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유물
물건
물체
목표
대상물
객관
객체
d라이브러리
"
사물
"(으)로 총 1,092건 검색되었습니다.
[Tech & Fun] 누군가가 멀고 밉게 느껴진다면…
과학동아
l
2016년 04호
위함이라고 해석했다. 이 가설을 뒷받침하는 증거로 소외된 사람의 구분적인 사고는
사물
에는 나타나지 않고, 사람에만 한정돼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자존감을 지키기 위해 약자를 무시하기도이외에도 자신에 불리한 각종 ‘위협’을 느꼈을 때 역시 자기방어의 일환으로 다른 집단을 ... ...
[수학뉴스] 방향에 속지 않는 컴퓨터의 눈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비교해
사물
이 어느 방향을 보이고 있는지 맞힐 수 있었습니다. 인공지능을 위해 사진 속
사물
의 방향을 일일이 표시하는 수고를 들일 필요도 없습니다.이 알고리즘은 차의 종류가 다양한 도로에서 주변차의 움직임을 예측해야 하는 자율주행프로그램에 적용할 수 있습니다. 연구에 참여한 레오니드 ... ...
[지식] #數수스타그램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그림자 방향이 전혀 다르다면, 합성했다고 의심해볼 수 있지요. 또 책상 위에 놓여 있는
사물
이 바닥에 붕 떠 있는 듯이 보이거나, 빛을 받은 정도가 다를 때도 사진을 합성했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또 합성한 사진을 크게 확대해도 알 수 있습니다. 가로세로 길이가 똑같은 픽셀들이 바둑판처럼 ... ...
[소프트웨어] 앱메이커_오븐 앱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03호
사물
인터넷이라고 아시나요? 냉장고나 세탁기 같은 가전제품도 인터넷에 연결돼 데이터를 주고받으며 알아서 일을 처리해 줄 수 있게 하는 기술이지요. 이미 우리 주변에서도 심심찮게 찾을 수 있습니다. 이런 제품이 인터넷에 연결돼 있으면 우리는 스마트폰으로 쉽게 그 제품이 어떤 상태인지 알 ... ...
[News & Issue] 예술, 갇힌 마음의 창이 되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그림 같으면서도 자신만의 언어와 특별한 상징을 담아내고 있다. 그에게 있어 세상 모든
사물
은 3차원이 아니라 2차원 캔버스의 연장선이었다.특히 그는 다양한 언어의 사전을 모아 자신만의 단어를 만들어내고, 그 단어를 작품 속에 표현했다. 이충순 벗이미술관장(정신과 전문의)은 “자신만의 ... ...
PART 1. 착시 설계자 따라잡기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스웨덴의 그래픽 작가랍니다.로이터스바르드는 어린 시절에 난독증 진단을 받아
사물
의 크기와 거리를 정확하게 보기가 힘들었어요. 하지만 그런 장애를 딛고 1934년에 만든 불가능한 삼각형을 포함해서 살아있는 동안 2500가지나 되는 불가능한 도형을 만들었어요. 펜로즈 경은 로이터스바르드보다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꺾을 때에도 쓰이는 등 사용범위가 더 넓어졌답니다.겉으로 나타나거나 눈에 보이는
사물
의 가장 바깥 면을 ‘표면’이라고 해요. 표면은 ‘겉 표(表)’와 ‘낯 면(面)’으로 이뤄진 단어지요.‘겉 표(表)’는 ‘털 모(毛)’와 ‘옷 의(衣)’가 더해져 ‘털이달린 옷’이란 뜻의 글자였어요. 이후에 ... ...
PART 2. 아무도 몰랐던 착시의 비밀
수학동아
l
2016년 02호
밝혀지지 않았답니다.분명한 점은 우리가 실제를 그대로 인식하지 않는다는 거예요.
사물
에서 반사된 빛이 우리 눈으로 들어와 시신경을 따라 대뇌에 도달하면 우리는 무언가를 ‘보게’ 돼요. 그리고 이 과정에서 뇌가 정보를 편집하기 때문에 실제와 다른 착시현상이 보이는 거랍니다. 뇌는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로봇이 알아서 척척!
사물
인터넷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1호
배울 수 있었어요. 독자 친구들도 프로그래밍에 관심을 가져 보세요.
사물
인터넷을 이용해 사람이 더 편리하고 안전하게 살 수 있는 세상을 만들 수 있을 거예요 ... ...
[Knowledge] 마치 누군가 설계한 듯한
과학동아
l
2016년 01호
진가를 종종 잊는다.일례로 손을 살펴보자. 그리스의 의사였던 갈레노스는 사람의 손은
사물
을 조작하는 도구로 그야말로 완벽하게 설계됐다며 입에 침이 마르게 칭찬했다. 디즈니 영화에 나오는 마법처럼, 손은 쉴 새 없이 변신한다. 갈고리 모양 손잡이(들통을 들 때), 가위 모양 손잡이(담배를 쥘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