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규
신임
신
d라이브러리
"
새로운
"(으)로 총 10,54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따라 움직인다. 암석권(판)이 움직이며 벌어지는 부분에서는 맨틀 물질이 흘러 나와 굳어
새로운
판을 만든다.바로 ‘해령’이다. 흔히 생각하는 화산 활동처럼 거대하고 화려하지는 않지만 지구가 살아있음을 알리는 중요한 활동이다. 백두산 발달 시나리오약 2840만 년 전, 일본이 한반도에서 ... ...
안젤리나 졸리는 왜 유방제거수술을 받았나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브라카원’이라고 발음한다), 즉 유방암 제1유전자라는 이름을 붙였다. 그리고 이듬해
새로운
유방암 유전자를 발견하는 데 성공했고 브라카2(BRCA2)라고 이름을 붙였다.이들 유전자가 유명해진 건 브라카1이나 브라카2에 변이가 있으면 유방암에 걸릴 위험성이 대략 80%나 되기 때문이다. 보통 ... ...
내성균 리턴즈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오래 걸린다는 단점이 있었다.
새로운
약도 개발 중이다. 동아제약은 VRSA와 VRE에 듣는
새로운
치료약을 개발해 현재 임상실험을 마치고 미국 FDA 승인을 기다리고 있다. 약 개발을 위해 기전을 밝히려는 연구도 활발하다. 하지만 아직 한계가 많다. 이영선 과장은 “최근 5년 사이 미국 FDA에서 승인 받은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긴 시간 동안 두뇌는 놀기만 하는 걸까요.아닙니다. 두뇌는 뇌세포를 서로 연결하는
새로운
작업에 돌입합니다. 뇌세포의 연결은 결코 쉬운 일이 아닙니다. 생각해 볼까요. 뇌세포가 2개 있으면 연결선은 하나입니다. 뇌세포 3개의 연결선은 3개입니다. 그런데 뇌세포가 4개로 늘면 연결할 수 있는 ... ...
플랫랜드와 4차원 도형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그랬듯이 처음에는 3차원 세계의 존재를 믿지 못한다.구는 가로와 세로에 높이라는
새로운
방향을 추가하면 3차원이 됨을 설명하지만 2차원 평면세계에 익숙한 주인공은 이해하지 못한 것이다. 이에 구는 평면을 관통하면서 구의 단면인 원의 크기가 변화하는 것을 보여주었고, 비로소 정사각형은 ... ...
Part 5. 마그마가 올라오는 소리를 감시한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어디서’는 쉬워 보이지만, 꼭 그렇지는 않아요. 마그마가 중앙 통로를 이용하지 않고
새로운
통로를 만들거나 아예 화산 밖에서 터져 버리면 위험하거든요. ‘언제’는 인공위성으로 지형의 움직임이나 열 발산을 측정해서 추정합니다. ‘얼마나 크게’는 3D로 측정한 화산의 모양, 국지적인 중력 ... ...
[career] 자연과 구조물의 조화, 고성능구조공학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일반 개인 주택 등 다양한 건축물에 쓰입니다. 이렇듯 연구를 통해 성능을 인정받은
새로운
건축재료와 공법은 실제 건설 환경에서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건축학과 건축공학전공에 지원하고자 하는 학생이라면 구조적 개념을 이해하고 응용하려는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합니다. 또한 엔지니어로서 ... ...
동물도 행복할 권리가 있다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과학동아리가 해부하는 것을 생각하면 더 많은 동물이 죽어간 것이죠.대부분의 실험은
새로운
사실을 발견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알고 있는 지식을 확인하는 것이에요. 이렇게 많은 동물이 희생돼야 하는 것이 정말 옳은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어요. 더구나 올바른 가치관을 형성해야하는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좋은 예입니다. 추가연 학생은 이미 보도된 사건 기사를 과학적 시각과 자신의 언어로
새로운
기사로 썼습니다. 텔레비전이나 신문을 통해 접하는 뉴스는 좋은 기사 거리가 됩니다. 기사 안에 숨어 있는 과학이야기를 찾아보세요. 어려운 과학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추가연 학생의 기사에 나온 ... ...
기후변화·에너지 고갈·강력범죄를 막아라! 지구를 위한 수학
수학동아
l
2013년 06호
현상을 설명했을 정도로 유래가 깊다.튜링 이후 많은 수학자들은 이 방정식을 전혀
새로운
자연 현상을 설명하는 데 이용하기 시작했다. 그중 영국 배스대 수학자 니콜라스 브리턴은 반응-확산 방정식을 이용해 생태계에서 생물 개체수가 어떻게 변하는지를 설명했다.“어떤 산에 토끼와 늑대가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