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부
부분
국부
국소
음부
한부분
몫
d라이브러리
"
일부분
"(으)로 총 471건 검색되었습니다.
(5) 초파리 연구, 진화의 비밀 밝혀
과학동아
l
199204
의한 질병을 찾아낼 수 있다. 염색체의 한 부분이 없어졌거나, 다른 염색체와 서로
일부분
이 바뀌었거나, 염색체의 개수가 많아지거나 혹은 적어진 경우다. 그러나 유전자의 DNA배열에 이상이 생겼을 때에는 염색체만을 관찰해서는 그 원인을 알아낼 수 없다. 대개는 분자생물학의 기술을 동원해 ... ...
윈도우의 시대는 열릴 것인가?
과학동아
l
199203
워드프 로세서 등과 같은 작업창으로 손쉽게 옮길 수 있으며(DDE기능), 또 이들 작업창의
일부분
을 각각 연계(link)해 한쪽만을 수정하면 다른쪽도 자동적으로 고칠 수 있게 해준다(OLE기능).윈도우 3.0에서 보여준 이같은 기능은 세계 PC 사용자들을 단번에 매료시키기에 충분했고 지금까지 DOS ... ...
(1) 영양 불균형 이루기 쉽다
과학동아
l
199203
청소년층의 입맛을 겨냥해 발매되고 있다.이들 식품은 대개 각 식사의
일부분
인 부식의 성격이 강하다. 다시 말해 한끼식사를 대치할 수 있는 성질의 식품들은 아니다. 그 이유는 우선 양적으로 충분하지 못하며 열량이나 영양소비율도 한끼식사를 대치하기엔 부족하기 때문이다.보통으로 활동하는 ... ...
${10}^{-29}$㎝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199203
그 때는 경이로운 눈으로 환호성을 올렸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퍼즐의 쉬운
일부분
이었다. 채워야 될 구멍은 아직 남아 있다. 풀 수 있는 퍼즐은 이미 답이 나왔지만 GUT 퍼즐은 여전히 해답을 기다리고 있다.문제는 풀릴 수도 있고 풀리지 않을 수도 있다. 실험 기술이 도달할 수 없는 그러한 ... ...
멋진 별밤을 약속하는 용감한 사냥꾼
과학동아
l
199201
그 바로 옆의 작은 가스 뭉치는 M43, NGC1982로 불리는데 이 둘은 실제로 같은 성운의
일부분
이다. 오리온 대성운은 워낙 그 크기가 커서 그것을 관측하는 데는 쌍안경이 가장 좋은 기구다.이 성운의 중심 부분에 5등급의 세타-1(${θ}^{1}$)이란 별이 있다. 이 별은 그 주위의 가스층으로부터 최근에 생겨난 ... ...
(1) 끊임없이 변신하는 정보사회의 불청객
과학동아
l
199111
컴퓨터가 병이 난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사람은 어느 곳이 아프면 경우에 따라서 몸의
일부분
을 전혀 쓸 수가 없게 되든지 쓸 수가 있더라도 힘이 약해지고 정신이 희미해져 원하는 바를 제대로 할 수가 없게 된다.컴퓨터가 병이 난다고 하는 것도 이와 같다. 컴퓨터를 구성하고 있는 하드웨어의 어느 ... ...
컴퓨터를 입는다?
과학동아
l
199111
실장인 다케마사 히데치는 자신들이 역점을 둔 것은 "컴퓨터가 인간 몸에 밀착해 마치 그
일부분
인 양 만드는 것"이라고 말한다. 이를 위해서 디자이너들은 기존의 컴퓨터상(像)자체를 부정하는 일에서부터 출발해야 했다. 즉 컴퓨터를 들고 다니는 상자형태로 보는 전통적인 관념에서 벗어나 ... ...
잘못 쓰이고 있는 과학기술용어
과학동아
l
199110
없다.(×) → 달에는 대기가 없다.공기 - 이곳의 공기는 맑다.이와 같이 공기는 대기의
일부분
만을 가리키는 용어다.토성의 고리 → 토성의 테고리란 어떤 물건을 끼우거나 걸기 위한 것이고, 테란 어떤 물건의 둘레에 있는 것을 의미하므로 토성의 테라고 하는 것이 맞다. 이것은 교과서에 조차 틀리게 ... ...
토성의 테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08
매우 검어서 테 물질속에 조금만 섞여도 어둡게 나타나도록 만든다. 오늘날 토성의 테 중
일부분
은 밝고 얼음으로 구성되어 있음이 명백한데 이는 이 테가 아직은 혜성의 먼지에 의해 더럽혀지기 시작한지 오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똑같은 과정이 목성과 천왕성과 해왕성까지도 적용되겠지만 이 ... ...
(4) 진화론자에게 묻는다
과학동아
l
199107
알 수 있다. 그 근거는 이렇다. 일반적으로 아미노산의 치환에 따른 기능의 손실은
일부분
으로 제한돼 있다. 또 맡은 역할이 중요한 아미노산이라 할지라도 20개의 아미노산 중에는 서로 비슷한 성질을 갖는 아미노산이 다수 존재하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이러한 아미노산은 치환이 가능하다. 그리고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