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점"(으)로 총 11,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 과학으로 본 월드컵 하이라이트!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아무런 문제없이 골 판정 이 가능하다. 하지만 실감나는 영상을 TV로 보여줄 수 없다는 점이 한계다.축구의 하이라이트는 바로 골이 들어가는 순간이다. 이번 월드컵에서는 과학의 힘으로 그 하이라이트를 더 욱 생생하고 진하게 느낄 수 있을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 올라! 브라질 ... ...
- 매년 쥐 100마리 신체검사 하는 독일마우스병원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쥐의 과거 기록과 다른 정상 쥐의 기록을 자동으로 비교해 보여주기 때문에 한 눈에 차이점을 알 수 있어요.”소프트웨어 개발팀 홀게르 마이어 박사가 설명했다. 그는 생물학을 전공하고 지금은 생물학 데이터베이스를 축적하는 일을 하고 있다. 내내 놀라워하던 김일용 교수가 기자에게 말했다 ... ...
- 아르키메데스의 기구한 운명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루기보다는 그리스가 남겨준 여러 수학과 과학 이론을 실용화하는 수준에 그쳤다는 점을 잘 드러낸 말이다. 영국의 수학자 하디는 “그리스의 비극 시인 아이스킬로스는 잊혀져도 아르키메데스는 기억될 것이다. 왜냐하면 언어는 사라져도 수학적 아이디어는 영원하니까!”라고 말했다. 볼테르는 ... ...
- INTRO 위성 요리사를 위한 7가지 레시피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잃고 행성에 끌려들어간다. 가스나 먼지, 우습게 보면 안 된다.행성이 태어난 뒤 점점 커진다. 그에 따라 중력이 영향을 미치는 구간도 넓어진다. 행성이 작았을 때는 행성의 중력 따위 무시하고 지나갔을 소천체가, 부쩍 커버린 행성 옆을 지나다가 빨려들면 위성이 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진짜 투명망토가 나왔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접거나 구부릴 수 있는 투명망토를 만들어, 광대역파장에서 작동하도록 한 것이다. 장점만을 모은 셈이다. 또 김 교수팀의 스마트메타물질은 균일한 구조를 압축해 투명망토를 만들기 때문에 제작공정이 훨씬 쉬워졌다. 나노 메타물질 만들어야 진짜 투명망토 될 것 아직 해결해야 할 문제는 많다. ... ...
- Part 1 - 난 오늘밤도 삐딱하게 뜬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토성 고리 바깥쪽에서는 물 질이 뭉쳐 작은 위성의 씨앗이 태어날 수 있으며, 이것이 점점 밖으로 밀려날 거라고 예측했다.전문가들은 아직 조심스럽다. 심채경 경희대 우주탐 사학과 연구원은 “지금 새로 탄생하고 있는 위성인지, 존재하던 위성이 지금에야 발견된 것인지는 알 수 없다” 며 ... ...
- 어린왕자, 서호주 아웃백에서 은하수를 보다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모여 있다. 워낙 미약해서 평소에는 보기 어렵고, 밤하늘이 어두워지는 절묘한 시점에 비로소 태양빛을 반사하며 드러난다. 그 빛이 너무 약해서 하늘이 아주 깨끗한 곳에서만 볼 수 있다.35억 년의 역사를 품은 붉은 땅서호주의 ‘필바라’는 붉은 땅이 끝없이 펼쳐진 건조한 지역이다. 약 35억 년 전 ... ...
- 왜 세 살 기억 여든까지 못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과정을 실험했다. 새끼 쥐가 특정한 상자에 들어갈 때마다 전기자극을 줬더니, 쥐들은 점차 이를 기억하고 상자를 피하게 됐다. 이후 실험 쥐의 절반에게 특수한 처리를 해 뉴런의 재생이 일어나지 않도록 조작했다. 즉 새끼 쥐의 뇌가 어른 쥐의 뇌로 ‘교체’되지 않도록 한 것이다. 이 쥐들에게 4주 ... ...
- 의사도 모르는 의학이야기4 - 세월호 트라우마 어떻게 치료해야 할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미쳐가는 세계’는 우리가 마음의 문제를 다루면서 미국식의 과학적, 의학적 관점을 무분별하게 옳다고 믿고 있는 것은 아닌지 질문하고 있답니다.2004년 쓰나미가 인도양 연안 국가들을 휩쓸며 무려 25만 명의 사망자를 내자, 스리랑카에는 전 세계에서 구호 물품과 전문가들의 손길이 쇄도했어요. ... ...
- 무에서 시작한 우주, 끝은 어디일까과학동아 l2014년 06호
- 이해할 수 있게 돕는다. 무엇보다 가장 좋은 점은 해외 과학자의 번역서가 아니라는 점이다. ‘우주의 끝을 찾아서’는 현대천문학·천체물리학을 이야기하는 국내 서적 중손에 꼽힐 정도로 쉽게 읽히는 책이다. 물론 내용이 쉽다는 말은 아니다. 저자의 글실력은 과학동아 이번 호 특집에서 맛볼 수 ... ...
이전3953963973983994004014024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