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세포"(으)로 총 4,737건 검색되었습니다.
- 1 생명의 설계도, 방대한 유전정보 입력과학동아 l1995년 09호
- 휴먼게놈계획(Human Genome Project)이 바로 그것인데, 인체 유전자 지도작성과 더불어 인체세포에 존재하는 약30억개의 DNA 뉴클레오티드의 서열을 밝혀내는 작업이다.미국립휴먼게놈연구센터(National Center for Human Genome Research)는 2005년도까지 10만개 가량의 인체 유전자 지도 작성과 그들의 ...
- 3 쥐라기 공룡, DNA 조작으로 되살릴 수 있나과학동아 l1995년 09호
- 각종 효소, 아미노산, 에너지 공급 물질 등도 함께 보존되어 있다는 점이다.즉 생물세포를 특징지우는 그 자체요소가 포자 속에서 같이 보존되었다는 말이다. 만일 이 미생물의 DNA만을 아무런 손상없이 분리해서 보관한다 해도 현대기술로 다시 개체로 재생시킬 수 없음은 물론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 ...
- 5 유전자 지문, 범인 색출·친자감별의 해결사과학동아 l1995년 09호
- mtDNA의 특징은 법의학적 측면에서 매우 효과적인 유전적 표지체라 할 수 있다.또한 세포내에 다량 존재하므로 유골 같이 오래됐거나 극히 미량인 검체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핵 DNA에 의한 DNA 타이핑이 곤란한 경우 mtDNA 과변이부위 염기서열을 분석하면 개인식별이나 가족관계 규명이 가능하다 ... ...
- 심한 정신 충격, 대뇌 손상 일으킨다과학동아 l1995년 09호
- 의미한다. 정확하게 뇌세포 간 연결가지인 수상돌기(dendrite)가 위축된 것인지, 아니면 뇌세포가 죽은 것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고 있다. 퇴역군의료센터 정신의학과 브레머 박사는 위급한 상황이 일어났을 때 뇌에서 분비되는 스테로이드 호르몬의 일종(cortisol)이 해마 부위에 치명적으로 작용, ... ...
- 인터넷 과학 사이트 베스트 57과학동아 l1995년 09호
- 보여주는 오스트레일리아에 위치한 웹 사이트다. 이곳에서는 원자나 분자 세포와 결합 세포 크기 수준의 물질 구성과 구조를 값비싼 전자현미경 없이도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다. 이미지 갤러리 메뉴로 들어가보면 사람의 신체부위 벌레 각종 물질 등을 전자현미경으로 들여다 본 이미지들을 ... ...
- 1 '암·백혈병의 원인' 연구발표 잇달아과학동아 l1995년 08호
- 화학물질 이동의 변화, 유전자생성의 방해, 호르몬 및 화학물질 생성의 변화, 암세포 활동의 증가 등이 보고됐다. 또한 쥐실험에서는 식욕 호흡 수면 등에 장애가 일어났으며 인체실험에서는 심박수의 감소와 뇌파 이상이 발생했다.위의 연구들을 포함해 현재까지 수천건의 연구결과가 발표됐으나 ... ...
- 유전자 조작으로 대장암 걸린 마우스 생산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어떠한 이유에서든지 정상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때 세포는 암화가 일어난다.암세포가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지 않은 유전자가 바로 암억제 유전자의 유력한 후보다. 그러나 암억제 유전자 후보가 실제로 암화를 억제하고 있는가, 그렇지 않은가 분명하지 않은 경우가 많다.대장암에도 암화에 제동을 ... ...
- 인류 탄생 남과 여, 누가 먼저인가과학동아 l1995년 08호
- 에너지를 생성·공급하는 미토콘드리아 속에 있는 유전자다. 진화하는 속도가 다른 어떤 세포핵 내 유전자보다 빠르다. 또한 mtDNA는 난자의 생성을 통해서 오직 어머니에게서 딸에게만 전달이 되며, Y 염색체와 같이 DNA 사슬끼리 교체하지 않아서 동질성 보존이 쉽다.현재 아프리카 및 전세계에 살고 ... ...
- 물과 건강 7가지 궁금증 풀이과학동아 l1995년 08호
- 미량의 금속성분 등 미네랄을 함유한 물을 말한다. 미네랄은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세포가 활동하는 데 필수적인 성분이다.일반적으로 마시는 수돗물이나 약수 등에도 미네랄성분은 있지만 광천수에는 이보다 많은 양이 들어 있다. 그러나 미네랄성분은 음식물에도 포함되어 있고 적은 양만이 몸에 ... ...
- 2 '생물체 악영향' 명확한 근거 없다과학동아 l1995년 08호
- 극저주파 전자계의 면역학적 영향에 대한 고찰을 통해 혈액 및 면역계통, 또는 세포에 대해 극저주파 전자계가 생리학적으로 어떤 영향을 미친다고 설명할 만한 아무런 근거가 없다고 결론내렸다. 또한 극저주파 전자계에 의해 유발된 변화는 대부분 일시적이며 미약하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유사한 ... ...
이전3953963973983994004014024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