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엔지니어링
연구소
유전
과학기술
응용과학
라디오공학
라디오
d라이브러리
"
공학
"(으)로 총 5,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의자로 본 디자인 변천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재생 알루미늄·폴리에스테르·천의자에 앉아서 오랜 시간을 보내는 사람들을 위해 인체
공학
적으로 설계된 사무용 의자로 미국의 저명한 의자디자이너 도널드 채드윅의 작품이다. 높낮이 등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신소재 그물망을 사용, 단열성과 통기성이 뛰어나다.루이 201992년파리 출신의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컨설팅도 받아야해요.”외형을 세련되게 하면서도 쓰는데 불편함이 없게 하려면 인간
공학
적인 연구가 선행되야 하고 재료나 가공기술에 대해서도 잘 알고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1998년 탠저린에 입사한 이 부사장은 그동안 영국항공의 비즈니스석을 인간친화적 디자인으로 혁신하는 프로젝트를 ... ...
불규칙한 바람에서 노다지를 캐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사실이다. 과연 난류는 단순히 예측 불가능하고 불안정한 현상일 뿐일까.KAIST 기계
공학
과 성형진 교수가 이끄는 유동제어연구실은 지난 1984년부터 바로 이 문제에 대한 해답을 찾고 있다. 성 교수는 “자연계의 거의 모든 유체 흐름은 난류의 성질을 갖는다”고 설명한다. 태풍이나 토네이도, 해류 등 ... ...
화상전화기 vs 음성전화기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말았다. 1978년 무렵에는 화상전화기를 보기 위해 뉴욕의 벨연구소를 방문해야만 했다.
공학
자들은 AT&T의 화상전화기가 시대를 너무 앞서 태어나 실패했다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화상전화기가 실패한 것은 표면적으로 기술과 비용에서 일반 전화기를 능가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1970년 피츠버그에 ... ...
면역 높여 암 치료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면역력을 획기적으로 높여 암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한국생명
공학
연구원 면역학연구실 최인표 박사는 “체내 면역체계에서 핵심기능을 하는 자연살해(NK)세포가 골수의 줄기세포에서 생성되는 과정을 세계 최초로 규명했다”고 2월 22일 밝혔다. 자연살해세포는 혈액 내 백혈구의 ... ...
23세 이공계 박사 탄생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SK텔레콤 상무(29·여)가 세운 것으로 생후 24년 2개월이다. 정씨의 아버지는 KAIST 기계
공학
과 정명균 교수, 어머니는 대덕연구단지 내 바이오기업 ㈜본원라이프텍 홍순해 대표다. 미국 캘리포니아주에서 중·고교를 졸업한 그는 아버지의 권유로 KAIST에서 1년 간 공부했다. 2000년 다시 미국으로 가 ... ...
6. 패션디자인 멋보다 기능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부분을 고정시켜 몸매를 고르게 유지하면서도 편하게 움직일 수 있는 다기능 옷은 인체
공학
기술과 패션 디자인이 잘 결합한 사례로 꼽을 수 있다.정보통신 기술을 옷에 직접 적용하는 사례도 있다. 어깨끈에 스피커와 볼륨조절장치를 붙인 가방이나 소매단추에 휴대전화나 MP3플레이어의 조작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다양한 동작을 수행하고 언제나 원하는 대로 프로그램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다.
공학
적 개념에서 로봇은 다양한 기술이 융합된 현대 문명의 산물이며 산업과 문화 전반에 큰 파급효과를 미치고 있다.그렇다면 로봇이 의학 분야까지 진출한 배경은 무엇일까. 의학은 1980년대를 기점으로 큰 ... ...
돈 잘 버는 사람이 최고
공학
자 박희재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갔고 자신은 더 이상 영국 시장에서 쓸모가 없어졌기 때문이라는 이유였다.“그때 왜
공학
이 존재해야 하는지를 깨달았습니다. 내 기술을 시장이 필요로 하지 않으면 나는 의미가 없다는 것이죠. 영국 대학에서 가장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도 학점이나 논문 수가 아니라 내 기술을 기업이 얼마나 ... ...
음식물쓰레기도 돈 된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이용하고 있다. 10년 넘게 음식물쓰레기 처리와 재활용 기술을 연구해온 서울산업대 환경
공학
과 배재근 교수는 “외국과 비교해 음식물쓰레기 자원화 분야는 우리나라가 많이 앞서있는 상황”이라며 “과거에는 이물질을 선별하거나 음식물쓰레기를 파쇄하는 과정에 문제가 많았지만 현재는 국내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