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자
지은이
작가
글쓴이
저작자
작자
저술가
d라이브러리
"
필자
"(으)로 총 1,211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로 되살아난 페르세폴리스
과학동아
l
200805
3월 10일
필자
를 포함한 KAIST 문화기술대학원팀은 이란행 비행기에 올랐다.기원전 4세기 초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로스 대왕이 불태운, 페르시아의 수도 페르세폴리스에 가기 위해서였다.우리 일행의 방문 목적은 페르세폴리스의 디지털 복원을 위한 현장 답사.불타고 남은 페르세폴리스 유적을 193 ... ...
지름 2m의 눈으로 우주 본다
과학동아
l
200805
‘수미산설’이라는 아주 기괴한 우주론을 주장한 불교지식인들을 연구하는 모임이다.
필자
가 속한 이 연구회는 지난 3월말 니시하리마 천문대를 방문해 2박3일간 천체관측과 사진촬영을 했다. 관측팀을 이끈 사람은 동아시아 천문학사의 권위자인 도시샤대의 미야지마 카즈히코(宮島一彦) 교수였다 ... ...
지구 3차원 영상지도 전쟁
과학동아
l
200805
미국 시카고에 있는 지도정보 벤처기업 ‘포레스트 원’의 기술담당이사(CTO)로 근무하던
필자
는 회사의 경영진들과 머리를 맞대고 논의를 했다. 그리고 구글이 대용량 영상지도서비스 사업을 시작할지 모른다는 결론을 내렸다.그로부터 8개월 뒤인 2005년 6월. 구글은 지구 전체의 위성사진을 모아 ... ...
3. 고품질 바이오석유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805
커다란 배양기와 미생물, 당분만 있으면 모든 나라가 산유국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필자
역시 조만간 미국 키슬링 교수팀을 방문해 1년간 머물면서 공동연구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국내 기술로 개발된 바이오연료 생산 슈퍼 균주가 전 세계의 바이오연료 생산 공장에서 이용될 날을 기대해본다 ... ...
part 1 못 볼 곳 없는 천리안
과학동아
l
200804
시력 감퇴를 막을 수 없었다. 할아버지는 어떻게 해야 예전처럼 멀리 볼 수 있냐고
필자
에게 물었다. 그는 젊은 시절 600만불 사나이 같았던 시력을 회복하고 싶어 했다.안경에 1차 코일, 눈 안에 2차 코일?근시와 백내장은 현대인의 눈 건강을 위협하는 양대 요인이다.근시를 가진 현대인이 점점 늘고 ... ...
PART2 장내 미생물, 받은 만큼 돌려준다
과학동아
l
200804
견제하는 역할을 한다. 만일 코달이 제 역할을 못하면 항균펩티드가 많이 만들어진다.
필자
와 동료들은 코달의 발현을 억제한 뒤 장내 세균 생태계의 변화를 지켜봤다. 그 결과 놀랍게도 유익균은 크게 줄어들고 유해균이 늘어났다.즉 건강한 초파리의 장에는 10만 마리가 넘게 사는 A911이라는 ... ...
PART4 지구온난화 늦춰줄 한 줌의 '소각재'
과학동아
l
200803
층은 소각재에서 중금속 성분이 흘러나오지 못하게 하는 코팅제 역할을 한다.지난해 6월
필자
는 이산화탄소를 이용해 소각재를 깨끗이 ‘정화’하는 공정으로 일본소재물성학회에서 최우수논문상을 받았다. 지난해 말에는 1시간에 200kg의 소각재를 깨끗이 처리할 수 있는 연구플랜트를 국내 최초로 ... ...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03
찍으러 돌아다녔던 동호회 회원인 서울시립대 이준화 교수가 호주에 교환교수로 간 뒤
필자
를 초청한 것이다. 이 좋은 기회를 놓칠 수 있으랴. 어렵게 시간을 내 호주로 향하는 비행기에 올랐다.우리나라에서는 한겨울에나 볼 수 있는 오리온자리가 30℃가 넘는 더위에 거꾸로 매달려 있는 모습을 ... ...
별빛보호지구에 남은 시간의 기록
과학동아
l
200802
채 월척을 기다리는 강태공 마냥 별빛이 렌즈에 고스란히 담겨지기를 기다리면 된다.
필자
는 돌아오는 주말에도 천문인마을로 촬영을 떠날 예정이다. 이번에는 어떤 천체사진을 찍어 볼까. 성운? 은하? 예쁘고 화려한 천체를 찍어보는 것도 좋겠지만 남들이 많이 찍는 사진은 그리 남기고 싶지 않다는 ... ...
조선조류열전
과학동아
l
200801
하면서 한 마리도 볼 수 없었다.크낙새의 주된 서식지는 경기도 광릉이었다. 1974년 7월
필자
는 광릉 내 수령 100년 된 참나무고목에서 크낙새 둥지를 발견했다. 1979년 5월에는 고사한 소나무의 나무구멍에 둥지를 튼 크낙새가족을 약 40일 동안 조사했다. 그 결과 크낙새가 흰색 알 서너 개를 낳아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