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거대"(으)로 총 1,454건 검색되었습니다.
- [Photo] 홍연석(Crocoite) 존재 자체가 기적인 ‘생존자’과학동아 l2016년 12호
- 원소의 존재가 바로 이 광물을 통해 밝혀졌다. 지금은 새로운 원소를 찾는 데 가속기라는 거대 장치를 주로 사용하지만, 주기율표에 있는 원소 대부분은 광물을 구성하는 성분을 분석하면서 발견됐다. 색과 결정이 아름답고 희귀한 홍연석은 점차 광물 수집가들의 인기를 얻었다. 그 중에서도 이곳 ... ...
- [포커스 뉴스] 4세대 방사광가속기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같은 생체구조를 분자 수준에서는 물론, 원자 수준에서도 볼 수 있다.방사광가속기는 거대한 슈퍼현미경과학자들은 방사광가속기를 활용해 비아그라의 단백질 결합구조를 관찰해 어떻게 발기부전을 치료하는지 밝혀냈고, 신종플루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개발하는 데 공헌하기도 했다.1996년부터 ... ...
- [News & Issue] 우주의 비밀에 가장 가까이 선 사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향후 더 많은 한국 과학자들이 CERN의 프로젝트에 참여할 수 있도록 관계를 강화하고 싶다.거대강입자충돌기(LHC)가 낼 수 있는 에너지에는 한계가 있다. 그보다 높은 에너지가 필요한 실험은 할 수 없다. ‘LHC 시즌2’에서 우선순위로 생각하고 있는 목표는 무엇인가. CERN의 미래를 위해 어떤 준비를 할 ...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과학동아 l2016년 11호
- 시작해 중생대 쥐라기에 다시 낮아지고, 백악기에는 다시 지금보다 높아졌다. 실제로 거대 곤충이 살았던 시기와 이 시기가 일치한다.물론 산소 포화도가 곤충의 몸집을 좌지우지한 전부는 아니다. 일본 도호쿠대 생태학 및 진화생물학과 오카지마 료코 박사팀이 산소 분압으로 예측한 과거의 곤충 ... ...
- [Tech & Fun] 거꾸로 자라는 땅속 마천루, 지하도시과학동아 l2016년 11호
- 거대 굴착 장비 덕분에 지금은 어떤 조건의 암반도 어렵지 않게 뚫을 수 있다. 특히 거대 중장비 ‘쉴드 TBM’은 암석을 부수고 파편을 외부로 배출하며 터널 벽면에 콘크리트 조각을 붙여나가는 것까지 자동으로 한다. 사람은 기계를 조종하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터널이 붕괴되는 등 위험 상황이 ... ...
- [Tech & Fun] 로봇 의수의 혁신 ‘아이림’과학동아 l2016년 11호
- 변화가 있던 때기도 하다. 기술이 무르익기 시작하면서, 큰 방을 가득 채워야 할 만큼 거대했던 의료장비들이몸에 지니고 다닐 수 있을 만큼 작아졌다.사회적인 요인도 있었다. 역사상 최악의 재앙 중 하나로 꼽히는 탈리도마이드 사건이 일어났다. 탈리도마이드는 1950년대 후반 독일에서 만들어진 ... ...
- [Tech & Fun] 모자를 벗지 않는 사람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살짝 고개를 끄덕였다.“우리 종족은 지구식으로 표현하자면 불간섭주의에 가까워요. 거대 운석이나 혜성과 충돌하게 돼 있는 문명은 여러 번 구해줬어요. 그들에게 알리지 않고 운석이나 혜성을 파괴한 다음 떠나면 되니까. 그게 원칙이었죠. 그런데 이번에는 지구인의 시뮬레이션 결과를 확인한 ... ...
- [News & Issue] 뇌 주름의 물리학과학동아 l2016년 10호
- 커지지 않아 뇌가 앞으로 쏠린 모양으로 거대 주름이 생겼다고 보고 있다.그런데 뇌에는 거대 주름만 있는 게 아니다. 사이에 미세한 잔주름이 가득하다. 이 잔주름도 두개골이 단단하기 때문에 생긴 결과일까. 과학자들은 두개골이 없는 상태에서 뇌를 키우는 실험을 해봤는데, 뇌 주름이 나타나는 ... ...
- [과학뉴스] 제임스 웹, 우주의 비밀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0호
- NASA)과 유럽우주국(ESA), 캐나다우주국(CSA)은 힘을 합쳐 허블 우주망원경의 뒤를 이을 거대우주망원경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James Webb Space Telescope)’을 제작하고 있어요. 2018년에 우주로 발사될 예정인 제임스 웹 우주망원경은 우주의 역사를 담고 있는 적외선을 조사해 우주의 진화를 밝히는 게 ... ...
- PART 1. 연구비보다 '연구 자유'가 중요했다과학동아 l2016년 10호
- 타카아키 일본 도쿄대 교수는 과학동아와의 e메일 인터뷰에서 일본과 미국 정부가 거대 실험장치의 건설비를 지원한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됐다고 밝혔다. 그는 슈퍼카미오칸데(위 사진)를 이용해 중성미자에 질량이 있다는 사실을 밝혔다.이처럼 콘트랙트 형태의 지원을 받아서 탄생한 노벨상 수상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