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각본
대본
영화각본
콘티
영화 각본
scenario
영화
d라이브러리
"
시나리오
"(으)로 총 514건 검색되었습니다.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원숭이)를 찾아 치료제를 개발한다는 줄거리다.이것이 과연 공상과학 소설에서만 가능한
시나리오
일까? 여러가지 소설적인 면이 있지만, ‘아웃브레이크’는 실제로 1976년 아프리카 자이레에서 출현해 수백명의 목숨을 앗아간 에볼라 바이러스를 소재로 삼았다.에볼라 바이러스는 에이즈 바이러스 ... ...
컴퓨터바이러스 스토리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위한 전략으로까지 발전하면서 바이러스 범죄수법은 점점 더 잔혹해지는 추세다.과장된
시나리오
가 아니더라도 바이러스를 활용한 범죄의 예는 쉽게 찾을 수 있다. 대표적인 범죄수법은 프로그램을 수정하는 것. 상업용 소프트웨어의 내부코드를 조작해 자신에게 유리한 형태로 바꿀 수 있다. ... ...
Ⅲ. 재미있는 행성이야기5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행성으로 형성되지 않은 단계의 물질로 된 디스크일 수도 있다. 학자들은 좀더 자세한
시나리오
는 이들 행성들의 조성과 성질들이 더 자세히 알려진 다음에야 가능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⑤ 외계 생명체는 어디에 - 물과 유기분자 있는 곳 유력 후보지구상의 모든 생물체의 구성은 물과 유기분자가 ... ...
Ⅰ. 행성은 어떻게 만들어졌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약46억년으로 같다. 따라서 비동시 생성론으로는 태양계 기원을 설명할 수 없다.미완의
시나리오
, 현대 태양계 기원론오늘날에는 태양계 탐사선이 행성과 위성표면에 착륙하거나 그 주위를 선회하고 또 가까이 근접통과하면서 조사한 탐사자료가 많이 축적되고 있다. 이들 자료는 지상관측에서 ... ...
Ⅱ. 밀레니엄 프런티어와의 만남 : 1. 포스트 유전자 시대 스타 이건수
과학동아
l
1999년 06호
그의 연구가 출발점이 돼 가속화 될 것이라는 것이 전세계 언론의 평가다.이상은 가상
시나리오
다. 하지만 불가능한 일만도 아니다. 생물학의 시대를 꽃 피울 젊고 패기있는 분자생물학자인 이건수박사(39)가 있기 때문이다.7시에 관악산 깨워만날 약속을 10시로 정하면서 너무 이르지 않냐는 물음에 ... ...
이산화탄소 증가로 위협받는 산호초
과학동아
l
1999년 05호
했다. 대기 중의 이산화탄소가 2065년에 산업혁명 이전 농도의 두배가 될 것이라는
시나리오
를 사용한 결과 해양의 탄산칼슘 포화정도는 산업혁명 이전에 비해 30% 감소했다. 또 증가된 이산화탄소 때문에 상승하고 있는 수온이 현재 전세계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백화(연안 암반지역에 다양한 색깔의 ... ...
지구생명은 스스로 탄생했다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원시지구에서 자연발생적으로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다고 소개했다. 그의 생명탄생
시나리오
는 이렇다.지구의 원시대기는 수소, 메탄, 암모니아와 같은 환원성 기체(수소 또는 수소와 결합한 기체분자)로 충만해 있었다. 이 기체들은 지구 내부에서 분출되는 고온의 니켈, 크롬과 같은 금속들의 ... ...
유령은 왜 나타나는가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사람 많다(사례1)은 1998년 여름 개봉되어 1백만 관객을 돌파한 공포영화 ‘여고 괴담’
시나리오
의 한 대목이다. 귀신이 등장하는 영화가 여름 극장가에서 흥행의 보증수표임을 재확인해준 문제작이다.동양권에서는 죽은 혼백(넋)을 귀신이라 한다. 사람이 죽으면 혼과 백이 영원히 분리된다. 혼은 ... ...
재미있는 여러가지 차원이야기
과학동아
l
1999년 04호
4차원 시공체의 차원보다 더 차원이 높으며 무한개의 평행한 우주가 존재한다.우주 종말
시나리오
중 하나로 우주가 다시 수축, 우주 탄생의 시초로 돌아간다는 가설이 있다. 이는 2차원에서 바라본 3차원체인 구가 점이었다가 원으로 크기가 계속 늘어나다가 다시 줄어들어 수축해버리는 것과 같지 ... ...
복제소 영롱이와 유전자 조작 슈퍼벼
과학동아
l
1999년 03호
질병에도 견디는 개체가 있어야 ‘종의 생존’을 유지할 수 있다.물론 이 얘기는 다양한
시나리오
중의 하나에 불과하다. 이런 가능성을 막기 위해서는 충분한 사전검토가 필수다. 영국의 로슬린연구소가 우리보다 몇년 앞서 복제동물을 만들었지만, 이를 대량으로 보급하기 보다 질병치료용으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