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거대질량 블랙홀 엔진 달고 우주를 밝히다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작용하는 중력과 외부로 방출하는 복사 압력이 평형을 이룬다. 만약 자기 질량보다 더
큰
광도를 내면 과도한 복사 압력 때문에 기체들이 흩어진다. 강착원반이 와해된다는 말이다. 이를 ‘에딩턴 한계’라고 한다. 만약 태양 질량의 수 배에 불과한 별 질량 블랙홀이 기체를 계속 흡수해 거대질량 ... ...
[News & Issue] 장기기증자의 눈물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우리가 아직 모르는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아 후유증이 생기는 것일 수 있다.더
큰
문제는 친족 사이의 이식이 많은 한국 특성상 후유증을 입밖에 내기가 쉽지 않다는 점이다. 자칫 가족 간 불화가 생길 수 있기 때문이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한국은 외국에 비해 생존 기증자의 건강 관리나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원핵세포보다 반지름이 50배 정도 크다. 문제는 원핵세포가 에너지를 만드는 방식이
큰
세포에 적합하지 않다는 것이다. 원핵세포는 자신의 세포막 전위차를 이용해 ATP를 만든다. 미토콘드리아도 같은 방식이다. 미토콘드리아나 원핵세포처럼 지름이 작을 때는 막의 전위차를 유지하는 게 어렵지 ... ...
[Knowledge] ‘죽음의 손가락’ 지닌 기이한 원숭이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QR코드를 스캔하면 동영상을 볼 수 있다. ▶ 사냥에 특화돼 있는 가운데 손가락의 가장
큰
비밀은 구조에 있다. 아이아이의 가운데 손가락은 우리가 아는 일반적인 영장류의 손과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움직인다. 가운데 손가락이 마치 드릴처럼 360° 회전한다! 이런 기능 덕분에 애벌레나 끈적한 ... ...
[Tech & Fun]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가요?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화학지각센터의 파멜라 달튼 박사는 2012년 발간한 ‘후각의 인지’에서 “후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경험과 기억”이라며 냄새와 함께 놓여지는 상황의 중요성을 강조하기도 했다.문득 궁금해진다. 당신의 여름은 어떤 냄새인지 ... ...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콧물로 범벅이 되어 있었다. 로봇의 은색 얼굴을 보자마자 윤정은 무너지듯 주저앉아
큰
소리로 통곡을 하기 시작했다. 윤정의 안경이 콧망울까지 흘러내려왔다. 주말의 고요한 학교 복도에 윤정의 울음소리가 울려 퍼졌다.울고 있는 윤정 앞에서 로봇은 아무 것도 할 수가 없었다. 상대방이 맥락도 ... ...
[수학뉴스] 수능 잘 보는 비법은 아침밥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고득점을 얻을 확률이 아침밥을 먹는 학생과 비교해 46% 수준으로 낮아졌고, 다른 영역은
큰
영향을 받지 않았습니다.이번 조사에서 전체 학생의 61.5%가 아침을 매일 챙겨 먹고 있고, 나머지 38.5%는 일주일에 하루 이상 아침을 거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질병관리본부가 발간하는 ... ...
[따끈따끈한 수학] 이름 따라 행복한 결말 맺을까? 해피 엔딩 문제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논문에는 다음과 같은 정리가 증명돼 있습니다.[램지 이론★ 꼭짓점의 크기가 충분히
큰
그래프에는 특정한 조건을 만족하는 부분 그래프가 반드시 있다는 이론. 조합 기하★ 유한 개의 점과 선 등으로 이뤄진 도형에서 나타나는 성질을 연구하는 학문.]각 n에 대해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최솟값을 ... ...
[지식] 그래프의 화려한 변신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모양의 파형을 ‘톱니파’라고 한다. 여기서 [x]는 x가 실수일 때, x를 넘지 않는 가장
큰
정수를 뜻한다.예가니는 앞으로 더 많은 작품을 만들어 예술 속의 수학을 세계에 알릴 계획이다. 마지막으로 수학동아 독자에게 전하고 싶은 말을 묻자 “평범한 일상에서 수학이 어떻게 이용되고 있는지 ... ...
[인터뷰] 서검교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7호
연습하고, 오디션을 보러 다녔죠. 락을 좋아해서 쇠사슬을 몸에 두르기도 하고, 검은색의
큰
벨트를 하고 다니기도 했어요. 지금 생각하면 왜 그랬는지는 모르겠어요. 하하. 아쉽게도 그때 사진은 남아있지 않습니다.”하지만 음악이 서 교수의 길은 아니었다. 그렇게 수학으로 돌아온 게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