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형상
모양
윤곽
외형
형식
생김새
폼
d라이브러리
"
형태
"(으)로 총 6,831건 검색되었습니다.
빛깔 좋은 딸기가 몸에도 좋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칼슘이 소변으로 배출되는 것을 억제하고 비타민C는 철분을 몸에 흡수되기 쉬운
형태
로 환원시키는 작용이 있다”고 말한다.눈과 코와 입을 즐겁게 하면서 몸에도 활력을 주는 봄의 전령 딸기. 따뜻한 봄볕 아래에서 병든 닭처럼 꾸벅꾸벅 졸음이 밀려올 때는 싱그러운 딸기 한접시가 보약인 셈이다 ... ...
동물은 웰빙, 관람객은 흥미 진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관광명소 중 하나가 될 것이다. 토종야생동물들을 별도로 전시하고 문화요소를 더한
형태
의 생태동물원은 세계 어디에도 없기 때문이다. 그동안 우리나라의 동물원은 외국의 희귀 야생동물들을 수집해 관람객들에게 보여주는 단순한 전시형 동물원 수준을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토종생태동물원을 ... ...
회의주의자들의 사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넘는 주제에 대해서 회의주의자의 관점에서 설명한다.참고로 회의주의의 대표적인
형태
인 인식론적 회의주의는 어떤 것이 과연 완전하고 충분한 확실성을 갖고 우리에게 알려지는가를 생각한다. 영문과 한글 사이트 모두 텍스트 위주로 구성돼 사이트가 예쁘지는 않지만 속도가 빠르다는 장점이 ... ...
사람눈 모방한 액체렌즈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물질이 코팅돼 있어 물보다 기름과 더 친하다. 따라서 물방울은 가운데가 볼록한
형태
로 존재한다(그림1). 이때 원통에 전기장을 걸어주면 물을 밀쳐내는 성질이 줄면서 기름의 친화도와 비슷해져 물방울이 옆으로 퍼져 납작해진다(그림2). 전기장이 더 강해지면 내벽이 기름보다 물과 더 친해지고 ... ...
천문학자들, '10번째 행성'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수행하는 놀이를 통해 캐릭터(등장인물)의 성격을 형성하고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형태
의 게임 컴퓨터 RPG로는 울티마, 디아블로 등이 유명하며 한국의 대표적 온라인게임 '리니지'도 여기에 속한다약물을 지지체에 직접 담아 피부를 통해 직접 투여하도록 만든 치료제아픈 부위를 자극하고 ... ...
06. 일본 떨어져 나가 동해 열리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약 2천3백만년 전부터 남쪽으로 평행하게 떨어져 나가다가, 1천5백만년 전 돌연 부채꼴
형태
로 벌어졌다는 두단계 확장설이 등장했다.동해가 두단계로 확장하게 된 이유로는 남쪽에서 북상하던 필리핀해판과 서남일본이 큐슈 부근에서 충돌한 것을 꼽았다. 필리핀해판과 서남일본이 충돌하면서 ... ...
봇물 터지는 발명소송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구현하려면 3원광, 즉 적색, 녹색, 청색의 빛이 갖춰져야 하기 때문이다.일종의 사내벤처
형태
로 홀로 연구를 시작한 그는 바로 시련에 부딪친다. 1989년 3월 새로 사장이 된 창업자의 사위가 연구 중단 압력을 가해왔기 때문. 나카무라 슈지는 이런 사장의 명령을 무시하고 회의에도 불참한 채 주말도 ... ...
무쇠솥으로 지은 밥은 왜 맛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거의 불가능하다.솥 하나를 완성하기까지 보통 네단계를 거친다. 거푸집 만들기는 솥
형태
를 만드는 과정으로 내면과 외면거푸집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내면거푸집은 솥 안쪽을, 외형거푸집은 바깥모양을 좌우한다. 이를 위해 말과 도래라고 불리는 도구가 고안됐다. 내면과 외형거푸집간격이 ... ...
1백m 길이 탄소나노튜브 만드는 기술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형성한 것. 연구팀은 형성되는 나노튜브들 사이에 막대를 회전시켜 기다랗게 꼬인 실
형태
를 얻었다. 전문가들은 이 방식을 이용할 경우 싼값으로 1백m 이상의 탄소나노튜브를 제작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이 탄소나노튜브를 플라스틱에 심는다면 비행기 우주선 등에 현재보다 튼튼한 복합재료로 ... ...
02. 바다에서 육지로 떠오른 강원도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되면서 다시 지층이 쌓여서 만들어진다. 이때 땅이 융기하면서 영향을 받아 습곡과 같은
형태
로 변형되기 때문에 쌓였다가 깎이는 흔적이 나타나기 마련이다. 하지만 강원도의 부정합에서는 이런 흔적이 발견되지 않는다. 이런 까닭에 또한 1억3천만년 동안 지층이 실제로 쌓이지 않은 것인지 아니면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