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아름다움
한가운데
중심
중앙
복판
중도
중추
뉴스
"
미
"(으)로 총 4,463건 검색되었습니다.
축구장 만한 가속기에서 힉스 찾는다?
과학동아
l
2014.05.28
3개 중 가장 최악이라 할 수 있는 것보다도 더 적은 액수였던 것. 이런 상황에서
미
국 에너지국 산하 로렌스버클리연구소 벨라(BELLA)센터 연구팀이 이례적인 소규모의 가속기 시설로도 고에너지 충돌실험을 할 수 있는 새로운 이론을 제안했다. ‘플라스마 물리학’ 27일자에 실린 연구결과에 ... ...
교육-문화도 떨어진다는데…“국회
미
방위에서 과기-방송통신 분리해야”
과학동아
l
2014.05.25
유지하는 쪽으로 결론났다. 출연연 원장을 지낸 한 과학계 원로는 “최근까지도
미
방위는 KBS의 해경비판 축소 보도와 같은 현안 때문에 파행을 거듭하고 있다”며 “국가 백년대계 차원에서 과학기술을 심도 있게 다룰 위원회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번 성명서에 참여한 단체는 ... ...
재난안전 관리 기술ㆍ시스템, 한-
미
공조
과학동아
l
2014.05.21
확대하는 방안이 논의됐다. 한편, 이번 공동위를 통해 한국표준과학연구원과
미
국 국가측정표준연구소는 나노 물질의 안전성 검증관련 차세대 표준화기술 등을 위한 공동연구를 올해부터 추진할 예정이다 ... ...
유전자 비슷한 남녀끼리 끌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5.20
사람은 성향이 반대인 이성에게 매력을 느끼는 걸까, 아니면 자신과 비슷한 이성에게 끌리는 걸까. 해묵은 물음에 정답은 아니지만 해답이 될 만한 연구 ... 만들어서 상대에게 매력을 느끼게 만드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
국국립과학원회보(PNAS) 19일자에 실렸다. ... ...
이 약물이라면 ‘트랜센던스’의 조니 뎁 살렸을텐데…
과학동아
l
2014.05.20
치료에 부작용을 호소하는 환자에게도 희소식이 될 전망이다. 아마토 지아키아
미
국 스탠퍼드대 교수팀은 방사선으로 손상된 내장 세포를 보호하고 치료하는 물질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내장 벽에는 올록볼록한 돌기가 수없이 돋아 있는데, 이들이 방사선에 노출되면 민감하게 반응하며 ... ...
토종 항암물질 상용화 파란불
과학동아
l
2014.05.19
항암신약 후보물질이 최근
미
국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임상 1상 시험을 승인 받아
미
국 현지 임상 시험에 착수했다. 이달 임상 시험에 참여할 환자들을 선정한 뒤 다음달부터 본격적으로 약물 투여를 실시할 예정이다. 항암신약 후보물질은 TEW-7197. 이 물질은 김대기 이화여대 교수팀이 2013년 1 ... ...
박지성 선수, 고생하셨습니다
과학동아
l
2014.05.18
줄어들고 인지 반응 시간도 차츰 느려진다는 것이다. 폴란스키 박사는 “은퇴한
미
국프로풋볼(NFL) 선수가 아닌 대학 풋볼 선수를 대상으로 한 이번 연구 결과는 격렬한 스포츠와 뇌 손상의 상관관계를 규명하는 데 한걸음 더 다가서게 만든 것”이라며 “앞으로 해마의 크기 차이를 만드는 ... ...
지난 겨울 이상 폭우에도 런던이 침수하지 않은 이유는?
과학동아
l
2014.05.18
이번 겨울 영국에 큰 홍수가 났을 때 피해 규모를 대폭 줄일 수 있었다. 킹 대사는 “
미
리 대비하지 않았다면 런던의 지하철과 파이낸스센터 등이 침수돼 도시 전체가 마비됐을 것”이라며 “비용으로 환산하면 2000~3000억 파운드(약 3400~5100조 원) 정도의 손실을 막은 것”이라고 설명했다. ... ...
임신 좌우하는 건 정자의 '포장' 기술?
과학동아
l
2014.05.13
다시 풀어야 하는데, 프로타민에 감은 DNA는 잘 풀리지 않는다는 것이다. 앨리 밀즈
미
국 콜드스프링하버연구소(CSHL) 교수팀은 이처럼 단단하게 감긴 정자가 DNA를 풀 때 'Chd5'라는 단백질을 이용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이 단백질로 프로타민에 감긴 DNA를 쉽게 풀 수 있고, 도로 되감을 수도 ... ...
감자부터 북극곰까지 15년간 게놈클럽 회원 240명 넘어
과학동아
l
2014.05.09
경쟁할 필요가 없어 지금까지 살아남을 수 있었다. 조류에서 포유류로 진화하는 ‘
미
싱링크(잃어버린 연결 고리)’는 오리너구리의 게놈에서 발견됐다. 오리너구리는 포유류인 비버와 생김새가 닮았고 젖을 분비한다. 하지만 조류인 오리처럼 알을 낳고 발에는 물갈퀴도 달렸다. 오리너구리의 ... ...
이전
394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