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뉴스
"
이상
"(으)로 총 18,795건 검색되었습니다.
올 8월 '1000경 달러' 보물섬 찾아 NASA 우주선이 떠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10선을 선정해 공개했다. 오시리스-렉스는 발사 2년 후인 2018년 베누에 도착했다. 2년
이상
베누를 조사하며 샘플 수집도 수행했다. 탐사 임무를 끝마치고 2021년 지구로 귀환을 시작한 끝에 오는 9월 24일 지구에 도착한다. 오시리스-렉스는 미국 유타 주 사막에 시료가 든 캡슐을 떨어뜨릴 예정이다. ... ...
운동하면서 먹는 '아몬드' 신체회복에 큰 도움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운동을 규칙적으로 하는 사람들에게 매일 아몬드를 먹는 것은
이상
적인 식습관이 될 것으로 보인다. 독특한 영양소 구성과 풍부한 폴리페놀을 가진 아몬드는 격렬한 운동 후 신체를 회복시키는 데 큰 도움이 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데이비드 니먼 미국 애팔래치아대 ... ...
정기석 위원장 "위중증 환자 줄면 다음주 실내마스크 해제 논의"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감소세 등 추이를 볼 때 정부가 실내마스크 의무 해제 조건으로 제시한 4개 지표 중 2개
이상
이 충족된 것으로 평가된다. 정 단장은 "중국의 상황이 다행히 정점을 치고 내려가는 추세로 4개 지표에 큰 영향을 미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약 3주간 위중증 환자가 500명대를 유지 중인 ... ...
전기차 주행거리 1.5배 늘릴 리튬 배터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에 달해 그 값이 기존 전이 금속 산화물 양극 소재(1g당 140~200mAh) 대비 약 1.5~2배
이상
높다. 바나듐 산화물은 배터리 충·방전 과정 동안 구조가 붕괴될 수 있어 안정성이 낮고 이온·전자 전도성이 낮다는 단점이 있어 그간 상용화되지 못했다. 연구팀은 고온고압 하에서 물질을 합성하는 ... ...
인천 강화 규모 3.7 해역지진 발생…"발생깊이 19km 이례적"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이상
지진이 발생한 것은 올해 들어 처음이다. 지난해 12월 1일 이후 40일 만이다. 규모 3.5
이상
지진은 지난해 10월 29일 충북 괴산군에서 규모 4.1 지진이 일어난 뒤 두 달여 만이다. ... ...
코로나 신규 확진 1만9106명…두달여 만에 최저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수는 전날 526명보다 6명 늘어난 532명이다. 지난달 18일 이후 500명
이상
을 유지하고 있다. 전날 사망자는 35명으로 직전일 34명보다 1명 늘었다. 누적 사망자는 3만2625명, 치명률은 0.11%다 ... ...
아연·망간으로 수명 제약 없는 레독스흐름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전압은 2.52V로 기존 바나듐 전지(1.3V)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효율도 10%
이상
향상됐다. 박 책임연구원은 "저비용의 아연-망간 소재와 가역성을 높일 수 있는 금속 이온 촉매 기술이 결합된 신개념의 레독스흐름전지 기술"이라며 "이번 성과는 차세대 장주기 대용량 레독스흐름전지 보급 ... ...
과학자가 분석한 중국 상황..."중국 백신 효능 떨어져 사망 속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9
중국 및 홍콩·마카오발 입국자에 대한 '검역정보사전입력시스템' 의무 등록 시행 이틀째인 6일 인천국제공항 입국장에 '중국발 전용통로' 안내문이 설치돼 있다. ...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회적 거리두기가 환자 급증을 억제하고 4월까지 사망자 수를 10만명
이상
줄일 수 있다고 예측했다 ... ...
코로나 확진 4만명대로 감소세…해외유입 78% 중국발
동아사이언스
l
2023.01.08
재원 중인 위중증 환자수는 전날 544명보다 18명 감소한 526명이다. 지난달 18일 이후 500명
이상
을 유지하고 있다. 전날 사망자는 34명으로 직전일 60명보다 26명 적다. 누적 사망자는 3만2590명, 치명률은 0.11%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2100년 지구 빙하 절반이 사라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23.01.08
자랑한다. 하지만 앞으로 약 100년 뒤면 지금과 같이 거대한 쿰부 빙하의 모습을 더
이상
보지 못하게 될 수 있다. 데이비드 라운스 미국 카네기멜론대 교수 연구팀은 지구 평균 기온을 산업화 이전 보다 1.5도 이내로 제한하는 파리협정의 목표를 달성해도 2100년에는 빙하량이 크게 감소할 것이란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