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의례
규정
인식
제전
양식
예식
각성
d라이브러리
"
의식
"(으)로 총 1,332건 검색되었습니다.
백설공주 중독 사건의 비밀은?
어린이과학동아
l
200813
의뢰 - 범인을 찾아라!왕자의 부탁을 받고 현장에 도착한 닥터고글. 백설공주는 아직
의식
이 없는 상태다.“음, 일단 공주님이 깨어날 때까지 기다렸다가 이야기를 들어 보는 게 좋겠군요.”닥터고글의 말에 왕자가 큰 소리로 외친다.“그럴필요없어요! 범인은바로저사람이라고요!”왕자가 가리킨 ... ...
0.05초 만에 결정되는 첫인상
과학동아
l
200812
편도체의 활동이 전두엽 활동으로 크게 줄어든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흑인에 대한 무
의식
적 편견과 이에 따르려는 행동을 전두엽이 억제한다는 뜻이다.첫인상과 뇌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첫인상이 형성되는 순간 피질하 구조와 신피질 구조 사이에 일어나는 구체적인 작동원리를 밝히는 데 ... ...
겨울 재촉하는 밤하늘 불새
과학동아
l
200812
DL’ 같은 천체사진 촬영 프로그램에 입력하면 컴퓨터가 자동으로 촬영을 한다. 적도
의식
가대와 연동도 가능해 시작버튼 ‘클릭’ 한번으로 촬영을 마치는 ‘오토가이드 시스템’도 구축할 수 있다. 오리온대성운은 워낙 밝고 큰 천체라 몇 초만 노출을 줘도 성운의 붉은 기운을 확인할 수 있다. ... ...
올버스 패러독스
과학동아
l
200812
가 은하수의 빛줄기에서 조금만 빗겨나도 밤하늘이 칠흑같이 어두워진다. 공기의 존재를
의식
하지 못한 채 자유로이 숨을 쉬듯 우리는 밤의 어두움에 너무 익숙해 밤하늘이 어둡다는 사실 자체를 잊고 산다. 누가 밤하늘이 왜 어두운가라고 묻는다면 의아한 눈초리로 질문한 사람을 되돌아 볼 ... ...
NASA에서 온 편지
과학동아
l
200811
느낄 만한 사업을 제시하고, 모든 일에 최고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모였다는 공동체
의식
을 느끼게 해줘야 합니다.제 주변의 많은 동료들은 NASA를 사실적으로 묘사한 ‘아폴로 13’이라는 영화를 보며 감격의 눈물을 흘렸다는 얘기를 많이 합니다. 그만큼 NASA 직원들은 자기가 하는 일에 자긍심과 ... ...
[지구과학]쌍춘년의 주기 계산법
과학동아
l
200811
구상하되 범위가 좁아서는 안 됩니다. 다양하고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해 제도 개선과
의식
개혁 측면으로 나눠 기술합니다.2) 수동적으로 피하는 방법과 능동적으로 맞서는 방법의 차이에 주안점을 두고 구체적인 예를 들어 기술합니다.예시답안1) 지진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먼저 지진 피해 ... ...
합성첨가물 안 쓰는 식품개발 꿈꾼다
과학동아
l
200811
생존할 수 있게 한 이런 시스템의 약점을 이용한 게 아닐까. 확고한 인식을 가지고
의식
적으로 노력하지 않는 한 우리는 더 보기 좋고 맛도 풍부하고 향기로운 식품에 본능적으로 끌리기 마련이다. 과거 식품회사 세일즈맨이었다가 회사를 나와 식품업계의 이면을 고발한 일본의 아베 쓰카사가 2005년 ... ...
환경재료공학
과학동아
l
200811
환경재료공학은 연구 범위가 넓고 융합학문으로 주목받는 분야이기 때문이다. 또 목표
의식
이 강한 학생이 적합하다. 아직 많은 연구가 진행된 분야가 아니기에 닦아진 길보다는 가지 않은 길이 더 많다. 가지 않은 길을 걷는 데에는 도전정신과 끈기가 필요하다.졸업 후 대학원에 가고 싶은데요? ... ...
우연한 발견의 진실
과학동아
l
200811
이런 사례를 통해 볼 때 천재과학자들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인다. 첫째, 항상 문제
의식
을 갖고 마치 사냥꾼처럼 우연한 사실을 찾아 방황한다. 둘째, 우연한 사실을 사냥하는 관찰력을 갖고 있다. 셋째, 우연한 사실에서 얻은 영감을 기록하고 이를 확고부동한 사실로 만들기 위해 법칙이나 기술을 ... ...
마법 같은 제2의 양자혁명
과학동아
l
200810
설명도 있다.영국의 물리학자 로저 펜로즈는 ‘황제의 새 마음’이라는 책에서 인간의
의식
이 양자적인 중력이론에 따른 양자측정과 관련될지도 모른다는 아이디어를 제안했다. 또 미국 MIT 물리학과 교수인 맥스 테그마크는 인간의 뇌가 양자역학적인 효과가 유지되기에는 결잃음이 너무 크다고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