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100"(으)로 총 4,084건 검색되었습니다.
- 똑똑똑~, 공부'뇌'를 깨워라(2)어린이과학동아 l20080229
- 봤자 소용없다구!’ 이런 생각하는 친구들 정말 많지? 저 말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해. 왜냐 하면 지능, 나이와 뇌 간의 관계가 아직 100% 다 밝혀진 게 아니거든. 하지만 그 동안 많은 과학자들이 이들의 관계를 밝히기 위해 많은 노력을 해 왔어. 그래서 어느 정도는 그 관계를 알아 냈지. 원래 뇌는 태어난 지 2~3년 안에 발달하고 그 뒤 ...
- 떡 속의 쫄깃쫄깃한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다르게 찰기가 많은 찹쌀로 만들어요. 쌀의 찰기가 다른 이유는 쌀 속의 아밀로펙틴이라는 성분 때문이에요. 찰기가 많은 찹쌀은 거의 100% 아밀로펙틴으로 되어 있고, 밥을 만들어 먹는 멥쌀은 80% 정도만 아밀로펙틴으로 되어 있지요. 게다가 떡메로 쌀을 치는 과정에서 조직이 뭉쳐지면 더 쫄깃쫄깃해진답니다. 셋, 설날에는 왜 가래떡을 먹나요? 한 ...
- 요건 몰랐 '쥐'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동물이 쥐다. 그래 봤자 쥐가 얼마나 하겠냐고? 놀라지 마시라! 1994년 미국 록펠러대학교에서 만든 당뇨병에 걸린 실험쥐는 그 당시 100억 원이나 했고, 현재 우리나라에서 기르고 있는 실험쥐 가운데는 최고 4500만 원이나 하는 쥐도 있다. 그렇다면 왜 하필 쥐를 사용할까? 쥐는 쉽게 기를 수 있고 한 번에 10마리가 넘는 새끼를 낳는다. ...
- 핑그르~! 빈혈이라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나의 왕자님이 곧 오실 거야. 라랄라~!” 리본에 레이스, 꽃 무늬까지 온갖 치장을 한 소녀가 노래를 흥얼거리며 난로에 장작을 지피고 있다. 이 소녀의 이름은 발그레. 오랫동안 친구였던 닥터고글을 짝사랑하고 있는 소녀 ... 내 생명을 구해 준 닥터고글, 나랑 결혼해 줘~!” “허걱, 난 공주병은 질색이라구~! 냥냥, 도망가자!” ppm : 농도의 단위로 ...
- “내 아기를 부탁해~!”어린이과학동아 l20080131
- 물 분자가 이동하지 못하게 해서 얼음 결정이 커지는 걸 막아요. 아이스크림의 얼음 결정은 일반적으로 15~20μm(마이크로미터, 1μm=100만 분의 1m)인데, 아이스크림이 녹았다가 다시 얼면 40μm 이상으로 커져요. 그 결과 얼음을 씹는 듯한 느낌을 주어 아이스크림의 부드러운 맛이 떨어진답니다. 이제 이 물질로 아이스크림을 만들면 아이스크 ...
- 겨울방학 심심타파! 하나겨울에 곤충 보러 가자!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4
- 수는 없지! 어떤 과학이 숨어 있는지 하나하나 알아볼까? 우리의 눈을 사로잡은 건 화려한 날개를 펼친 나비! 여기에 있는 나비만 해도 100여종, 2만 마리! 정말 어마어마하게 많지? 아쉽게도 살아 있는 나비가 아닌 표본이지만 우리의 흥미를 자극하기엔 충분했지. 처음에는 살아 있는 나비를 전시했었는데, 사람들도 많고 실내여서 나비가 많은 스트레 ...
- 정전기가 자동차를 태운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80114
- 거야? 그런데 정전기 때문에 누가 죽었다는 이야기는 아직 못 들어 봤는데…. “정전기는 전압값이 크지만 전류값이 아주 작아요. 100만 분의 1A* 밖에 안 되죠. 에너지값이 아주 작고 굉장히 짧은 시간에 흐르기 때문에 생명에 위험을 주진 않아요.” “그렇다면 정전기가 왜 주유소에서만 위험하다는 건가요? ” 차모라 양은 아직도 답답한 심정이다. ...
- 활활~ 얼음에 불이 붙었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 “얼음은 물이 0℃에서 얼어서 되는 거다, 이 말이죠? 얼음은 온도가 올라가면 녹아서 물이 되었다가 거기서 또 온도가 올라가 100℃를 넘으면 수증기로 변한다는 건 저도 잘 알고 있어요, 닥터고글. 그러니 얼음에 불이 붙는다는 게 말도 안 되는 일이죠. 하지만 나, 코파필드는 그 말도 안 되는 일을 해냈다 이 말입니다.” [소제시작]사건 분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2)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장애물도 많고, 실제로 사람이 타고 다니는 자동차 50대와 섞여 사거리를 지나가야 하는 등 정교한 무인자동차 기술이 필요했지. 약 100㎞의 거리를 6시간 안에 통과하면서 얼마나 안정되게 운행을 하는지가 평가되었어. 모두 6개 나라에서 53개 팀이 참가했는데, 결승에 오른 11개 팀 중에서 미국의 카네기멜론대학교가 1위를, 스탠포드대학교와 버지 ...
- 형사 고제트의 크리스마스 과학 대소동(1)어린이과학동아 l20071213
- 분명 어제까지는 크리스마스에 눈 올 확률이 80%였는데, 오늘은 5%밖에 되지 않는군. 눈 올 확률이 5%라는 건 같은 기상 조건에서 과거에 100번 중 5번만 1㎜ 이상 눈이 내렸단 얘긴데…. 겨울철 가뭄도 해소할 겸 크리스마스에 눈이 오면 좋을 텐데…. 어디 보자, 내가 갖고 있는 장비 중에 적당한 게 없을까? 오우~, 여기 좋은 게 있군. ...
이전39539639739839940040140240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