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용인
수락
접수
수납
수령
승인
시인
d라이브러리
"
수용
"(으)로 총 1,388건 검색되었습니다.
닥터 그랜마 지구정복자노벨상을 노려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21호
나는 온갖 암호를 풀어내 지구를 혼란에 빠뜨리겠어! 노벨 화학상‘G-단백질 연결
수용
체’미국 과학자 로버트 레프코위츠와 브라이언 코빌카는 외부 자극을 몸속으로 전달하는 단백질 GPCR을 발견했어. 이 단백질은 세포를 맘대로 들어갔다 나왔다하면서 세포 속으로 외부의 정보를 전달한단다.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뒷받침하는 연구도 있다. 2010년 제임스 파울러 미국 UC샌디에고 정치학과 교수는 도파민
수용
체 유전자인 DRD4가 정치 성향에 영향을 끼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도파민은 신경전달물질로 쾌락이나 고통을 느끼게 해준다.연구에 따르면 이 유전자에 어떤 변이가 있는 사람은 새로운 것을 ... ...
입에서 항문까지 소화 여행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암죽관으로 들어가긴 했지만 지용성 영양소들도 정맥으로 합류되고 심장으로 전달돼
수용
성 영양소와 함께 우리 몸의 세포들로 전달된다. 대장에서는 수분을 흡수한다. 음식물 찌꺼기 중 일부는 대장균에게 영양분을 공급하고, 남은 찌꺼기는 대변으로 배출된다. 혈액과 대변의 관계는? 달팽이로 ... ...
PART 2. 마법의 블루 팩토리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이라는 방식으로 붙여 새로운 화합물을 만들어냈다. 단백질에 결합하는 물질이나 각종
수용
체, 신경 전달 물질 등도 일종의 리간드다.이온 형태의 전이금속과 유기 리간드가 결합해서 어떻게 세공이 있는 결정체를 만들 수 있을까. 장 박사 연구팀은 물 속에서 합성하는 방법과 마이크로파합성을 ... ...
화학자가 본 플루오린화 수소 유출 사고의 진실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언론에서도 소개된 소석회를 뿌리는 것이 좋은 대책이 된다. 소석회의 칼슘 이온이
수용
액 상태에서 플루오린 이온과 결합해 화학적으로 안정한 플루오린화 칼슘으로 변하고 나면 더 이상의 피해는 발생하지 않는다.그런데 이번처럼 대기 중으로 많은 양의 플루오린화 수소가 에어로졸 상태로 ... ...
죽음의 공포를 삭제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전기 신호는 훨씬 커질 수 있다. 안테나가 많아져 수신 확률이 높아지는 것이다. 일단
수용
체 숫자가 증가해 기억이 만들어지고 나면, 시간이 지날수록 기억 경화 현상이 일어난다. 이 과정에서 시냅스의 전반적인 기능이 향상된다. 이런 과정을 통해 쥐의 머리 속에는 ‘종소리=전기 충격’이라는 ... ...
Part 1. 조미료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얻었다. 이 물질을 다시 염 형태로 만들어 물에 녹이고 산성도(pH)를 중성으로 맞추자,
수용
액에서 강한 우마미를 느낄 수 있었다. 이 유기산이 단백질을 이루는 아미노산의 하나인 글루타민산이다.사실 글루타민산은 1866년 독일의 화학자 칼 리트하우젠이 먼저 발견했다. 하지만 글루타민산이 독특한 ... ...
Intro. 노벨상, 미시 세계를 탐하다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초석을 닦았다. 센서 분자 ‘구아닌
수용
체’는 몸 속에 있는 수많은 비슷한
수용
체 연구와 질병 치료제 개발의 물꼬를 텄으며, 역분화 줄기세포는 줄기세포 치료의 길을 닦았다. 미시 세계를 통해 거대한 세계의 문을 열어젖힌 올해의 노벨 과학상을 국내 전문가와 함께 살펴보자.▼관련기사를 계속 ... ...
화학상 - 응급실에서 들은 ‘세포의 대화’
과학동아
l
2012년 11호
이라는 물질의 기능을 새롭게 이해할 수 있었다. 필자의 연구실은 현재 구아닌
수용
체와 관련된 여러 질환의 치료제를 개발하고 있다.코빌카 교수가 속한 스탠퍼드대는 이번에 28번째 노벨상 수상자를 배출했다. 그 비결이 무엇일까 곰곰히 생각하니 젊은 코빌카 박사가 응급실에서 겪은 일이 다시 ... ...
촉촉하면 도체, 마르면 절연체
과학동아
l
2012년 10호
음이온은 (+)극 쪽으로 이동한다. 이것이 바로 용액을 통해 흐르는 전류다. 염화나트륨
수용
액에서는 나트륨 이온이 (-)극 쪽으로, 염화 이온이 (+)극 쪽으로 이동한다. 전류의 방향은 나트륨 이온의 이동방향과 같다. 이처럼 전해질 용액에서 전류의 방향은 이온의 이동방향으로 결정된다. 일반적으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