈에 보는 망원경의 역사 {BIMG_r12}1608년 망원경의 시작 네덜란드의 안 ...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1)어린이과학동아 l20060628
- 위의 사진은 무엇을 찍은 걸까요? 머나먼 우주공간에 떠 있는 어떤 별의 황량한 표면을 찍은 사진일까요? 아니요~. 왼쪽 사진은 부화하기 전의 풀노린재 알을 전자현미경으로 250배 확대하여 촬영한 사진이고, 오른쪽은 달의 표면을 굴절망 ... 밀리미터 단위보다 더 작은 단위가 바로 마이크로미터인데, 1마이크로미터는 1밀리미터를 1000분의 1이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