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중앙
중간
한복판
central
중심
센터
d라이브러리
"
가운데
"(으)로 총 4,864건 검색되었습니다.
생물 - 동물들의 본능행동
과학동아
l
1993년 12호
지능이라 부르는 것은 곤충계에는 아무래도 존재하지 않는 것 같다.장님인 군대개미가
가운데
놓인 실험 접시 주위를 행진한다. 그들은 냄새와 촉각만을 의지하면서 서로의 뒤를 따라가므로 한 번 쳇바퀴 행진이 시작되면 죽을 때까지 계속적으로 행진을 하게 된다."본능이라는 이미 부설되어 있는 ... ...
(3) 1초에 30번 회전, 서울시만한 크기에 태양과 같은 무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여진으로 아직 팽창을 계속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가장 재미있는 것은 게성운
가운데
에 존재하는 PSR 0531+21이라는 별. 이미 1942년 미국의 월터 바데(Walter Baade)와 밍코프스키(R. Minkowsky)라는 사람은 이 별을 주목하고 아마 항성진화이론에서 예측하는 바로 그 중성자별일 것이라는 예언을 했다. ... ...
경전철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모터를 추진장치로 채택한 것으로서 현재 세계적으로 실용화되고 있는 경전철 방식
가운데
자기부상열차와 더불어 기술적으로 가장 진보된 방식의 하나다.리니어모터는 회전형모터를 잘라서 펼쳐놓은 것과 같은 구조로서 이러한 구조적 특성에 따라 원하는 직선운동을 동력전달장치 없이 직접 ... ...
지구과학- 방사능이 지구의 역사를 알려준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붕괴상수는 이처럼 통계적인 수치다.방사성 원소의 붕괴 법칙방사성 원소의 시료
가운데
N을 어떤 시각에서 방사성원소의 원자핵의 수라면 dt시간에는 dN만큼 감소될 것이다. 따라서 붕괴율 R은R=-$\frac{dN}{dt}$이며 방사성 원소에 따라 붕괴하는 확률이 다를 것이므로, 어떤 방사성 원소의 붕괴 상수를 ... ...
'93 EXPO 국제마이크로 로봇 대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1등부터 4등까지 차례대로 석권, 아마추어와 프로의 차이를 실감케 했다.국내 참가자
가운데
가장 좋은 성적을 낸 윤지녕씨(아주대 제어계즉공학과 대학원)의 'MANIAC 3'는 올해 예선에서 1등을 차지한 마우스로, 22초73을 기록해 학생부 특별상을 받았다. 윤씨는 대학 2학년 때부터 마우스를 만들기 시작, ... ...
생물- 확률 3억분의 1이 펼치는 우연의 드라마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성숙한 난자로 배란되는 것은 일생동안 4백-5백개 정도다.태아 시기에 준비된 7백만개
가운데
뽑힌 난자만이 성장하여 배란되는 것이다. 출생 후에도 그 이상의 난자 형성이 일어나지 않는다. 사춘기가 되면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생식선 자극 호르몬의 자극으로 난소 내에 있는 원시 여포 중에서 몇 ... ...
(1) 초기 우주때 태어난 1세대별 사라지고 5세대별 등장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사진4). 육안으로 희미하게 보이는 오리온대성운을 망원경으로 살펴보면 (사진3)처럼
가운데
4개의 푸른별이 보인다. 이들을 사다리성단이라 한다. 이 지역을 사진으로 찍어보면 사다리 성단부분이 밝은 성운에 둘러쌓여 있음을 알 수 있다. 이 지역을 다시 적외선빛만을 통과시키는 필터로 사진을 ... ...
'페르마의 정리' 350년 만에 해법찾았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완전히 증명했다는 보도가 있었다.수학에는 재미있는 문제가 많이 있으나 그
가운데
페르마정리가 가장 널리 알려져 있어 근 3백50여년동안 이 문제를 해결해보겠다고 덤빈 전문 수학자들이 적지 않았다. 그러나 그때마다 풀이과정에서 잘못이 지적되곤했다.페르마(Pirre de Fermat)는 1601년 8월 ... ...
우주발전 현실로 다가온다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에너지원을 이용한 발전연구가 활발한
가운데
선진국들은 우주태양발전 우주원자력발전 등 우주발전에 관한 연구를 적극 추진하고 있다. 에너지와 지구환경오염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우주발전은 어떤 것인가.지구문명이 현재와 같은 속도로 진행된다면 오는 2060년 지구에 필요한 전력량은 ... ...
성운·성단·은하 관측의 첫걸음
과학동아
l
1993년 11호
말 그대로 일정한 형태를 갖추지 않은 은하인데 M82가 대표적이며 특히 이 은하는
가운데
의 암흑대를 관측하는 것이 흥미롭다. 하지만 4인치 망원경으로는 암흑대가 보이지 않고 단지 밝기가 일정치 않은 은하로 보인다. 불규칙 은하에 대해선 자료도 많지 않고, 모양과 특징이 불규칙하므로 그때그때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