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뉴스
"
크기
"(으)로 총 5,888건 검색되었습니다.
국내 최대 창작문화축제, 2017 메이크랜드에선 무슨 일이?
동아사이언스
l
2017.09.23
23점의 종이로 만든 변신 피규어 로봇 전시가 펼쳐진다. 그 뒤로 평소 자주 볼 수 없는 2m
크기
의 대형 3D 프린터를 만날 수 있다. 전문 메이커 부스의 끝자락은 우리나라의 미래를 이끌어 갈 영메이커들의 부스로 이어진다. 메이커 활동을 시작된지 3주 밖에 안된 초보 메이커부터 1년 넘게 이 행사를 ... ...
눈에 보이지 않는 ‘나노 세계’ 실시간으로 엿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나노 세계’ 직접 관찰-제어 움직임 활발 육종민 KAIST 교수팀은 그래핀 터널을 이용해 투과전자현미경에서 흐르는 액체 속에 있는 물질도 관찰 ... 키운 결정만 관찰이 가능했지만 4세대 방사광 가속기에서는 그의 1000분의 1
크기
인 수백 nm
크기
만 돼도 단백질 분자 모양을 알아낼 수 있다 ... ...
생존율 10%미만 ‘두경부암’ 새 치료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내성이 생겨 치료가 잘 되지 않는 종양세포에 새롭게 개발한 약품을 투입한 결과, 암의
크기
가 최대 55% 이하로 줄어든 것을 확인했다. 연구진은 이번 연구성과를 바탕으로 임상실험에 돌입하는 등 실용화 연구를 시작할 계획이다. 세툭시맙과 루테튬-177은 모두 인체 사용 허가를 받은 물질이라 ... ...
괴물을 잡은 남자?
팝뉴스
l
2017.09.21
한 남자가 거대한 동물을 잡고 기념 촬영을 했다. 남자는 물속에 들어가 있다. 동물의
크기
를 보면 엄청난 수준이다. 아찔하다. 그런데 남자는 웃고 있다. 이렇게 용감할 수 있을까? ‘괴물을 잡은 남자’라는 제목의 사진은 미국의 최대 인터넷 커뮤니티 리딧에 17일 등장했다. 악어 같다고 말하는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진드기, 성가신 게 아니라 두려운 존재!
2017.09.19
게놈 세 조각이 보인다. 큰 조각(L)에는 복제에 필요한 RNA중합효소 유전자가 있고 중간
크기
조각(M)에는 캡슐 표면의 당단백질 두 종(Gc와 Gn)의 유전자가 있다. 작은 조각(S, 그림 오른쪽에 보이는 작은 고리로 M은 오타다)에는 핵단백질(NP)과 비구조단백질(NS)의 유전자가 있다. - Biomedical reports 제공 ... ...
차 부수는 배고픈 코끼리
팝뉴스
l
2017.09.19
찍은 영상은 13일 유튜브에 공개되었다. 픽업트럭이 서 있는데, 그 옆에 어마어마한
크기
의 코끼리가 다가왔다. 코끼리는 픽업트럭에 있던 먹을 것의 냄새를 맡은 것으로 보인다. 조금도 주저 없이 차를 부수어버리고 먹을 것을 가져졌다. 날강도도 이런 날강도도 또 없을 것이다. 그래도 사람이 ... ...
방사선 막는 ‘초경량 미래 우주복’ 등 첨단소재 연구 활기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KIST) 전북분원 복합소재기술연구소. 양자응용복합소재연구센터에 들어서자, 거대한
크기
의 고압 레이저 합성기가 모습을 드러냈다. 최근 새롭게 떠오르는 복합소재인 ‘질화붕소나노튜브(BNNT)’를 합성하는 장비다. 복합소재는 두 가지 이상의 소재를 혼합해 각 소재의 장점이 서로 시너지를 ... ...
토스터
크기
소형 탐지기, “유령을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7
담겼다. 중성미자 외 다른 입자가 투과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다. 연구진은 토스터
크기
의 이 작은 탐지기로 43년 만에 이론으로만 제기돼 왔던 중성미자의 ‘결맞음 상호작용’을 처음으로 관측하는 데 성공했다. 결맞음 상호작용은 파동 성질을 가진 중성미자가 원자핵을 미세하게 흔드는 ... ...
“뇌-컴퓨터 접속(BMI) 응용한 로봇의수, 5년 내 상용화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말했다. 뇌의 신호를 읽기 위해 초기에 연구팀이 택한 방법은 뇌의 표면에 콩알
크기
의 미세한 탐침을 붙이는 것이었다. 원숭이와 사람의 두개골을 열고 선으로 신호를 읽어 컴퓨터로 분석한 뒤 로봇팔과 연결했다. 슈워츠 교수팀은 이후 로봇 팔에서 움직일 수 있는 관절 수를 늘려 세밀한 ... ...
팔과 다리를 가진 스스로 걸어 다니는 ‘DNA 나노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17.09.15
있는 표면을 찾아 앞으로 나아간다. 연구진은 가로세로 57nm(나노미터·1nm는 10억분의 1m)
크기
의 염기 표면 위에서 나노로봇에게 탐사 임무를 시켰다. 3개의 노란색 분자와 3개의 분홍색 분자를 공간 여기저기에 흩어놓은 뒤 로봇이 스스로 분자의 색을 판별해 특정 장소까지 배달하도록 했다. DNA ... ...
이전
395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