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모두"(으)로 총 1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의 도시 프린스턴으로! 프린스턴대학교와 고등연구소를 소개합니다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수학자, 과학자가 모인 이유는 바로 프린스턴대학교와 고등연구소 때문입니다. 두 기관 모두 순수 학문 분야가 뛰어나기로 유명하지만, 그중에서도 수학은 단연 으뜸입니다. 프린스턴대 수학과는 전 세계 대학교 수학과 중 손꼽히며, 고등연구소는 당대 최고의 수학자가 속한 기관으로 알려져 ... ...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사용하고 있어요. 수학과 전공 수업을 듣는 강의실은 물론, 교수실과 학생들의 연구실 모두 이곳에 있지요. 3층에는 공용 공간이 있어서 서로 수학 문제를 의논하거나 쉴 수 있어요. 파인홀이 하나 더 있다? 파인홀 5분 거리에는 1969년 이전까지 수학과가 사용하던 건물이 있어요. 1930년에 ... ...
- [수학체험 유랑단] 친구야! 꼬인 매듭을 풀어줘!수학동아 l2023년 10호
- 프로그램인 숫자 카드 게임은 주어진 조건에 맞는 2, 3장의 카드를 내고 자신의 카드를 모두 내려놓으면 이기는 거예요. 이때 ‘두 수를 합쳐서 소수가 되는 카드 2장’과 같이 수학 개념을 활용한 조건을 돌아가며 제시해요. 이를 통해 수업 시간에 배운 다양한 수 개념을 다시 떠올리면서 수와 ... ...
- [특집] 쓰임 다한 배터리가 모이는 곳 미래폐자원 거점수거 센터에 가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준공했다고 설명했습니다. 포스코홀딩스 관계자는 “전처리와 후처리 모두 가능해져 배터리 재활용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게 됐다”며 “앞으로의 목표는 환경친화적이고 효율적인 유가 금속 추출 기술을 적극 개발하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 ...
- [최신이슈] 지구 밖 ‘보물섬’을 향한 여정...프시케 미션 시작과학동아 l2023년 10호
- (❋ 편집자주. 프시케는 인류가 16번째로 발견한 소행성입니다.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안니발레 데 가스프리스가 1852년 3월 17일에 발견했습니다. 그리 ... 소행성에서 귀중한 과학적 지식과, 상업적인 자원을 캐낼 수 있는 날이 오지 않을까. 모두가 함께 다양한 방법을 모색해보면 좋겠다 ... ...
- [과동키즈] "과학의 미래까지 생각해보세요"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돌아보면 저는 ‘제가 인식하는 세계를 확장’하고 싶었던 것 같습니다. 세계의 크기는 모두에게 동일한 것 같지만 그 주관적 크기는 개인의 인식만큼만 깊고, 넓으며 살아있습니다. 저는 제 세상을 확장시킴으로써 ‘부자’가 되고 싶었고, 이 과정 속의 예상치 못한 만남과 영감들이 제 다음 ... ...
- [SF소설] 완벽한 돌봄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죽으면, 그 동물을 돌보는 로봇도 더는 필요치 않으니까. 김, 오, 윤, 원. 이들은 모두 처분된 것.”갑자기 손이 떨리기 시작했다. 나는 욕을 내뱉으며 박이 건넨 은박지를 잘게 찢어 쓰레기통에 던졌다. 그러고도 한동안 가만히 앉아 있다가, 쓰레기통을 다시 뒤져 은박지를 꺼낸 다음 변기에 넣고 ... ...
- [버섯 요정의 기묘한 모험] 쓴맛, 신맛, 매운맛까지! 그물버섯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합니다. 한번은 손님들에게 차돌박이와 함께 귀신그물버섯을 볶아 내준 적이 있었는데, 모두들 엄청 맛있다고 극찬을 해주신 적이 있었죠. 어느 정도 그물버섯류에 익숙해지면 이런 일이 발생할 수도 있습니다. 멀리서 언뜻 보기만 해도 그물버섯류처럼 생겼는데, 가까이서 보니 관공 대신 ... ...
- [기획] 분자의 음악, 바닐라 소리는 달콤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체낙 교수팀이 분자로 만든 다양한 멜로디를 공개했어요. 사람이나 동물 등의 생명체는 모두 탄소가 들어 있는 유기화합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유기화합물은 생명체를 구성할 뿐 아니라, 소화나 면역 등 몸속에서 생명 유지에 필요한 활동을 돕죠. 과학자들은 유기화합물 분자를 표시할 때 한눈에 ... ...
- [기획] 화학 반응, 소리 듣고 춤춘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일어나요. 우리가 음식물을 먹고 소화해서 에너지를 얻는 과정이나 불이 붙는 현상도 모두 화학 반응이죠. 이렇듯 물질의 화학적 성질을 바꾸는 화학 반응을 제어하기 위해, 기존에는 빛이나 열, 압력 등을 조절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우리가 들을 수 있는 소리는 에너지가 너무 작아 화학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