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건 돈의 비율
비율
정도
불손
d라이브러리
"
비례
"(으)로 총 1,208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1. 우주에 질량을 선물한 신의 입자 - 힉스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됐다.한편 대칭성이 깨질 때 힉스 입자와 결합된 쿼크와 렙톤도 힉스와의 결합의 세기에
비례
하는 질량을 가지게 된다. 결국 표준모형의 모든 입자는 힉스 입자를 통해서 질량을 얻어 우리가 보는 형태로 모습을 드러내게 되는 셈이다. 아마도 이것이 노벨상 수상자이며 미국 페르미 ... ...
PART 2 각을 알면 비행이 보인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클수록 활공각은 작아진다는 사실을 알 수 있어요. 활공비와 날개의 가로·세로 비는
비례
한다고 했으니, 날개의 가로·세로 비의 값도 클수록 활공각은 작아지는 거죠.휴~. 다행히 블루를 설득할 수 있었어요. 행글라이더의 활공각은 정해져있지만, 블루의 활공각은 연습하기 나름이니까요. 활공각을 ... ...
냄새 잘 맡아서 똑똑해진 포유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것과 비교한 결과 고대포유류가 파충류에 비해 뇌 용량이 50% 이상 컸다. 특히 뇌 용량과
비례
해 비강도 컸고, 뇌 피질에서 후각을 담당하는 부위도 더 넓었기 때문에 발달된 후각을 가졌을 것이라고 추측했다.연구팀은 고대포유류가 현생 포유류로 진화하면서 뇌가 세 단계에 걸쳐 발달했을 것이라는 ... ...
[수학으로 영화 보기] 노미오와 줄리엣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가장 이상적인 신체비율이라고 생각했다. 르네상스 시대의 화가들 역시 8등신의 인체
비례
를 적용해 작품을 제작하기도 했다.예로부터 아름다움과 조화, 균형을 말할 때 빼놓지 않고 언급한‘황금비’에서 그 무언가를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다.3등신 캐릭터들의 변명오랫동안 황금비는 마치 ... ...
과학을 그린 화가 홀바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4호
그림을 감상해 보기로 해요. 르네상스 말부터 바로크 양식이 시작된 1590년경까지는
비례
를 깨고 모양을 뒤트는 그림이 유행했어요. 이 때 볼록렌즈로 바라본 세계를 묘사하거나, 모든 장치와 장식품들을 길게 늘어뜨린 변형된 모습이 등장했답니다. 이처럼 사물의 모습을 변형시킨 것을 ... ...
Part 2. 지구의 전개도가 있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사이의 거리 = 360° : 7° 12´.두 지역 사이의 거리는 지금의 값과 비교하면 오차가 있지만
비례
식에 대입해 구한 지구의 둘레는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값(약 4만km)과 비슷하다.‘지구의 전개도?’ 순간 먹고 있던 귤을 바라봤다. 예쁘게 꽃 모양으로 펼쳐져 바닥에 버려진 귤껍질이 눈에 들어왔다. ... ...
Part2. 사상 최악의 지진해일…일본이 울었다
과학동아
l
2011년 04호
충분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지진해일의 전파속도는 중력가속도×수심의 제곱근에
비례
한다. 이 공식에 따르면 수심이 6km에 달하는 태평양 한가운데를 지날 때는 지진해일의 전파 속도가 민간 항공기와 비슷한 시속 800km에 이른다. 이 수석연구원은 “지진의 진앙이 일본 동부 해안으로부터 130km ... ...
[수학으로 생각하기] 일본 대지진 바로 알기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영향이 없지만 100명 중 1명은 몇 년 뒤 암에 걸릴 수 있다.방사선량은 거리의 제곱에 반
비례
한다. 즉 거리가 멀수록 그 양이 감소한다. 하지만 방사성 물질은 바람을 타고 날아가서 방사선을 내뿜을 수 있다. 일본에 지진이 발생한 다음 날, 원전에서 20km 이내에 사는 주민을 대피시킨 이유다 ... ...
Part 3. 삼각형으로 지도를 그릴 수 있을까?
수학동아
l
2011년 04호
약 5m(500cm)인데, 이것을 10cm에 대응시켰으니 전체를$\frac{1}{50}$로 줄인 셈이다. 이 관계를
비례
식으로 세우면 1:50=150:x, 즉 A 지점부터 학교 건물까지의 거리는 약 75m(7500cm)다!이 속도라면 오늘 안에 동네 지도는 완성할 수 있을 것 같다. 이제 세계지도는 시간 문제. 기다려라 ‘리틀 김정호’ 가 간다 ...
PART 2 수학이 밝히는 자전거의 5가지 신비
수학동아
l
2011년 03호
때마다 앞바퀴의 지름만큼 자전거가 앞으로 나간다. 자전거의 속도가 앞바퀴의 지름과
비례
한다는 뜻이다.그 결과 앞바퀴는 갈수록 커져 지름이 1.5m가 넘는 자전거까지 등장했다. 하지만 바퀴의 지름이 크면 클수록 타기가 어렵고 중심잡기가 쉽지 않다. 방향을 바꾸는 것도 어려워 갑작스런 상황이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