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초기 우주의 블랙홀 및 은하의 생성과정을 연구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활동성은하가 초기 우주의 중성 수소를 이온화하는 정도를 파악하는 프로그램에
공동
연구자로 참여합니다. JWST 관측이 현재 연구에 어떻게 도움을 주나요 JWST의 거울 크기는 앞선 HST보다 3배 가까이 크고, 적외선 감도도 뛰어나 먼 우주에서 오는 희미하고 적색이동된 빛을 검출하기 유리합니다. ... ...
[폴리매스] 세상에 없던 문제에 도전하라!
수학동아
l
2021년 12호
공동
연구를 통한 서로 간의 교류라고 생각해요. 특정 인원만이 연구에 참여한다면 ‘
공동
연구’라는 이름에 맞지 않다 생각했지요. 그렇기 때문에 다른 분들의 대한수학회 57번 문제의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처음에는 문제를 게시판에도 올리고 주변 지인에게도 알리는 등 여러 ... ...
[DGIST 융복합 파트너] 초음파와 빛의 융합 공기 방울로 극대화한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해서는 나타날 수 없는 결과였다. 장 교수는 유체 내에서 진동으로 공기 방울이 생기는
공동
현상(Cavitation)에서 답을 찾아냈다. 초음파를 조사하면 조직에서 진동이 일어나고 공기 방울이 만들어진다. 이 공기 방울에서는 산란이 거의 일어나지 않아 빛 에너지가 목표한 부위에 충분히 전달된 것이다 ... ...
[가상 인터뷰] 스카이다이빙으로 사냥한다! '킬러 파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지난 5월, 미국 미네소타대학교 생태진화행동학부 곤잘레스 벨리도 교수가 이끈 국제
공동
연구팀은 킬러 파리가 먹이의 위쪽에서 ‘다이빙’하는 경우도 있다고 발표했어. 엥? 다이빙을 한다고?연구팀은 킬러 파리를 투명한 판으로 둘러싼 공간에 넣었어. 그리고 주 먹이인 초파리와 모형 먹이 등을 ... ...
[기획] 하수도3 싱크홀을 막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21년 12호
진행하고 있어요. 서울시와 서울디지털재단, 세종대학교 컴퓨터공학부 문현준 교수
공동
연구팀이 개발하고 있는 ‘인공지능 기반의 하수도 결함 탐지 시스템 기술’이지요. 낡은 하수도는 싱크홀 사고의 가장 큰 원인으로 꼽혀요. 국토교통부가 지난해 2월 발표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9년 ... ...
“가장 먼 퀘이사에서 온 어두운 빛 검출을 기대합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활동성은하가 초기 우주의 중성 수소를 이온화하는 정도를 파악하는 프로그램에
공동
연구자로 참여합니다. JWST 관측이 현재 연구에 어떻게 도움을 주나요 JWST의 거울 크기는 앞선 HST보다 3배 가까이 크고, 적외선 감도도 뛰어나 먼 우주에서 오는 희미하고 적색이동된 빛을 검출하기 유리합니다. ... ...
물리 논문에 이름 올린 나는…고양이로소이다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것이다. 학술지는 두 가지 방법을 제안했다.❶ 단수형으로 논문 전체를 수정할 것❷
공동
저자를 찾을 것타자기로 작성한 논문을 수정하려면 전체적으로 다시 작업해야 했다. 그때 문득 본인이 키우는 고양이 ‘체스터’가 떠올랐다. 그는 논문 전체를 수정하는 대신 고양이의 이름 체스터 앞에 ... ...
문화 산업 지키는 파수꾼, 디지털 보안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단지인 할리우드에서는 제작사들이 ‘무비랩(MovieLabs)’이라는 이름의 비영리 단체를
공동
설립해 콘텐츠 유통과 함께 보안 기술을 연구, 표준화하고 있다. 무비랩에서는 ‘영상 콘텐츠 보호를 위해 DRM과 워터마크 기술을 동시에 활용할 것’을 권고하고 있다. 덕분에 할리우드에서 제작, 유통되는 ... ...
[과학뉴스] 중성자별 충돌은 우주의 황금 광맥?!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또는 중성자별끼리의 충돌을 통해 생성된다.최근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와 뉴햄프셔대
공동
연구팀은 중성자별의 충돌과정에서 중금속 원소가 생성되는 과정을 연구했다. 그 결과 블랙홀과 중성자별이 충돌했을 때보다 중성자별끼리 충돌했을 때 더 많은 중금속을 만들어낸다는 사실을 밝혀 ... ...
과학자도 코로나19 이후 전면 봉쇄...2021년 평양의 과학기술은?
과학동아
l
2021년 12호
베일에 싸여 있던 북한의 과학기술이 국제 무대에서 조금씩 존재감을 높이고 있다. 아직은 양과 질 모두 전통의 과학기술 강국에는 크게 미치지 ... 제안하기도 했다. KISTI도 ‘백두산의 자연’ 멀티미디어 콘텐츠를 만드는 등 남북
공동
콘텐츠 개발과 지식공유 사업 추진을 계획하고 있다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