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언
말실수
d라이브러리
"
실어
"(으)로 총 473건 검색되었습니다.
터빈없는 발전기 MHD
과학동아
l
199405
연구되고 있다.여기에서는 일단 불활성가스가 1차 작용유체 역할을 하면서 액체금속을
실어
나른다. 액체금속이 터널을 통과한 후에는 아직 가스 가운데 남아 있는 열을 회수시스템에 의해 회수해 재이용한다(그림1).이 2단계 시스템을 미국 아르곤 국립연구소에서 실험한 결과, 80% 가까운 높은 ... ...
2. 자유분방한 학문편력 고수하는 과학계의 '이단자'
과학동아
l
199404
때문에 자동분석의 대상으로 적합하다고 판단했다.그런데 그 당시에 무인 탐사선에
실어
보낼 분석장치를 개발하는 연구팀의 일원으로 NASA에 초빙되었던 한 연구자는 구태여 화성에 탐사선을 보내지 않고서도 생명체의 존재유무를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을 생각하기 시작했다.먼저 그는 만약 화성 ... ...
이동 컴퓨팅의 세계
과학동아
l
199404
Digital Packet Data)기술이다. 이는 기존의 셀룰러 네트워크상에서 음성과 데이터를 함께
실어
보낼 수 있는 기술로서 현재 미국 대기업들이 응용에 열을 올리고 있다.이제까지 설명한 것들 이외에 PCN, 혹은 PCS(Personal Communication Network/Service)라는 개념이 있다. 이것은 그야말로 '언제 어디서 ...
1. 세계가 자랑하는 대형로켓들
과학동아
l
199403
아니라 유럽의 우주정거장인 콜럼버스를 건설하기 위한 각종 건자재와 실험실 모듈은
실어
나를 수 있게끔 설계됐다. 5호는 1996년에 콜럼버스 본체와 우주실험실을 쏘아올릴 예정이며, 2000년에는 유인우주왕복선인 에르메스를 로켓 맨 위에 올려 발사할 예정이다. 미국의 세 거인미국은 자타가 ... ...
CD·LD의 작동원리
과학동아
l
199402
음성신호는 그대로 전파로 바꾸면 멀리 도달하지 못하므로 주파수가 높은 반송파에
실어
송수신해야 한다. 그 방법으로 진폭변조(AM) 주파수변조 위상변조(PM)가 있는데, 각각 고주파의 진폭 주파수 위상에 저주파인 음성 신호의 전압변동이 기록된다.이렇게 무선통신에 쓰기 위해서 고안된 FM을 ... ...
뇌의 손상부위 따라 말하기 듣기 건망증 등 언어장애 각각
과학동아
l
199310
실어
증 증상을 나타낸다. 이러한
실어
증을 전도
실어
증(傳導失語症)이라고 한다. 이들
실어
증 환자들은 다른 사람의 말을 듣고 따라 하라고 하면 잘 하지 못한다. 또한 글을 소리내어 읽는 것이 어렵다.그 이유는 쉽게 설명이 된다. 즉, 남의 말을 들으면 그 정보가 베르니케 부위에 도달되어 말의 뜻을 ... ...
현대전의 승패 판가름내는 전자전
과학동아
l
199310
45년 역사적인 노르망디 상륙작전시에 연합군은 채프뿐만 아니라 기구에 레이더반사기를
실어
독일군측 해안레이더에 대규모의 함대와 같은 큰 목표물이 전시되도록 했다. 아울러 연합군측의 기만송신 허위문서유출 등의 기만작전으로 독일군은 병력을 허위목표물이 나타난 지역으로 집중시켰고 ... ...
'93 대전 엑스포
과학동아
l
199308
체류하고 있다. 이들 우주비행사들에게는 무인 우주선 프로그레스를 이용해 물자를
실어
나르고 있다.이번에 우리와 교신할 미르의 우주비행사는 알렉산더 세레브로프, 그는 현재 러시아 우주소년단 총재이며 모스크바대학 물리교수로서 우주공간에 체류하면서 각종 우주실험연구를 추진 중이다. ... ...
(2) 우주탐사 12년 발자취
과학동아
l
199307
3만6천km 상공)에 쏘아올렸으며 장기노출실험장치(LDEF) 등 각종 실험기구를 우주공간에
실어
날랐다. 이 장치는 10개월 후에 회수될 예정이었으나 챌린저 사고로 우주공간에 방치돼 있다가 90년 초에 콜럼비아호에 의해 회수됐다. 챌린저가 우주공간에 싣고간 꿀벌 3천마리는 무중력 상태에서도 별 ... ...
최초 비행기 모형 열대 식물 씨앗 본떴다
과학동아
l
199306
6m 익폭(翼幅)의 꼬리날개가 없는 비행기를 처음으로 제작했는데, 이것은 25kg의 짐을
실어
나를 수 있었다. 10m 익폭의 두번째 비행기는 70kg의 짐을 싣고 3백m의 거리를 활주했다. 이그 에트리흐는 1909년 이 비행기에다 40마력의 발동기를 설치하려 시도하면서 평형이 유지되도록 무게중심의 올바른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