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일광
햇빛
햇살
d라이브러리
"
태양광선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2) 영화도 가능한 스테레오 홀로그램
과학동아
l
199111
광원은 초기에는 재생 기준파로 레이저 광선만이 가능했으나 현재는 백색광 또는
태양광선
이 사용가능하다. 아주 좋은 화상을 재생하기 위해서는 할로겐 램프를 사용한다.어린이용 과자에까지엠보스(emboss)홀로그램은 마치 인쇄소에서 인쇄하듯 기계적으로 대량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상업적으로 ... ...
사나운 불 길들이기
과학동아
l
199110
교대로 당기면 더 쉽게 불을 피울 수 있다.④ 달쏭이 : 얼음을 깎아 볼록렌즈를 만든 후
태양광선
을 모아 마른 풀에 쬐면 불을 피울 수 있다.(3) 불을 피우는 방법에는 세가지가 있다. 부시와 부싯돌을 부딪쳐 만든 불꽃을 부싯깃에 떨어뜨리는 타격법, 나무에 홈을 판 뒤 그곳에 나무막대를 넣어 ... ...
블랙홀인가, 또 다른 미지의 천체인가?
과학동아
l
199110
대파괴원의 밝기가 수시로 변하는 원인을 블랙홀이론으로 설명할 수 없다. AT&T벨연구소의 레벤살은 은하우주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강력한 감마선을 방사하며 그 방사량이 격변하는 기묘한 천체에 '대파괴원'(大破壞源)이란 이름을 붙였다. 기구관측과 위성관측에 따르면 이 천체는 돌발적으로 51 ... ...
(2) 우주로 열린 지구의 창
과학동아
l
199109
달에 천문대를 세워 우주를 관측한다면 우주생성의 비밀이 손쉽게 풀릴지도 모른다.달의 구조와 기원을 규명하고자 추진되었던 아폴로 계획이 지난 1969년 수억 지구인들이 시청하는 가운데 역사적인 유인착륙과 월면보행을 이룩하면서 성공적으로 마무리지었다. 이 계획이 종료된 1972년까지 수많 ... ...
(1) 3백85㎏의 월석이 밝혀준 사실들
과학동아
l
199109
인간이 달에 첫발을 내디딘지 22년. 그러나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것이 많다. 달여행 제2막인 '달기지 건설'을 앞두고 지금까지의 성과를 간추려본다.60년대와 70년대 우주개발의 모든 목표는 달이었다. 즉 달은 광활한 우주를 향한 인간의 꿈을 펼친 첫 관문이었던 셈이다. 그런 의미에서 1969년 7월 ... ...
3.큰폭으로 요동하는 기후
과학동아
l
199108
현재 지구는 그 변동주기중 어느 위치에 놓여 있는가?45억년 전 지구가 태양계 내에 떠다니던 소행성(떠돌이 별)들과 수없이 부딪히면서 만들어질 때 그 충돌과 많은 화산활동으로 분출된 가스에 의해 지구 대기가 생성됐다. 따라서 태초의 대기 구성 성분은 지금의 성분과는 아주 다르다. 원시 대기 ... ...
「운동선수의 발」 무좀
과학동아
l
199108
아니면 바르다 말다 하느냐에 달라진다.옛날부터 무좀에는 식초를 바르면 좋다,
태양광선
에 쬐거나 약초를 바르면 좋다는 등 민간요법이 있으나 그것으로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된다. 식초 또는 성분이 잘 알려지지 않은 민간요법 치료제들은 접촉성 피부염을 유발하기 ... ...
하늘은 「화끈화끈」 땅은 「냉랭」
과학동아
l
199107
광범위하게 장기간 떠다님으로써 기후에 영향을 주게 된다.대기중에서 에어로졸은
태양광선
의 산란체 역할을 한다. 흔히 지표면에 도달하는 일사량은 직달일사량(대기중에서 산란 또는 흡수되지 않고 지면에 바로 도달하는 일사량)과 산란일사량의 합(전천일사량이라 함)으로 계산된다. 따라서 ... ...
아인슈타인은 역시 옳았다.
과학동아
l
199106
제랄드 가브리엘스와 하버드대학의 한 연구팀은 아인슈타인의 일반상대성 원리를 증명하는 조심스러운 실험을 실시했다.상대성 원리는 지난 1916년에 처음으로 발표됐는데 이를 뒷받침 할만한 그 어떠한 증거도 없었으므로 당시로선 대단한 상상력이 만든 업적일 뿐이었다. 그저 아인슈타인 혼자 ... ...
어떤 망원경을 선택하나?
과학동아
l
199105
관측대상에 따라 망원경 선택은 달라진다. 그러나 망원경 하나로 다목적 천체관측을 하려면 f/6이나 f/7정도의 구경 8~10인치 급 반사식을 선택하는 것이 무난하다.1610년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최초로 천체 관측에 망원경을 사용한 이후 망원경은 우주로 향한 인간의 호기심을 만족시키는 가장 중요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