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Y가 사라진 세상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일찍 죽는 남성들 이제 남성을 XY 대신 Xy라고 부른다. 이유는 간단하다. 2억년 전 Y 염색체가 탄생하자마자 시작된 유전자 소실이 다시 시작됐기 때문이다. 3500만 년에서 1000만 년 전 즈 ...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Y의 몰락PART 1.Y염색체 1000만 년 뒤 사라질까PART 2.Y가 사라진 세 ... ...
- [life & tech] 짝퉁 꼼짝 마!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칼을 미세하게 갈아서 화폐를 찍는 정교한 요판을 직접 깎았거든요. 돈에 그려진 미세한 지붕 모양 하나하나가 다 위조를 막기 위한 장치인데, 선배들이 한쪽 눈에 현미경을 끼고 ‘나 오늘 기와장 두 장이나 팠다’라고 말씀하시곤 했어요.”하지만 2000년 이후 더 이상 손으로 요판을 깎지 않는다. ... ...
- [knowledge] 생명의 양자도약과학동아 l2014년 11호
- 갔다는 평가가 많다. 양자 중력은 아직 아무도 알지 못하는 물리학의 성배이기 때문이다.진화의 역사를 보라. 양자역학이 생존에 이익이 된다면 생명은 이를 반드시 이용했을 것이다. 아직 이용하지 않았다면, 양자역학을 깨달은 바로 지금의 인류가 최초의 양자생명체가 될지도 모른다 ... ...
- 스킨십하면 행복 호르몬 퐁퐁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말고, 습관처럼 부모님과 스킨십을 나눠 보세요. 어느새 가족 모두의 몸과 마음이 건강해진 모습을 발견할 수 있을 거예요!아빠의 스킨십이 자녀를 바꾼다!우리나라에는 유교사상의 영향으로 가부장적인 가정이 많이 있어요. 보통 엄마는 너그럽고 편한 반면, 아빠는 어렵고 무서운 존재라는 ... ...
- [특별인터뷰 1] “수학 배워서 뭐 하냐고 묻는 친구들에게 수학동아 소개해 줄래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우리나라 청소년 중에 수학이 재밌고 즐겁다고 말하는 학생이 몇이나 있을까. 게다가 ‘중2병’이란 신조어가 있을 만큼 예민한 청소년에게 ... 있거든요. 또 수학 개념이 잘 이해되지 않는 친구들에게도요. 수학동아를 읽으면서 익숙해진 덕분에 낯선 수학 개념도 잘 이해할 수 있거든요 ... ...
- [생활] 아이스버킷 챌린지 열풍의 비밀 복잡계 연결망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수집이 이루어진 것이 불과 15년 정도로 그리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이다. 하지만 무궁무진한 가능성을 갖고 있는 분야임에 틀림없다. 복잡계 연결망 연구가 우리 사회에 존재하는 수많은 복잡한 문제들의 실타래를 풀어 줄 것으로 기대한다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3가지 이유를 들어 설명했다. 첫째, 영어, 독일어, 프랑스어, 이탈리아어 등 세계 선진국이라고 불리는 언어에도 고유의 문자는 없다. 모두 라틴문자를 쓰고 있기 때문이다. 앞서 설명했듯이 언어의 개수가 7000개가 넘는 데에 비해 문자의 수는 100여 개뿐이다. 우리말에 고유 문자인 한글이 있는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바뀔 거라고 전 믿습니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신종헌터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Bridge. 신종 핫스팟은?PART 3. 세계는 생물자원 전쟁 ... ...
- [과학뉴스] 별만 2억1900만 개 우리은하 지도 완성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만들어진 가장 정밀한 우리은하 지도가 탄생했다. 영국 하트포드셔대 거트 바랜트슨 박사팀은 우리은하에 있는 별 2억1900만 개를 지도에 표기해 ‘영국왕립천문학회월간회보’ 온라인판 9월 15일자에 발표했다.연구팀은 2003년부터 2012년까지 10년간, 아프리카 서쪽 카나리아 제도의 라 팔마 섬에 있는 ... ...
- [인터뷰] 이진형 스탠퍼드대 생명공학과 교수 “처음 하는 일은 모두가 반대한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있다.융합형 인재를 기르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나특정 공식에 따라 A, B, C 등 정해진 요소를 단순히 더하고 곱한다고 해서 융합형 인재를 만들어낼 수 있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융합형 인재가 무엇이라고 정의를 내리는 순간부터 그 테두리에 갇혀서 더 이상 발전할 수 없다. 테두리를 부수고 ... ...
이전3953963973983994004014024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