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백
어린이과학동아
"
100
"(으)로 총 4,026건 검색되었습니다.
여기는 화성, 지구 나와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30
설치했어요. 내 손으로 점화 스위치를 누르자“펑”하는 큰 소리와 함께 내가 만든 로켓이 불꽃을 내뿜으며 하늘 높이 치솟았어요.
100
m나 올라가더니 착륙선에서 낙하산이 펴지며 천천히 내려오더군요. 누가 더 높이 올라갔나, 누가 더 안전하게 착륙했나 겨뤘지요. 하하. 내가 만든 첫 로켓. 몇십 년 뒤에는 진짜 로켓을 만들어 화성에 갈 거예요. 탐 ...
지구용사 어과동 파이브! (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830
희생시킨 무시무시한 해파리가 있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우리는 서둘러 호주로 왔다. 호주 해변에서 만난 것은 상자해파리. 지금까지
100
여 명이 상자해파리에 쏘여 죽었다고 한다. 상자해파리의 촉수에 쏘이면 강력한 신경독에 의해 호흡이 곤란해지고 의식이 없어지면서 심장마비를 일으켜 5분 만에 사망한다. 하늘하늘한 몸에 이렇게 무서운 독을 숨기고 있 ...
서양 귀신 VS 동양 귀신 (1)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27
파스퇴르가 백신을 만들기 전까지 광견병은 가장 무서운 전염병 중 하나였습니다. 광견병에 걸린 개나 늑대에게 물린 사람은 거의
100
% 이 병에 걸립니다. 광견병에 걸린 사람은 물을 마시지 못하며 눈이 충혈되고 경련을 일으키다 대부분 죽고 마는데 그 모습이 너무 끔찍해 중세 사람들은 늑대에게 물리면 죽어서 늑대인간이 된다고 믿었습니다. 동물과 사 ...
나도 애니메이터가 되고 싶어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14
보러가기현실보다 더 진짜 같고, 현실보다 훨씬 재미있고, 현실보다 훨씬 아름다운 애니메이션의 세계. 처음 만들어진 때로부터
100
년도 지나지 않았지만 과학기술에 힘입어 애니메이션은 놀라운 발전을 이루었습니다. 하지만 그런 발전에 있어 더 큰 힘은 인간의 꿈과 상상력이었습니다. 수많은 어린이들에게 꿈과 희망을 주었고, 또 그 꿈을 먹고 자란 어린 ...
신나는 여름방학, 과학이랑 놀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714
진귀한 전시회도 열리죠. 즐거운 과학여행에 한 번 빠져 볼까요? ‘오늘은 화성에 도착한 지 사흘째 되는 날. 우주복 헬멧을 잠시 벗고
100
미터 떨어져 있는 친구에게 고함을 쳤지만 친구는 돌아보지도 않았다. 화성에서는 대기가 희박해 수십 미터만 넘으면 소리가 잘 전달되지 않는다. 낮에는 축구를 했다. 지구에서라면 멋진 바나나킥이 화성에서는 반 ...
현미경과 망원경이 보여 주는 놀라운 세계(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9
떨어져 있으니까요. 하지만 천체망원경을 사용하면 그 거리와 비교도 되지 않을 만큼 멀리 떨어져 있는 것도 볼 수 있어요. 약
100
년 전부터 급격하게 발전한 천체망원경 관측기술 덕분에 이제 인간은 우주의 끝까지 보려 하고 있답니다. 지구에서 38만 4000킬로미터 지구에서 384,000킬로미터 떨어져 있는 달은 맨눈으로도 쉽게 볼 수 있다. 하 ...
'안보여도'의 육상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8
45도 각도로 던질 때 가장 멀리 나가며 위아래로 5도 차이가 날 때 마다 1m씩 거리가 줄어든다. 무게는 800g일 때가 가장 적당하고
100
g의 차이가 날때마다 역시 1m의 거리가 줄어든다. 창의 길이는 260㎝가 적당하고 10㎝ 차이마다 역시 1m가 줄어든다. 세 사람의 힘이 같다고 했을 때 각각의 조건에서 누구의 창이 가장 멀리 나갈까 ...
한여름에 떠난 북극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28
에스키모들은 오로라가‘영혼이 춤추는 모습’이라고 생각했단다.” 봄날의 북극을 좋아하세요? 새끼 북극곰들이 태어난 지도 벌써
100
일이 되었다. 어느새 동굴로 스민 햇살이 코를 간지럽힌다. 봄이다. 겨우내 어미의 젖만 먹었는데도 새끼들의 몸에는 통통하게 살이 올랐다. 3월이 되어 날이 조금씩 풀리자 북극곰 가족은 동굴을 떠난다. 봄이 오면 북극이 ...
우리는 왜 월드컵에 열광할까?(2)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4
몸을 움직이는 데 걸리는 시간은 0.6초다. 하지만 공이 골라인을 통과하는 시간은 이보다 짧은 0.4초, 이론적으로 슈팅이 성공할 확률이
100
%라는 얘기다. 골키퍼가 공을 막기 위해서는 공을 차는 선수의 동작을 보고 공의 방향을 미리 예측해서 몸을 날려야만 한다. 종종 골키퍼는 상대방의 주의를 흩트리기 위해 몸을 흔들거나 손발을 휘젓기도 한다 ...
맛있는 빛의 요리사
어린이과학동아
l
20060613
빛의 혼합은 물감을 섞었을 때보다 밝고 경쾌한 느낌을 준다. 동물의 눈에는 어떻게 보일까? 2억 개의 후각세포를 가진 개는 사람보다
100
만 배나 냄새를 잘 맡는다. 그렇다면 개의 시각은 어떨까? 커다랗고 맑은 개의 눈을 보면 시력도 좋을 것 같지만 그 반대다. 개의 눈은 색맹에 가까우며 지독한 근시다. 게다가 색깔을 느끼는 원추세포가 매우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