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점"(으)로 총 1,336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생명과학의 성배를 찾아서과학동아 l2016년 06호
- 통합하는 중심 이론으로 자리잡았다.공정하게 말하면 이렇다. 해밀턴이 ‘유전자의 눈’ 관점의 씨앗을 심었다면, 도킨스는 이를 거목으로 뿌리내리게 했다. 도킨스의 ‘이기적 유전자’가 해밀턴, 로버트 트리버스, 조지 윌리엄스, 메이너드 스미스 등 기존 학자들의 연구를 알기 쉽게 포장한 과학 ... ...
- [Tech & Fun] 막스플랑크 화학생태학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관점에서 연구하죠. 휴먼히스토리연구소는 최근에 생겼습니다. 생물학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연구하는데, 과거 흑사병이 창궐했던 이유를 밝히기 위해 당시에 사망한 사람의 유전자를 연구하는 식입니다.과학 전통이 살아있는 예나독일은 오랫동안 예나에 과학 투자를 해왔습니다. 동독 시절에는 ... ...
- [지식] 인터뷰_최수영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5호
- 위상 공간을 찾을 수 있으면 4색 정리가 풀리거든요. 이렇게 여러 분야의 문제를 새로운 관점에서 바라보고, 융합해서 해결한다는 점이 흥미로웠어요.융합이 수학에서도 중요한가요?그럼요. 제 분야는 워낙 융합적이라 다른 사람들의 이야기를 듣고 배우지 않으면 아무것도 할 수가 없어요. 저는 ... ...
- 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생물학 문 열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유전자를 하나의 부품으로 본다. 마치 레고의 블록처럼. 만약 합성생물학의 관점대로 유전자가 레고의 블록 같은 존재라면, 생물의 복잡성 문제를 좀 더 간단히 풀 수 있다. 레고는 하나의 조각을 떼어내도 전체 형태(기능)를 유지하는 데 문제가 없다. 장난감을 지탱하는 필수적인 조각들이 사라질 ... ...
- [Knowledge] 생각해선 안 될 것을 생각하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도통 관심이 없었다. ‘이 케임브리지 졸업생이 행동, 그것도 이타적 행동을 진화적 관점에서 연구하겠다고? 이 친구 인류를 유전학적으로 개량하겠다며 유대인, 장애인, 흑인 등 ‘열등한’ 인종을 학살했던 나치 우생학을 떠받드는 것 아냐?’ 펜로즈는 이타성이 과연 해결해야 할 문제인지조차 ... ...
- Part 1 그들은 왜 아이를 죽였나과학동아 l2016년 05호
- 사건만 총 13건이다. 이들은 대체 왜 자신의 혈육(血肉)을 죽인 걸까. 그 이유를 과학적인 관점에서 살펴보고(1파트), 학대 아동을 보호하기 위한 방안(2파트)을 찾아봤다.‘이 아이는 날 방해하는 아이야.’“자주 그런 생각이 떠오르고, 화가 났어요. 그리고 그날은 정말이지 너무 화가 났어요. 잠을 ... ...
- [Photo] 웅황(Orpiment) 프로메테우스의 선물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말라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부작용이 어느 정도 알려져 있었던 것 같다. 자연의 관점에서 보면, 아름답고 화려한 것에는 대개 독이 있다는 것을 이 아름다운 웅황이 잘 보여준다. 마치 프로메테우스가 인간에게 선물한 불이 가진 양면성처럼 말이다 ... ...
- [과학뉴스] 아동 발달 (Child Development)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올해로 창간 85주년을 맞는 유서 깊은 아동 분야 학술지. 과학기술논문인용색인(SCI)에 등재된 소아과학, 아동건강 분야 학술지 중 가장 높은 피인용지수(IF) ... 발표되기도 했다. 아동학대와 후성적 변이에 대한 연구는 ‘학대의 대물림’이라는 관점에서 많은 사람들에게 회자되는 연구다 ... ...
- [News & Issue] 당신의 시간은 존재하나요?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시간과 공간을 하나의 단일한 실체인 ‘시공간(spacetime)’으로 통합함으로써 뉴턴의 관점을 깨뜨렸다. 특수상대성이론의 결론은, 등속 운동하는 서로 다른 관찰자는 시공간이라는 실체의 서로 다른 면을 보게 된다는 것이었다. 마치 루빅 큐브의 빨간 블록을 돌리면 빨간 블록과 붙어 있는 다른 ... ...
- [지식] 최도훈 교수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않나요?아직 아무도 푼 적이 없는 문제를 풀려고 모여서 생각을 나누다 보면 서로 다른 관점을 공유할 수 있다는 점이 의미 있어요. 같은 현상도 사람마다 다르게 보기 때문에 서로 생각을 교환하다보면 자극을 받거든요. 그리고 풀 수 있는 방법을 새롭게 떠올릴 수 있게 돼요. 그래서 수학은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