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건"(으)로 총 6,550건 검색되었습니다.
- [2039:화성 일 년 살기]상추로 우주의 평화를 수호하다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식량이었다. 게다가 대부분의 식량은 영양 성분만 고려해 튜브에 담긴 치약 같거나, 반건조 진공 포장 상태였다. 6개월 넘게 매일매일 삼시세끼 치약을 짜 먹는다고 생각해보라. 화성 탐사대원들은 괜찮은 먹을거리를 제공해달라고 강력하게 요구했다. 화성에서의 짧은 인류사에서 최초의 파업 ... ...
- [SF소설] 귀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설명하지 못한다. 마찬가지로 떠나기 전에 지아가 했던 말의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 그건 내가 해석할 수 있는 영역 밖의 일이있다. 다만 지아의 뒤를 쫓았고, 발견했고, 따라가기로 결정했다. 그뿐이다. 처음 R구역으로 돌아가겠다고 말한 날, 로렌츠는 물었다.“정말 가실 겁니까?”부와 명예, ... ...
- [기획] 믿었던 킬러 T 세포가 고장 나면 어떻게 될까?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하는 세포가 있을 수도 있다는 추측이 있었지만, 방관자 T 세포의 명확한 역할을 밝혀낸 건 신의철 교수팀이 처음이었어요. 이후 지금까지 방관자 T 세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2019년 한양대학교 생명과학과 최제민 교수팀은 처음으로 자가 면역 질환에서의 방관자 T 세포 ... ...
- 챗GPT 필수가이드수학동아 l2023년 06호
- 그러나 데이터가 많다고 해서 무조건 뛰어난 AI를 만들 수 있는 것은 아니에요. 김건희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는 “GPT-3보다 데이터가 훨씬 더 큰 AI도 있지만, 실제론 챗GPT가 훨씬 잘 작동한다”며, “모은 데이터를 어떻게 학습시키는지는 회사의 역량”이라고 설명했어요. 이러한 노하우는 ... ...
- 게임 회사에서 언어 AI 연구하는 이유는?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다른 팀과의 협업도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요. 언어 AI 담당이 꼭 AI만 연구해야 하는 건 아니에요. ‘다른 팀과 새로운 일을 하고 싶어요’라고 하면 프로젝트가 새로 만들어지기도 해요. 성준 맞아요. 자유로운 환경에서 연구할 수 있어요. 저는 연구 제안을 많이 하는데요. 새로운 연구를 하면서 ... ...
- [러셀 탐구생활] 러셀의 삶을 뒤흔든 역설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이번에는 ‘수학의 역설’이었지요. 그것은 첫 번째 역설만큼 러셀의 운명에 결정적인 사건이었습니다. 1901년 봄, 러셀은 크기가 가장 큰 집합이 존재할 수 없다는 독일 수학자 게오르그 칸토어의 증명을 접했습니다. 결론이 다소 비직관적이라고 느낀 러셀은 증명을 면밀히 검토해보았고, 그 ... ...
- 인쇄한 대체육 직접 먹어봤습니다! 3D 푸드 프린팅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배양육으로, 지구에서 우주로 푸드 프린팅 기술의 저변은 넓어지고 있습니다. 맛있지만 건강한 베이컨을 구워 먹는 아침이 언제 올지 기대됩니다. 용어 설명퓌레 : 야채나 고기를 갈아서 체로 걸러 걸쭉하게 만든 음식. 주로 요리의 재료로 쓴다.필레 : 고기나 생선의 뼈 없는 조각 ... ...
- [Outro] 절벽 틈에서 인류 문명이 새로이 피어나다, 미래 화성 도시 Nüwa과학동아 l2023년 06호
- 개최하며 내건 조건이다. 전세계 175개 팀이 공모전에 지원한 가운데, 특히 눈에 띄는 건 도시 디자인 회사 ‘ABIBOO’와 다국적 우주과학자 단체 ‘SONet’이 함께 설계한 절벽 도시 ‘Nüwa(여와)’다. 인류는 절벽 틈에서 어떤 문명을 새롭게 피워낼 수 있을까, Nüwa 속으로 들어가봤다. *Nüwa(여와) ...
- [성진우·염민규의 ‘실험실에서 온 생명체’] 인공배아를 인공자궁에서 키우다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등 의학 제반에 큰 영향을 끼칠 겁니다. 물론 이 모든 것은 예상과 바람일 뿐 결정된 건 없습니다. 생명 탄생의 비밀을 밝혀내는 꿈을 현실로 만들어 낼 수 있는 원동력은 미래세대의 관심과 노력에 달려 있습니다. 현세대가 아직 이루지 못한 그 꿈을 그들 손으로 꼭 이룰 수 있길 바라며,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즐겁고 슬기로운 숏폼 사용법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좋아요. 혹시 하루에 숏폼을 보는 시간이 너무 길다면 오늘은 한번 과감하게 산책해 보는 건 어때요? 우리가 사는 현실은 30초짜리 숏폼이 아니라 하루 8만 6400초 짜리 롱폼이니까요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