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군대
주
현
군사
군부
떼
무리
d라이브러리
"
군
"(으)로 총 1,168건 검색되었습니다.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앱과 네트워크를 분석해 악성코드 유무를 판별한다.‘개인 정보가 돈이 되는 시대’ 누
군
가 당신의 스마트폰을 노리고 있다. 지금도 특정 지역에서 갑자기 스마트폰이 먹통이 된다든지, 자신도 모르는 모바일 광고가 스마트폰에 주기적으로 전달된다든지, 이벤트를 홍보하는 문자메시지가 ... ...
[6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소재에서 음파와 진동의 원리를 이끌어 내 호기심을 자극했다면 풀어줘야 한다. 배성환
군
의 기사와 김두영 양의 기사를 반반씩 합치면 읽기도 편하고 과학적인 사실도 다룬 균형잡힌 과학 기사가 나왔을 듯 하다 ... ...
통신 오류 잡는 수학 ‘마술사’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연구하는 것은 바로 이런 데이터 오류를 정정하는 기술이다.“무선통신, 위성통신,
군
통신, 방송 등에서 데이터를 무선으로 주고받죠. 그런데 중간에 잡음이 섞이기도 하고 전파가 회절되는 등 왜곡되면서 데이터가 깨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깨지면 반복해서 다시 받아야 합니다. 깨졌다는 걸 ... ...
[5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광명성 3호 발사 실패 후 우리
군
은 지난 19일 순항 미사일을 이례적으로 공개했다.
군
당국은 “북한 전역을 즉각 타격할 수 있는 세계 최고 수준의 정밀도와 타격 능력을 갖춘 순항 미사일을 독자 개발 배치했다”고 밝혔다.국산 순항미사일 ‘현무-3A’와 ‘현무-3B’의 사거리는 각각 500km와 1000km다. ... ...
배려의 리더십으로 대학까지
과학동아
l
2012년 05호
“ㅇㅇ가 정말 저를 많이 도와줬어요. 그런면에서 저는 참 운이 좋았어요.” 준영
군
이 가장 많이 한 말이다. 열심히 공부해서 해마다 교과성적 최우수상을 받고, 3 ... 도움을 주기 위해 생명과학을 택한 준영
군
. 세상을 행복하게 하는 과학을 할 수 있을 것 같다. 준영
군
의 꿈을 응원한다 ... ...
“녹색 지구 만든 조류(藻類)의 비밀을 밝히고 싶습니다!”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기원을 밝혔다.“제 연구가 결과를 내기 시작하자 드바시시 교수도 관심을 갖기 시작하더
군
요. 좀 지나니까 제 주제가 실험실 연구의 중심이 됐어요.”2004년부터 선임과학자로 일하던 그는 어느 날 드바시시 교수와 이야기를 하다가 드바시시 교수가 예전에 독일에서 일할 때 가지고 왔던 한 ... ...
[4월] 이슈 키워드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충돌할 때마다 수많은 작은 쓰레기가 더 생기는 악순환을 의미하는 ‘케슬러 증후
군
’도 국제사회의 빠른 대응을 부추기는 이유 중 하나다.이와 관련 스위스 우주센터는 세계 최초의 우주쓰레기 청소 위성 ‘클린스페이스원’을 5년 안에 발사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우주 쓰레기에 접근해 장착된 ... ...
입시를 목표로 공부하지 마세요
과학동아
l
2012년 04호
넓게 가지고 세포 사이의 신호 전달체계와 다양한 종류의 텔로미어를 연구는 게 하영
군
의 목표다.“연구실 생활이 힘들다고 하는 선배들을 보면 저는 오히려 부러워요. 연구실에서 사는 게 꿈이에요. 국력을 키우려면 기초과학을 놓치면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생물 하면 한국이 생각나도록 할 수 ... ...
점자 점으로 쓰고 손으로 읽는다!
수학동아
l
2012년 04호
1834년 프랑스의 시각장애인이었던 루이 브라유가 처음으로 사용했다. 원래 프랑스의
군
인 니콜라스 바루비에가 작전내용을 암호로 보내기 위해 개발한 것을 브라유가 시각장애인용 글자로 이용한 것이다. 브라유가 10년 동안 연구한 끝에 오늘날 사용하는 점자가 완성됐다.궁금증 2 점자의 점은 왜 ... ...
태양과 ‘맞짱 뜬’ 혜성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지름 10~50km)이 태양의 중력에 의해 산산조각나 만들어진 파편으로 추정된다. 크로이츠
군
은 태양에 가까이 다가가기 때문에 열에 의해 분출물이 많이 나온다. 이 때문에 거대혜성이 되는 경우가 자주 있다. 1965년 관측된 이케야-세키 혜성이나 작년 12월 태양에 접근해 통과한 뒤 대혜성이 된 러브조이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