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뿌리"(으)로 총 1,271건 검색되었습니다.
- 모범생 스트레스 이겨낸 통신 전문가 (최성현 서울대학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전력, 바이오 등 6~7개 분야로 나누어진다. 개별 분야가 개성이 강하지만 모두 전기전자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제어는 로보틱스와 관련된다. 전기와 컴퓨터도 또다른 분야다. 네트워크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넓게 지식을 섭렵하면 좋은 게 많다는 게 최 교수의 설명이다. “이렇게 다양한 전공 분야지만 ... ...
- 우리 땅에 ‘바이오디젤’을 뿌리 내리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잘 알려져 있지는 않은 사실 하나. 주유소에 가면 승합차나 화물차에 주로 넣는 디젤(경유) 연료는 정말 100% 원유만을 정제해서 만든 것일까? 아니다. 대부분의 주유소는 2006년 이후 5% 씩의 ‘바이오디젤’을 순수 디젤에 섞어서 팔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폐식용유나 쌀겨 기름 등, 순 식물성 오일을 ... ...
- 수학캠핑 - ➎ 마술적인 숫자 배열, 마방진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앞두고 벌어진 집현전 학사의 살인사건을 그린 드라마 ‘뿌리깊은 나무’에는 세종 이도(송중기 분)가 세자 시절 마방진을 풀려고 몰두하는 장면이 나온다. 태종 이방원(백윤식 분)은 그런 이도를 보면서 “이래서 방진은 그냥 방진이라 하지 않고, 마귀 마(魔)자를 붙여서 마방진이라 하는 게지요. ... ...
- 인도네시아로 날아간 GIST의 젊은이들 진화의 뿌리와 만나다과학동아 l2013년 10호
- 나는 원래 배멀미를 하지 않는다. 하지만 인도네시아 발리에서 롬복의 길리(Gili) 섬으로 향하는 페리에 탔을 때 내 몸을 감싼 살인적인 기름냄새에 정신이 혼미해졌다. 속으로 한참 툴툴대고 있을 무렵 하필 ‘월리스’라는 이름이 떠올랐다. 내가 타고 있는 배가 가로지르고 있는 경계 이름이 바로 ... ...
- 아시아인 뿌리 밝힐 제3의 인류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기원은 결코 단순하지 않습니다. 연구는 점점 깊이를 더해가고 있으며, 우리의 뿌리도 그만큼 복잡하고 심오해지고 있습니다.이상희서울대 고고미술사학과와 미국 미시건대 인류학과를 졸업한 뒤 2001년부터 UC리버사이드 인류학과 교수로 재직하고 있다.전공은 고인류학이며 인류의 두뇌 용량의 ... ...
- 마취 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외과와 내과는 전혀 다른 전통에 뿌리를 두고 있다. 전통적으로 내과가 대학에서 신학이나 철학과 더불어 가르쳤던 학술적 의학이었다면, 외과는 생생한 삶의 현장에서 상처를 꿰매고 상한 이를 뽑는 등 실무 중심의 기술이었다. 외과의(chirurgien, chirurgen, surgeon)라는 말도 ‘손’을 뜻하는 말에서 ... ...
- 남극 해저의 난파선이 썩지 않는 이유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모두 퇴화된 채, 깊은 대양 속에 가라앉은 거대한 고래 사체의 뼈에 식물처럼 ‘뿌리’를 박고 양분을 빨아먹는 ‘오세닥스’다(7월호 특집 ‘고래’ 5파트 참조). 고래뼈 외에는 바다로 흘러들어온 나무토막에 유일하게 살아, 목조 배가 난파됐을 때 분해를 하는 역할도 한다. 그런데 남극의 ... ...
- 젤라틴이 만드는 쫀득함의 비밀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아이스크림이 쫀득한 이유는 살렙이라는 야생난초의 뿌리 가루를 넣기 때문이에요. 살렙 뿌리에 들어 있는 다당류가 엉겨 붙으면서 아이스크림 입자가 조밀해지 거든요. 안타깝게도 우리나라에서는 구하기가 힘든 재료지요. 다른 재료로는 쫀득쫀득한 아이스크림을 만들 수 없을까요? 호기심이 ... ...
- 연금술과 화학의 경계에서 색을 만들다과학동아 l2013년 08호
- 철이 산화되면 붉은 색을 띄어, 철 함유량이 높은 흙에서도 쉽게 보인다. 꼭두서니 나무 뿌리나 연지벌레등 자연에서 찾을 수 있는 재료도 붉은 안료 원료로 이용됐다.백랍에 높은 열을 가해도 적랍으로 변해 붉은 안료로 만들 수있었다. 하지만 20세기까지 최고로 꼽히던 것은 ‘진사’라는 광물로 ... ...
- 의학 - 물리학자가 암 정복에 도전을?과학동아 l2013년 08호
- 교수는 최근 지금까지와 다른 방식으로 암을 바라봐야 한다고 주장했다.암은 세포 안에 뿌리박힌 ‘고대의 유전 프로그램’으로 그 기원이 수십억 년 전 다세포 생물이 탄생할 때까지 거슬러 올라간다는 것. 암이 각 개체의 몸 안에서 연속적인 돌연변이를 통해 발달한다는 현재의 정설에 도전장을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