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밀도"(으)로 총 1,86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5. 인플레이션 끌어안기과학동아 l2017년 01호
- 빅뱅 이전에 우주가 팽창하므로 지평선 문제를 해결할 수 있고, 이후 수축하는 동안 밀도 요동이 만들어져 거대구조의 씨앗이 된다고 설명한다. 그럴듯 하지만, 검증이 불가능하다는 치명적인 문제가 있다. 급팽창 이론의 문제는, 아마도 우리가 우주초기의 양자론적 중력을 아직 제대로 이해하지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한국수달연구센터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즐겨 탈 정도로 추위에 강하답니다. 그 비밀은 바로 털이지요.“수달은 포유류 중에 털의 밀도가 가장 높아요. 다른 동물보다 훨씬 털이 빽빽하게 나 있다는 뜻이지요. 추운 겨울에도 체온을 유지하도록 발달된 거예요.”기다렸던 수달 먹이 주기 시간!수업 후 수달 먹이 주기 시간이 됐어요. 기자단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년 01호
- 어렵기 때문이다. 집적회로는 작은 크기의 회로로 많은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 점점 밀도를 높여 왔지만, 물리적인 한계에 다다른 상황이다. 회로의 선폭을 나노미터(nm, 10억 분의 1m) 수준으로 좁힌 상황이라 더 줄이기 어려울 뿐더러, 발열 때문에 회로 안정성이 떨어진다. 향후 사물인터넷(IoT) 시대에 ...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어려운 가장 큰 이유는 화성 대기의 밀도가 작기 때문이에요. 화성 대기는 지구 대기 밀도의 100분의 1정도에 불과하거든요.대기 중에 공기가 많을수록 물체가 떨어질 때 받는 저항은 커져요. 그럼 특별한 장치를 사용하지 않더라도 물체의 속도는 어느 정도 줄어들게 되지요. 하지만 화성처럼 공기가 ... ...
- [출동! 섭섭박사] 화산모형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곳’이라는 뜻이에요.이렇게 고인 마그마는 액체 상태이기 때문에 다른 암석들에 비해 밀도가 낮아요. 그래서 위로 올라오려고 하지요. 보통은 딱딱한 지표에 의해 가로막히지만 마그마가 상승하려는 힘도 만만치 않아요. 마그마 속 가스들이 강한 압력을 갖고 있거든요.이렇게 힘겨루기를 하다가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서서히 드러나는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밀도가 작은 물질은 위로 뜨려고 한다.하지만 중력이 거의 없을 때는 따뜻해진 공기가 밀도만 낮아질 뿐 순환되지 않아요. 그래서 국제우주정거장에서 양초에 불을 붙이면 위쪽 사진처럼 동그란 모양의 불꽃을 볼 수 있어요. 게다가 공기가 순환되지 않아서 산소가 잘 공급되지 않기 때문에 불꽃의 ... ...
- [출동! 섭섭박사] 자동차와 비행기의 심장, '엔진'을 만들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9호
- 동시에 온도가 올라가요. 휘발유나 경유 같은 연료는 그 자체로도 불이 붙기 쉽지만, 밀도와 온도가 올라가면 전기 스파크에 의해 순간적으로 폭발하면서 더 센 힘으로 피스톤을 밀어내요. 이 폭발적인 힘에 의해 피스톤은 다시 내려가죠. 폭발하고 남은 기체는 배기밸브를 통해 나가게 되고, ... ...
- [숲이야기] 곤충이야, 버섯이야? 동충하초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5호
- 있어서 매우 무서운 존재라고 할 수 있어요. 하지만 생태계 전체의 입장에서 보면 곤충의 밀도를 조절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지요. 생태계는 작은 차이에 의해서도 전체 균형이 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미묘한 작용들이 균형을 유지하는 중요한 열쇠랍니다.곤충에게 치명적인 이 ... ...
- Part 5 다섯 번째 작전. 충돌하기 전에 소행성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확인됐어요. 이토카와는 겉면에 작은 돌멩이가 많이 박혀 있어요. 또 접근해서 중력과 밀도를 측정해 보니 그 값이 매우 낮았어요. 소행성을 이루는 알갱이 사이에 공간이 많았거든요. 이건 아주 작은 알갱이들이 작은 중력으로 서로를 끌어당기며 뭉쳐서 큰 소행성이 됐다는 증거랍니다. 지금은 ... ...
- Part 3 세번째 작전. 소행성 충돌의 결과를 조심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14호
- 한꺼번에 녹여 버렸다고 밝혔어요.빙하를 이루는 물은 미네랄이 풍부한 바닷물보다 밀도가 낮아요. 그래서 이 물이 바다에 한꺼번에 들어간 뒤에도 바다에 원래 있던 짠물 위에 동동 떠 있게 됐지요.원래 북아메리카 쪽에서는 찬 바닷물이 바다 밑으로 가라 앉아 적도 쪽으로 내려가고, 적도에서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