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체
교대
교류
전환
변화
치환
대체
d라이브러리
"
교환
"(으)로 총 1,337건 검색되었습니다.
호주의 사막 한가운데서 별빛으로 샤워하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함께 천체사진을 찍으러 돌아다녔던 동호회 회원인 서울시립대 이준화 교수가 호주에
교환
교수로 간 뒤 필자를 초청한 것이다. 이 좋은 기회를 놓칠 수 있으랴. 어렵게 시간을 내 호주로 향하는 비행기에 올랐다.우리나라에서는 한겨울에나 볼 수 있는 오리온자리가 30℃가 넘는 더위에 거꾸로 ... ...
수성을 스쳐 지나간 메신저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정리의 하나 a/b=c/d일 때 a/c=b/d가 성립되는 것 a : b=c : d이면 a : c=b : d이므로 내항(內項)을
교환
해도 두 비의 값은 같다는 사설에서 증명된다항공기의 비행방식의 하나 항공기와 지형(地形) 등의 상호관계를 대조하지 않고 비행자세 · 비행지점 · 비행코스 등을 자체에 장비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 ...
추억의 히트곡 '연' 만든 생명과학자 조진원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재밌게도 아버지 덕분에 음악에 빠질 수 있었어요. 제가 중학교 때 아버지가 미국으로
교환
교수를 가셨는데, 바로 그때 한국에 남아 조부모님과 지내며 맘껏 음악을 들었거든요(웃음).”사실 조 교수의 음악적 재능은 부모로부터 왔다. 조완규 교수는 고등학교 시절 밴드부 단원이었고 외조부는 ... ...
기네스북에 오른 괴물 포켓나이프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혈액형에 기인하는 부작용은 일어나지 않는다 전극반응이 발생할 때 전극의 단위면적당
교환
전류 구급할 때에 대비한 간이 한약방문 허 종(許琮) 등 찬(撰) 8권 목판본(木版本) 성종 20년(1489년)간 조선 9대 왕 성종이 허종(許琮) 등에게 명하여 쉽고 간단하게 약방문을 짓게 한 것으로 현재 권1과 권3 ... ...
돌연변이 생쥐로 뇌 신비 밝힌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있다. 그런데 2년이나 공을 들여 만든 변이 생쥐를 주는 게 아깝지 않을까.“실험재료를
교환
하는 것은 과학자들의 오랜 전통입니다. 저희가 보낸 생쥐로 재미있는 연구를 해 논문이 나온 것을 보면 마음이 뿌듯하지요.”그동안의 연구결과가 축적되면서 변이 생쥐를 토대로 역할이 규명된 유전자들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사슬모양 고분자의 사슬 사이를 화학결합에 의하여 서로 연결시킨 것 가교고분자는 이온
교환
수지처럼 적당히 팽윤(膨潤)하면서도 녹지 않는 것이 특정이다 금속착체(金屬錯體) 속에서 두 개의 금속 이온과 결합하여 가교 역할을 하는 배위자원자단(配位子原子團) 조성이 일정치 않으며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데이터 통신은 노트북 컴퓨터와 프린터, 데스크탑 컴퓨터와 노트북 컴퓨터 간의 데이터
교환
, 디지털 카메라에서 컴퓨터로 이미지를 전송할 때 등 무선데이터 통신에서 중요해지고 있다 적외선 통신에서는 쌍방의 장치에 모두 송수신기가 있어야 한다 현재까지 발전된 적외선 통신의 최대 전송 ... ...
헬리콥터 100년史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타고 가까운 셀중계국으로 가는데, 컴퓨터로 제어된 중계국이 이 무선신호를 이동서비스
교환
센터로 보내 정규의 공중전화망에 연결해준다 그리고 셀간을 이용할 때는 그 해당 셀중계국에 무선신호를 자동적으로 인계해주기 때문에 끊김이 없이 계속 통화할 수 있다전송사진이나 텔레비전 등의 ... ...
'특별한 가족'을 맞이한 국제우주정거장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전송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전화는 물론 컴퓨터 팩시밀리 등을 연결, 필요한 정보를
교환
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것을 이용할 경우, 결재가 필요한 서류를 서면으로 작성하여 사람이 왔다갔다하는 시간적 손실과 번거러움을 없앨 수 있다송신하는 쪽과 수신하는 쪽이 서로 교신할 수 있는 통신구조 ... ...
PART1 호모 에렉투스는 인류 최초의 요리사?
과학동아
l
2007년 12호
있을 때 소모하는 에너지의 60~70%를 잡아먹는다. 왜 그럴까?뇌는 신경이 끊임없이 정보를
교환
하면서 이온을 세포 안과 밖으로 이동시켜야하고 아세틸콜린 같은 신경전달물질을 계속 만들어야 한다. 심장은 살아있는 한 뛰지 않으면 안 되고 콩팥은 정수기처럼 체액을 거르는 작업을 멈출 수 없다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