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설명"(으)로 총 10,445건 검색되었습니다.
- 뜨거운 태양이 연구실에? 인공태양 케이스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1호
- 명예기자들은 케이스타의 각 장치를 눈으로 보며 박사님으로부터 그 역할에 대한 설명을 들었어요.“케이스타는 크게 다섯 가지 시설로 구분할 수 있어요. 가장 가운데 플라스마를 가두는 토카막주 장치와 토카막 내부를 진공 상태로 만드는 진공 펌프, 초전도체 자석의 온도를 내리는 헬륨 분배 ... ...
- [지식] 녹아버린 초콜릿에서 영감을 얻다!수학동아 l2015년 01호
- 정도가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예측했다. 맥스웰 방정식이란 전기장과 자기장의 관계를 설명하는 4개의 방정식으로, 이 연구에서는 전자기파에서 출발한 에너지 중에서 얼마나 열에너지가 되어 음식을 데우고 또 사라지는지를 계산하는 데 쓰였다.이렇게 만든 수학 모델로 버드 교수는 음식을 ... ...
- [생활] 낮에는 선생님, 밤에는 작가 수학 교사 미술가 김주희 작가수학동아 l2015년 01호
- 길게 설명하지 않아도 누구나 알아들어요. 그림도 마찬가지예요. 작가가 일일이 설명하지 않아도 캔버스에 담긴 작가의 의도를 파악할 수 있어요.”작품의 소재를 일상에서 찾는다는 김 작가. 얼마 전에도 길거리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화분에 담긴 꽃을 그린 그림으로 개인전을 열었다. 김 작가는 ... ...
- PART1. 일반상대성이론 낳은 ‘기적의 10년’과학동아 l2015년 01호
- 1905년 논문 세 편을 연달아 발표했다. ‘광양자 가설(3월)’ ‘브라운 운동 설명(5월)’ ‘특수상대성이론(6월)’ 모두 놀라운 논문이었다. 특히 빛의 속도가 일정하다는 사실에서 출발해 시간과 공간의 상대성을 밝힌 특수상대성이론은 물리학계를 발칵 뒤흔들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은 대학이나 ... ...
- Epilogue. 상대성이론 가지고 놀기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위한 천문학 잡지를 만드는 비영리단체 ‘우주라이크’에서는 우주에서 벌어지는 일을 설명할 때 늘 재기발랄한 비유를 사용한다. 중력파를 만드는 중성자별 쌍성계는 ‘서로 밀당을 하며 주위에 파장을 미치는 요란한 연인’에, 별 밀도가 높아 충돌이 잦은 블랙홀 주위는 ‘신도림역 ... ...
- BRIDGE. “당신은 에볼라에 오염됐습니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기본 원칙입니다.” 손태종 질병관리본부 공중보건위기대응과 연구사는 착용 방법을 설명하면서 두 가지를 강조했다. 보호복은 혈액 투과 실험과 바이러스·박테리아 투과 실험 등을 모두 거친 특수 소재로 만든다. 하지만 아무리 방수가 잘 되는 옷이라도 이음새가 부실하면 그 틈으로 나노미터 ... ...
- [화보] 지구 태초의 순수를 기록하다과학동아 l2015년 01호
- 평소 흑백사진을 “다양한 농도의 회색들로 그리는 추상화”라고 표현하며 사진에 긴 설명을 달지 않았다. 사진 속에서 생명의 경외를 더 깊이 느끼며, 상상력을 더해 감상하라는 배려가 아닐까.“사진가를 따라다니는 건 세상에서 가장 피곤한 일”작가는 지구 태초의 모습을 찾아 극지방과 ... ...
- [Knowledge] 우주 면역력, 비타민이 필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중력 영향을 받고 살던 인간이 무중력 상태인 우주에 나가면 노화가 빠르게 일어난다고 설명했다. 우주에서는 체내 단백질과 칼슘이 1개월에 1% 꼴로 줄어든다. 만약 우주에서 1년을 머문다면, 뼈와 근육의 12%가 사라진다. 그만큼 늙는 것이다.“제가 운동도 규칙적으로 하고 먹기도 잘 먹었거든요 ... ...
- PART6. 일반상대성이론 뒤집히나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중력이론 을 제안했던 것처럼, 숀 캐롤은 ‘f(R) 수정중력’으로 우주가속팽창을 설명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그 이후에 가바다제, 코리 등 이론우주론자들도 다양한 모델을 시도하고 있다. 이제 이런 이론들을 검증할 때가 됐다. 현재 필자는 새로운 이론들을 정밀검증하기 위한 광시야관측(은하 ... ...
- PART2. 쇼미더에볼라 '에볼라 잡을 대망의 치료제는?'과학동아 l2015년 01호
- 실제 치료제로 쓰기에는 아직 부작용이 큽니다. ‘오프 타겟’ 효과라고 하는데 쉽게 설명하면 우리 몸의 정상 RNA와도 결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이 기술의 현재 오차율은 대략 10%입니다. 티케이엠-에볼라도 임상시험 1단계에서 부작용으로 중단된 상태입니다. 몇몇 환자가 발열증상을 ... ...
이전3953963973983994004014024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